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영주시는 경북 최북단에 위치하며 소백산맥이 병풍처럼 둘러있고 죽계, 남원, 내성천이 낙동강의 근원을 이루고 있는 비옥한 고장으로 옛부터 인심이 순후하고 전통문화의 뿌리가 깊은 고장이다. 찬란했던 신라불교문화의 화엄종찰인 부석사를 비롯한 대·소사찰과 우리나라 서원의 효시이며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 등 많은 문화유산이 있을 뿐 아니라 영남제일의 희방폭포와 아흔아홉구비의 죽령 등 아름다운 자연경관도 잘 보존되어 있다. 총 면적 668.51㎢(임야 67%, 농경지 24%. 기타 9%)의 전통적인 농촌경제 지역이다. 본래 고구려의 내기군(영주), 급벌산군(순흥), 기목진(풍기)이었으나 신라 파사왕이 정복하여 고려 성종때 강주(영주), 흥주(순흥), 기주(풍기)로 고쳤다. 조선시대에는 풍기군, 영천군, 순흥군으로 바뀌었으며 1914년 3개군을 병합, 영주군으로 되었다. 1980년 영주시와 영풍군으로 분리되었다가 1995년 영주시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부석사 전경
<영주시 연표> 시 대 연 대 주 요 사 항
고대 선사시대 고인돌·선돌 발견
고구려 내기군, 급벌산군 내기군 → 내령군
경덕왕 급벌산군 → 급산군, 기목진
고려 성종 내령군 → 강주, 급산군 → 흥주, 기목진 → 기주
현종 9년(1018) 강주, 흥주, 기주 → 길주 (현재 안동)에 붙이다.
인종 21년(1143) 강주 → 순안현 현령을 둠 흥주 → 순안현에 붙이다.
명종 1년(1171) 흥주에 감무를 두다
명종 2년(1172) 기주에 감무를 두다.
고종 45년(1258) 순안현 → 지영주사
충렬왕 (1274) 흥주 → 흥령현
충숙왕 (1313) 흥령현 → 지흥주사
충목왕 (1348) 지흥주사 → 수흥부
공양왕 (1390) 기주에 은풍현을 붙이다
조선 태종 13년(1413) 지영주사 → 영천군(구성), 순흥부 → 순흥도호부(순정) 기주 → 기천현감(영정)
문종 1년(1451) 은풍과 기천을 따서 풍기군
세조 4년(1458) 순흥도호부 폐지, 영천, 풍기, 봉화로 분할
숙종 9년(1683) 순흥도호부 부활
고종 33년(1896) 순흥도호부 → 순흥군
현대 1914년 순흥군, 풍기군, 영천군을 영주군으로 통합
1940년 영주면 → 영주읍
1973년 풍기면 → 풍기읍
1980년 영주읍 → 영주시 승격, 영주군 → 영풍군 분리
1995년 영주시와 영풍군을 영주시로 통합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금성대군과 단종복위 금성대군은 세종임금의 여섯째 아들이자, 단종의 숙부이다. 평소 수양대군을 경계하던 금성대군은 단종의 왕위를 빼앗은 수양대군에 의해 모반의 누명을 쓰고 유배길에 오른다. 유배지 순흥에서 부사 이보흠을 만나게 되고, 그와 함께 단종복위를 도모하게 된다. 그러나 거사가 무르익어갈 무렵 한 관노의 밀고에 의해 관군의 습격을 받게 되고, 순흥고을은 순식간에 불더미에 피바다를 이루었으며 순흥도호부는 폐부가 되었다. 거사에 참여했던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으며, 그 피가 10리 이상 흘러 내려오니 지금도 ‘핏끝’이라고 호칭하는 마을이 있다.
◈무신란의 의병조직 무신란은 영조 4년(1728) 청주 출신 이인좌가 도원수로, 순흥 출신 정희량이 원수로 일으킨 반란이었다. 반란의 명분은 영조가 숙빈 최씨의 소생으로 왕실의 적통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그들은 영조가 즉위하자 밀려난 소론일파의 호응을 얻어, 밀풍군 탄(인조의 맏아들 소현세자의 증손)을 왕으로 세우고자 했던 것이다. 순흥의병조직단은 대장 이징도 외 60명, 풍기의병조직단은 대장 권경렴 외 27명, 영주의병조직단은 대장 나학천 외 50명 등 총 인원은 142명이었다.
◈풍기광복단 활동 1913년 풍기의 채기중(1873 ~1921) 의사가 구한말 의병에 몸바쳐온 전국 팔도의 의사들을 이곳 풍기에 모아 조직한 국내 최초의 항일 무장 독립운동 단체이다. 1915년에는 대구의 박상진 의사가 이끄는 ‘조선국권회복단’과 병합하여 전국규모의 조직으로 확대 개편하고 그 명칭을‘대한광복단’으로 하였다. 영주의 대동상점을 비롯하여 대구의 상덕태상회, 서울의 남일여관 등 전국에 100여개의 혁명기지를 건설하고 군자금 모금, 비밀 폭동, 암살 혁명 봉기를 비롯하여 김좌진 장군과 신흥학교의 독립군 기지 사업 등을 지원하기 위해 크게 활약하였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1918년 이탈자의 밀고로 조직망이 발각되고 수많은 의사들이 일제의 형장에서 장렬하게 순국하였다. 그러나 그 유지는 헛되지 않아 이듬해 3·1만세운동의 밑거름이 되었고 남은 의사들은 수비단, 암살단, 의열단 등에 흩어져 광복을 맞기까지 계속 피흘려 싸웠다.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화엄종찰과 의상대사(625~702) 당나라에 유학 지엄삼장의 문하에서 10년간 화엄학 공부를 한 후 귀국.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화엄종찰인 부석사(浮石寺) 창건. 「화엄일승법계도」, 「백화도량발원문」, 「추동기」 저술. 의상대사 초상을 모시고 있는 조사당(국보 제19호) 처마에 나지막한 나무가 한 그루 있는데 의상대사의 지팡이라고 전해진다.“이 나무(선비화 학명은 골담초)의 영고(榮枯)를 보아 내 생사를 징험하라”고 의상대사가 일렀다는 이 지팡이는 비는 고사하고 이슬 한 방울 맞지 못하면서도 신비스럽게 살아서 의상대사의 영험을 보여주고 있다.
◈안향(호는 회헌, 1243~1306) 1288년에 원나라에 들어가 문묘와 국자감을 돌아보고 『주자전서』를 필사하여 돌아와 주자학을 연구하니 우리나라에 주자학을 들여온 시초이다. 중국에서 많은 서적과 교육에 필요한 자료 등을 들여와서 유학의 진흥에 활기를 띠게 하였고 이 나라의 선비들에게 학문의 길에 정진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회헌영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초상화이며 국보 제111호로 지정되어 소수서원에 모셔져 있다.
안향 선생 ◈하륜(호는 호정, 1347~1416) 고려 공민왕 20년에 영주향교를 창건하여 유학생들의 교육장소로 이용하도록 하였으며, 제민루(오늘날의 보건소)라고 하는 약재취급 의약소를 설립하여 제약 구민에 힘썼다.
◈주세붕과 소수서원 우리나라의 최초의 사액서원을 설립하였으며, 야생산삼의 인공재배법을 연구하여 인삼재배 기술을 널리 알렸다. 지금도 풍기지역은 인삼재배가 전체 농가의 90%이다.
◈문재도와 효자마을 고려 우왕 2년(1376)에 왜구가 침입하자 문재도는 아버지를 업고 산으로 피신하는데 왜구들이 쏜 화살이 아버지 등에 꽃혔다. 황급히 화살을 뽑고 응급치료를 하여 숲속에 숨어 계시게 하고 칼을 뽑아 뒤쫓는 왜구에 대항하여 용감히 싸우니 왜구들은 앞을 다투어서 도망하였다. 그 후 나라에서 이 일을 알고 세상에 드문 효자며 충신이라 하여 포상하고 효자비를 세워 길이 귀감이 되게 하였고 그 마을을 효자마을이라 하였다.
◈장말손(張末孫) 세조 13년(1467)에 이시애의 난때 난군의 토벌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慨功臣)에 책록되었다. 유물관에는 장말손의 영정과 상훈교서, 종손가소장고문서(소지 분재기 교지), 유품(패도) 등 여러 점을 보물로 지정 보관하고 있다.
내 고장의 문화유산 ■ 국보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제17호
◈부석사 무량수전 제18호
◈부석사 조사당 제19호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제45호
◈부석사 조사당 벽화 제46호
◈회헌 영정 제111호
◈흑석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및 복장유물 제282호
■ 사적 ◈소수서원 제55호
◈순흥 어숙묘 제238호
◈순흥 읍내리 벽화고분 제313호
■천연기념물 ◈영풍 안정면 느티나무 제273호
◈영풍 순흥면 느티나무 제274호
◈영풍 단산면 갈참나무 제285호
■보물 ◈숙수사지 당간지주 제59호
◈영주리 석불입상 제60호
◈영주 석교리 석불상 제116호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 제220호
◈가흥리 마애삼존불상 제221호
◈부석사 3층석탑 제249호
◈부석사 당간지주 제255호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 제485호
◈인동장씨 선세홍백패 제501호
◈장말손 영정 제502호
◈적개공신 장말손 상훈교서 제604호
◈영주신암리 마애삼존석불 제680호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제681호
◈주세붕 영정 제717호
◈부석사 고려각판 제735호
◈성혈사 라한전 제832호
◈장말손 유품 제881호
◈영풍 비로사 석아미타 및 석비로사나불좌상 제996호
◈장말손 종손가 소장 고문서 제1005호
■ 기념물(도지정) ◈휴천리 선사시대 지석 및 입석 제24호
◈사현정 제69호
◈금성단 제93호
◈도강서당 제131호
■ 유형문화재(도지정)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제4호
◈영주삼가동 석조당간지주 제7호
◈우금촌 두암고택 제81호
◈영주읍내리 석불입상 제125호
◈초암사 3층석탑 제126호
◈칠성루 및 휴계재사 제174호
◈풍기향교 제211호
◈희방사 동종 제226호
◈회헌개모영정 제237호
◈서총대친림연회도 제238호
◈영주가흥리 암각화 제248호
◈군자정 제276호
◈종릉재사 제278호
◈배순정려비 제279호
◈영주용혈리 와요지 제310호
■ 무형문화재(도지정) ◈영풍장도장(김일갑) 제15호
■ 문화재자료(도지정) ◈영주향교 대성전 제23호
◈영주읍내리 석조여래좌상 제148호
◈영풍두월리 약사여래석불 제223호
◈금광리 장씨고택 제233호
◈순흥 척화비 제242호
◈영풍월호리 마애석불좌상 제243호
◈백룡사 석조여래좌상 제282호
◈첨모당 제315호
◈평은리 양지암 제335호
◈순흥향교 제347호
◈흑석사 마애삼존불상 제355호
◈영주수도리 김위진 가옥 제360호
◈영주수도리 김규진 가옥 제361호
◈영주수도리 김정규 가옥 제362호
◈영주수도리 박덕우 가옥 제363호
◈영주수도리 박천입 가옥 제364호
■ 민속자료(도지정) ◈괴헌 고택 제65호
◈해우당 고택 제92호
◈만죽재 고택 제93호
◈화기리 인동장씨 종택 제98호
◈영주청구리 입석 제115호
◈영주수도리 김덕진 가옥 제117호
◈영주수도리 김뇌진 가옥 제118호
3.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영풍 장도 장도는 대개 옛 상류사회에서 애용해온 장신구로서 남자는 허리띠에, 여자는 옷고름에 차는데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부녀자의 정절을 지켜주는 상징이 되기도 하였다. 전통장도의 맥을 이어온 김일갑(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5호)은 고집스러운 장인정신의 외길을 지켜와 소박하면서도 정교하고 멋스러운 장도로 그 명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은장도 ◈국궁 전통국궁의 맥을 이어온 제작자 권영덕씨는 30여년간 활제작을 위해서 외길 인생을 살아왔으며, 국궁제작의 주원료는 대나무, 물소뿔, 뽕나무, 참나무 등이 사용된다.
◈문수 수도리(무섬)의 전통마을 수도리는 고택과 정자로 이루어진 전통마을로 옛 모습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해우당과 만죽재는 옛 선비의 단아한 격식이 느껴지는 고택으로 경상북도 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많은 학자가 배출되었다.
수도리 마을 ◈두레골 성황제 정월 보름날 첫 새벽에 지내는 두레골 성황제는 금성대군의 신위를 모시고 있다. 이 지역 서민들의 모임인 ‘초군청’에 의해서 치러지며 원형 그대로 잘 보존되고 있다.
구전설화 ◈희방사와 두운조사 희방사는 643년(신라 선덕여왕 12)에 두운조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어느날 두운조사가 산길을 가다 신음하는 호랑이를 발견했다. 그 호랑이는 사람을 먹고 목에 비녀가 걸렸는데, 두운조사가 비녀를 빼주고 호랑이를 살려주었다. 그 후 호랑이는 두운조사의 은혜를 갚고자, 어느 양가집 규수를 물어다 주었다. 그 규수는 바로 경주호장의 무남독녀였다. 경주호장은 딸을 살려준 두운조사의 은혜에 보답코자 희방사를 지어주었다. 절 이름도 은혜를 갚게 되어 기쁘다는 뜻의 희(喜),두운조사의 참선방이란 것을 상징하는 방(方)을 써서 희방사라 이름지었다.
◈의상대사와 부석(浮石) 의상대사는 중국에서 불법을 공부할 때 잠시 머물렀던 신도의 집에서 선묘낭자와 만난다. 그후 선묘낭자는 의상대사에게만 온 마음을 바치지만, 출가한 승려를 향한 사랑은 애초부터 속세의 관념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선묘낭자는 귀국길에 오른 의상과 이별하지 않기 위해 바다에 몸을 던져 용이 되어 의상을 따라 신라로 왔다. 그후에도 용이 된 선묘낭자는 그를 보호하고 도와줬다. 부석사를 창건할 때는 절터에 이미 자리를 잡은 도적떼를 물리치기 위해 큰 바위를 세 차례나 하늘에 띄우는 이적을 행하기도 했다. 바로 이 전설을 간직한 뜬돌이 부석사에 있는데 현재 우리는 부석이라고 부른다.
◈고치재 성황당(城隍堂) 이곳 소백산맥을 넘는 많은 고개 가운데에 여기 고치재에만 성황당이 남아 있다. 고치재는 순흥에 귀양와 있던 금성대군(錦城大君)이 단종(端宗) 임금의 귀양지인 영월로 다니는 길목이었다는 것이다. 15살에 왕위를 빼앗기고 17살에 죽은 단종임금을 태백산 신령으로 단종임금 복위를 도모하다 희생된 금성대군을 소백산 신령으로, 모시고,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의 지경인 고갯마루에 이 성황당을 건립하였다. 제사는 고개 넘어 첫마을인 마락리 세목마을에서 매년 정월 보름날 첫새벽에 올린다.
◈순흥의 청다리 소수서원의 죽계수가 흐르는 다리밑에서 공부하는 선비들이 기녀들과 풍류를 즐기다가 정이 들어 사생아를 낳기도 했는데 양쪽 다 아이를 기를 형편이 못되어 청다리 밑에 내다 버리곤 했다. 지금도 말 안듣는 아이에게는 청다리 밑에서 주워왔다고들 한다.
◈술바위 휴천동에 술바위라고 하는 바위가 있는데 누구든지 1잔 이상 마시면 안된다는 금기를 깨고 지나가던 나그네가 연거푸 받아마시고 술타령을 하다가 죽고 말았으니, 그 후로 다시는 술바위에서 술이 나오지 않았다 한다.
주민의 종교생활 전통적인 마을신앙이 곳곳에 남아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순흥면 읍내리의 성황제 및 각 동네마다 동제들이 아직도 남아 제를 올리고 있지만, 개신교와 불교의 확산은 빠르게 시민들에게 파고들고 있다. 그 분포도를 보면 사찰 67개, 교회 112, 성당 4, 유교 4, 천도교 1, 원불교 1, 기타종교 6개처이다.
주민의 생활권역 ◈번개시장 원당로를 따라 약 500m가량의 재래시장으로서 번개장이라하여 도로변에서 토종 닭, 토끼, 개, 염소 등 동물을 팔고 할머니들이 쌀, 찹쌀, 보리쌀, 좁쌀, 팥, 콩, 깨, 녹두 등 농산물과 옷, 과일, 채소, 반찬류 등을 팔고 사고 하므로 사라져 가는 장날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나무전골목 시장기능이 많이 부족하던 시대에 순수하게 영주에서 만들어졌던 여러 농기구 및 주방용품, 땔감 등이 거래되었던 곳이 지금에 와서 나무전골목이라 불리워지고 있으며, 현재에는 건재한약재판매시장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역의 별미음식 특산물인 영주한우로 인하여 한우불고기 식당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인삼을 이용한 삼계탕, 인삼갈비, 토속식품인 메밀묵이 관광객들에게 부담없는 가격으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영주꿀사과 영주 꿀사과는 산록지대를 중심으로 천혜의 자연 속에서 생산되며 숙기에 밤낮 기온차가 심해 과질이 단단하고 향기와 당도가 높으며 사과 속에 꿀이 함유되어 전국 소비자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다. 빈혈, 피로회복, 피부미용, 위장장애 등에 특효가 있다.
◈소백산 풍기인삼 소백산록의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에서 생산되는 풍기인삼은 타지방 어느 곳의 인삼보다 내용조직이 충실하고 인삼향이 강하며 유효 사포닌 함량이 매우 높다. 혈압조절, 간장보호, 항암작용, 항당뇨, 피로회복, 식욕증진, 적혈구 증가 등 신진대사의 모든 기능에 효과가 있다.
소백산 풍기인삼 ◈영주소백한우 천혜의 소백산 맑은 물과 공기, 양질의 풀을 먹고 자란 소백 한우는 전국에서 육질이 가장 좋다는 판정을 받았으며, 최신시설의 도축장에서 위생적으로 처리한 영주소백 한우고기는 가장 질이 좋고 위생적인 순수 우리 한우고기이다.
◈마·하수오 소백산록의 풍부한 유기물과 수분함량이 높은 토양에서 생산된 마(산약), 하수오는 품질이 전국에서 가장 우수하며 자양강장, 양혈, 보간, 갈증해소, 당뇨에 효능이 뛰어나고 허약체질, 정력제로 좋은 건강식품이다.
◈소백산 오정주 오정주는 소백산 청정약수, 우리쌀, 우리밀로 만든 누룩, 소백산에서 자생하는 약초(황정, 창출, 송엽 외 3종)로만 빚어 만든 전통명주로서 강장·강정의 효능과 오장육부를 튼튼히 한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저온에서 100일이상 장기숙성되는 뒷끝이 아주 깨끗한 술이다.
◈풍기인견직 풍기인조는 1930년경 명주공장으로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풍기지역에 150여개 업체가 연간 1억 5천만 야드의 인견직, 폴리에스터, 나일론을 생산하여 해외수출 및 국내판매를 하고 있다.
◈순흥메주 우량품질의 순수 국산콩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순흥메주는 태양건조로 재래식 메주의 특징을 그대로 지녀 장을 만들면 발효도가 높아 향기가 좋고 맛이 구수하다.
4. 예술문화자원
지역문화예술행사 ◈소백사랑·철쭉사랑 축제 △주최·주관 - 영주문화원 ☎ (054)631-3300 △개최시기 - 매년 5월말 ~ 6월초순 △행사내용 - 소백산을 전국에 알리고 소백산 철쭉꽃길 걷기대회 및 통일기원제를 지내며, 죽령장승제, 장승깎기대회 등
소백산 철쭉제 ◈소백예술제 △주최·주관 - 한국예총영주지부 ☎ (054)635-1223 △개최시기 - 매년 5월말 △행사내용 : 공연행사, 세미나, 사진전시회, 그림전시회 등.
◈풍기인삼축제 및 소백문화제 △주최·주관 - 영주문화원 ☎ (054)631-3300 △개최시기 - 매년 10월 초 △행사내용 - 인삼캐기 현장체험, 최고인삼콘테스트, 인삼대제, 전통연날리기, 인삼을 이용한 음식전시회 및 시식회, 민속놀이, 농악경연대회, 다양한 먹거리장터, 각종공연 및 전시회
풍기인삼축제 지역문화에술단체 ◈한국예총 영주지부 영주시 영주2동 470-62 ☎ (054)635-1223/회원수 - 300명
◈영주향토사연구회 영주시 영주2동 470-62 ☎ (054)638-1110/회원수 - 31명
◈영주서도회 영주시 하망동 341-15 ☎ (054) 633-1477/회원수 - 60명
◈영주시군자동호회 영주시 영주2동 470-62 ☎ (054)636-6771/회원수 - 45명
◈소백풍물 영주시 영주2동 633-8221/회원수 - 75명
◈시민합창단 영주시 휴천3동 대영A 101-1107 ☎ (054)635-8129/회원수 - 37명
◈극단 소백무대 영주시 영주2동 시민회관 지하 ☎ (054)635-4121/회원수 - 24명
◈영주금석문동호회 영주시 휴천2동 642-286 10/1 ☎ (054)632-9393/회원수 - 14명
◈영주국향회 영주시 하망동 322-15 ☎ (054) 632-0608/회원수 - 43명
◈흙사랑회 영주시 영주2동 470-42 ☎ (054)631-3300/회원수 - 22명
◈영주청소년오케스트라 영주시 가흥1동 1469-25 ☎ (054)635-1209/회원수 - 31명
◈소남한시회 영주시 안정면 용산2리 527 ☎ (054)632-5681/회원수 - 25명
◈영주영상회 영주시 영주1동 362-3 ☎ (054) 632-0308/회원수 - 30명
◈소백한화회 영주시 영주1동 377-14 ☎ (054) 635-6070/회원수 - 5명 ※그외 33개단체가 있다.
지역언론기관 ◈소백춘추 올해로 11년째를 맞이하고 있는 『소백춘추』는 지역의 문화·예술·시사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월간지로 간행되고 있다. 영주시 휴천2동 303-3 ☎ (054)633-9949
◈영주신문 창간 8년째를 맞이하고 있으며 영주 최초의 지역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하였으며, 영주의 지역언론으로 자세한 지역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영주시 가흥1동 1397-278 ☎ (054)635-1600
지역문화예술 시상제도 ◈영주시민대상 매년 지역 향토발전에 기여한 시민들에게 주는 상으로 문화효행부문, 주민봉사부문, 사회절서부문, 새마을사업 및 지역개발부문, 농촌소득증대 및 영농부문이며 해당 읍, 면, 동의 추천으로 영주시장이 시상하고 있다. 주관 영주시청
◈영주청년대상 영주청년회의소에서 주관하는 행사로 지역발전을 위하여 헌신적으로 노력하고 맡은 바 의무에 충실히 수행해온 모범 젊은이에게 주는 청년대상은(만20세~만40세 이하) 충효 및 사회봉사부문, 교육, 문화, 체육부문, 산업진흥 및 환경보호부문에 시상을 하고 있다.
지역출신 예술인 ◈이두식(화가) 미술가로 제17대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홍익대미술대학 회화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손진책(연극연출가) 극단 미추의 대표이며 연출가. 마당놀이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대표적인 마당놀이로는 「별주부전」, 「흥부전」 등이 있다.
◈김정현(소설가) 소설 『아버지』의 작가로 유명하며 활발한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소백산 우리나라 12대 명산의 하나로 1987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소백산 국립공원에는 영남 제1의 희방폭포와 희방사, 천문대가 있고 연화봉과 비로봉(1,439m) 국망봉으로 이어지는 산세가 웅장하고 부드럽다. 아흔아홉구비 죽령이 허리를 감싸는 소백산은 봄을 알리는 철쭉에서부터 짙푸른 여름, 단풍으로 아름답게 물들여지는 가을, 흰눈으로 눈부신 겨울의 설경까지 무한한 자연의 신비를 간직한 민족의 영산으로서 우리들을 포근하게 감싸준다.
◈옥녀봉휴양림 소백산 도솔봉 기슭에 자리잡은 휴양림은 울창한 숲속에 조성되어 삼림욕을 즐기기에 그만이며, 군데군데 작은 오솔길이 있어 자연을 벗삼으며 산책하기에도 좋다. 자연휴양림 뒤로 명산 소백산의 수려한 풍광이 펼쳐져 경치 또한 일품이다.
◈부석사 우리나라 5대 명찰 중 하나인 부석사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이 갈라지는 경계에 위치한 봉황산 품에 안겨있다. 의상대사가 676년(신라 문무왕 16)에 왕명에 따라 창건한 사찰이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서 유홍준 교수는, 부석사를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찰”이라 칭송하며, “아름답다는 형용사로는 장쾌함을 담아내지 못하며 장쾌하다는 표현으로는 정연한 자태를 나타내지 못한다”고 했다. 또 그는 부석사행을 극락세계로 오르는 행복한 순례길이라 표현했을 만큼 장엄함과 아름다움이, 그리고 의상과 선묘의 애절한 사랑이 그려져 있는 사찰이다.
◈소수서원 소수서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으로, 순흥면 내죽리의 울창한 숲속에 자리잡고 있다. 서원의 이름인 ‘소수(紹修)’란 ‘이미 무너진 교학을 닦게 함’이란 뜻으로 학문부흥에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당시 명종임금은 손수 ‘소수서원’이라는 편액글씨를 써서 하사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소수서원 일대를 세계적인 충·효·예 교육장으로 만들기 위한 종합개발에 착수 현재 조성중인 선비촌에는 누각, 초가, 기와집, 연못, 산책로 등이 들어서며, 앞으로 소수학예원, 소수박물관 등이 건립되어 명실상부한 역사유적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소수서원 전경 관광시설 ◈소백산관광호텔 객실 51실 규모의 깨끗한 숙박시설로서 영주시내의 야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영주시 가흥2동 531-1 ☎ (054)634-3300
◈에이스궁전호텔 영주시 휴천2동 329-5 ☎ (054)634-1600
◈영주호텔 영주시 휴천2동 329-1 ☎ (054)632-4000
◈코리아나호텔 영주시 부석면 소천 387-15 ☎ (054)633-4445
◈풍기호텔 영주시 풍기읍 성내 51-15 ☎ (054) 637-8801
관광코스 ◈1일코스 ·영주 → 순흥읍내리 벽화고분 → 소수서원 → 금성단 → 순흥향교 → 부석사 → 영주 ·영주 → 죽령옛길(희방사역) → 죽령주막 →희방계곡,희방폭포 → 희방사 →풍기인삼시장 → 영주
◈소백산 등산 1일코스 ·4시간대 : 영주 → 죽령검문소 → 희방계곡,희방폭포,희방사 → 연화봉 → 죽령휴계소 → 영주 ·5시간대 : 영주 → 풍기삼가동 → 비로사 → 비로봉 → 연화봉 → 희방사, 희방폭포, 희방계곡 → 죽령검문소 → 영주 ·6시간대 : 영주 → 죽계구곡, 초암사 → 국망봉 → 비로봉 → 비로사 → 풍기삼가동 → 영주 ·8시간대 : 영주 → 죽령검문소 → 희방계곡, 희방폭포, 희방사 → 연화봉 → 비로봉 → 국망봉 → 초암사 → 죽계구곡 → 영주
◈2일코스 ·1일차(소백산등반) : 영주 → 죽령검문소 → 희방폭포 → 희방사 → 연화봉 → 비로봉 → 비로사 → 풍기삼가동 → 숙소(옥녀봉자연휴양림) 2일차 (명승지관광) : 숙소 → 부석사 → 소수서원,금성단 → 순흥읍내리벽화고분 → 풍기인삼시장 → 죽령옛길(희방사역) → 죽령주막 → 목적지 ·1일차(소백산등반) : 영주 → 풍기삼가동 → 비로사 → 비로봉 → 연화봉 → 희방사, 희방폭포, 희방계곡 → 죽령검문소 → 숙소(옥녀봉자연휴양림) 2일차(명승지관광) : 숙소 → 부석사 → 소수서원,금성단 → 순흥읍내리벽화고분 → 풍기인삼시장 → 죽령옛길(희방사역) → 죽령주막 → 목적지 ·1일차(소백산등반) : 영주 → 죽계구곡 → 초암사 → 국망봉 → 비로봉 → 연화봉 → 희방사, 희방계곡, 희방폭포 → 죽령검문소 → 숙소(옥녀봉자연휴양림) 2일차(명승지관광) : 숙소 → 부석사 → 소수서원,금성단 → 순흥읍내리벽화고분 → 풍기인삼시장 → 죽령옛길(희방사역) → 죽령주막 → 목적지
관광쇼핑 ◈풍기인삼시장 풍기일대에서 나는 건강한약재인 인삼을 1년 내내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곳이다. 특히 혈압조절, 간장보호, 항암작용, 항당뇨, 피로회복, 식욕증진, 적혈구 증가 등 신진대사의 모든 기능에 효과가 있다. 풍기읍 서부동 145-3 ☎ (054) 636-7948
◈영주소백한우 전국에서 육질이 가장 좋다는 판정을 받았으며 최신시설의 도축장에 위생적으로 처리한 영주소백한우고기는 축협판매장, 농협판매장 하나로마트에서 구입할 수 있다. ☎ (054)635-4342, 636-9550
관광안내소 ◈영주시청 문화관광과 ☎ (054)639-6062 http: //www.yongju.kyongbuk.kr
◈영주역 관광안내소 영주의 관광정보를 제공하며 각종 숙박시설 및 렌트카, 식당, 홍보팜플렛 등으로 영주를 찾는 이들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 (054)639-6788
◈영주문화원 영주를 찾는 많은 관광객에게 영주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 (054)631-3300 http://www.yjcc.or.kr
여가시설 ◈실내체육관 1988년 영주시 발전기금으로 건립된 체육관은 시민들의 체육시설로 농구장, 베드민턴, 핸드볼, 및 각종 체력단련시설이 되어 있으며 매년 10월 영주시민체육대회가 옆 시민운동장에서 개최된다.
◈아지동 청소년야영장 가족 및 단체, 청소년 야영시설로 화장실, 주차장, 세면장, 수영장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산책로도 이용된다. 시내에서 단산, 순흥행 버스를 이용하면 약 10여분 정도면 도착 가능하다.
◈마락 청소년수련원 폐교를 이용하여 수련원을 재구성하였다. 단체야영, 동아리체력단련행사 등 200명까지 수용가능하다.
◈서울롤러스케이트장 영주시 영주2동 518-32 ☎ (054)634-1238
◈알프스롤러스케이트장 영주시 가흥2동 520-3 ☎ (054)631-0288
◈동진스포츠센타 영주시 영주2동 513-3 ☎ (054) 634-1114
◈삼정볼링센타 영주시 휴천1동 709-2 ☎ (054) 635-2770
◈영주볼링장 영주시 휴천2동 515-7 ☎ (054) 636-8660
◈큐볼링 영주2동 510-5 ☎ (054)635-1124
◈풍기볼링장 영주시 풍기읍 성내동 168-1 ☎ (054)636-1441
◈현대볼링장 영주시 영주2동 496-3 ☎ (054) 633-1818
6. 문화시설자원
공연장 ◈영주시민회관 영주 2동에 자리하고 있으며 객석 628석의 1, 2층의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관내의 문화예술단체들의 활발한 활동으로 매월 10 이상 공연 및 세미나, 강연회 등이 개최된다. ☎ (054)634-3124
영화관 ◈가고파소극장 영주2동 삼성생명 옆에 자리하고 있으며 128석의 자리를 구비하고 있다. ☎ (054) 632-8786
◈영보소극장 시내 번화가 한 가운데 자리하고 있어 젊은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좌석 119석 ☎ (054)631-2444
문화의 집 ◈풍기문화의집 실내평수 145평의 큰 규모의 문화의집이다. 각종 동아리방, 영상감상실, 문화관람실, 어린이놀이방 등을 갖추고 있으며, 각종 교육, 오락비디오 및 최신간 도서 등 약 10,000여 점 이상의 전문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 (054)636-2868
문화원 ◈영주문화원 영주시 영주 2동 470-62(영주시민회관 내) ☎ (054)631-3300 http://www.yjcc. or.kr 원장 정지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