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양주는 경기도 31개 시·군의 하나로서 동으로는 포천군, 서로는 고양시와 파주시, 남으로는 서울시와 의정부시, 북으로는 동두천시와 연천군과 인접해 있다. 예로부터 경기 북부 지역의 중심지로 기능하였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 성격이 나타나는 곳이기도 하다. 전체 면적의 61%가 임야 및 산지이고, 25%가 농경지로 구성되어 있어 대체로 산이 많고 평지가 적다. 대표적인 산으로는 양주의 진산인 불곡산을 비롯하여, 감악산·천보산·칠봉산·도락산·은봉산·도봉산(오봉) 등이 있으며, 중랑천과 신천·곡릉천 등이 흐르고 있다. 장흥지역의 아름다운 경관과 회천지역의 공업지대, 그리고 기타지역의 농촌이 복합적으로 잘 어우러져 있는 인심좋고 풍요로운 전통적 농업경제지역으로 최근 들어 눈부신 발전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과거 대양주권에 속해 있었던 남양주시와 구리시, 의정부시와 동두천시, 그리고 서울 노원구와 중랑구 일대가 모두 분리되어 나가 예전과 같은 군세를 유지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수도 서울과 가까운 곳에 자리잡고 있으면서도 독특하고 개성있는 문화를 형성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다양한 유·무형문화재가 현재까지 남아 있고, 앞으로도 농촌과 도시가 잘 어우러진 쾌적한 전원도시를 가꾸기 위하여 군민 모두 노력하고 있다.
<양주군 연표> 시 대 연 대 주 요 사 항
고대 삼한시대 마한의 모수국
457 고구려 장수왕 43년, 매성군 또는 창화군
757 신라 경덕왕 16년, 내소군으로 개칭
고려
태조때 내소군을 견주, 한양군을 양주로 개칭 문종때 양주를 남경이라 개칭
1308 충렬왕 34년, 한양부로 개칭
조선 1394 태조 3년, 한양부로 도읍
1397 태조 6년, 한양부의 부치를 견주로 이전하고 양주라 함
1410 태종 10년, 양주목으로 승격
1413 태종 13년, 양주도호부로 승격
1511 중종 6년, 양주목으로 개편
1895 한성부 양주군으로 개편
1896 경기도 양주군으로 개편
근대 1922 군청사를 시둔면(현재의 의정부시)으로 이전
1938 시둔면을 양주면으로 개칭
1942 양주면이 의정부읍으로 개칭
현대 1963 의정부읍이 의정부시로 분리, 이담면이 동두천읍으로 승격
1980 남양주군 분리
1981 동두천읍이 시로 승격되어 분리
1985 회천면이 읍으로 승격
양주 벌산대 놀이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삼국시대의 쟁패지 매초성 양주는 아래로는 우리 민족의 젖줄인 한강이 흐르고 있고, 위로는 한탄강이 흐르고 있어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 중의 한 곳이었다. 따라서 고구려와 백제, 신라가 항상 양주를 도모하기 위해 다투었던 역사의 현장이었다. 지금도 곳곳에 삼국시대 유적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신라가 당의 20만 대군을 물리친 전승지 매초성은 많은 역사학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일찍이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는 자신들의 야욕을 드러내어 신라까지도 자기 손안에 넣으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장수 이근행과 20만의 정예군대를 파견하여 칠중성(지금의 적성)을 함락하고 이곳 양주 매초성에 진을 치고 신라군과 싸우게 되었는데, 당시 신라군은 이를 습격하여 대승을 거두었던 것이다. 매초성의 승리로 신라는 당나라의 지배야욕을 꺾을 수 있었고, 마침내 완전한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조선왕조 창업의 일등공신 무학대사가 주지로 있었던 회암사지 회암사는 회천읍 회암리에 있는 고찰로 현재 터만 남아있다. 조선왕조 창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고려말 조선초를 역동적으로 살다간 나옹스님, 지공스님, 무학스님의 부도가 나란히 자리잡고 있는 장소이다. 일찍이 무학대사는 조선왕조를 창업한 태조 이성계를 도와 나라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조선이 내걸고 있는 사상인 ‘숭유억불(崇儒抑佛)’정책에 의해 이곳 회암사에 와서 주지로 있으면서 태조 이성계를 측면 지원하였다. 태조는 대규모 법회나 다른 곳으로 행차할 때에도 왕사인 무학을 접견한다는 이유로 이곳 회암사를 일곱 차례나 방문하였고, 왕위에서 물러난 이후에는 이곳 회암사를 은신처로 삼기도 하는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 있었던 곳이다. 특히 조선 중기 명종대에 문정왕후 윤씨와 보우스님이 회암사를 중심으로 불교의 융성을 꾀하였으나, 문정왕후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함께 회암사는 쇠락의 길을 걷게 되었으며, 현재는 모든 전각이 불타 없어지고 터만 남게 되었다.
화암사지 부도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남을진(생몰년 미상) 고려말 충신으로 조선 왕조 개창 후 감악산에 은거하며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정신을 따른 충절의 표상. 그가 숨어지냈다는 남선굴이 현재 감악산에 남아 있으며, 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절사가 은현면 봉암리에 복원되어 일년에 두 번씩 봄·가을로 제향을 드리고 있다.
◈휴암 백인걸(1497∼1579) 백인걸은 조선 중기 대표적인 청백리로서 조광조의 문하생이며, 저서로는 휴암집이 있다.
◈학곡 홍서봉(1572∼1645) 조선 중기 문신으로 문장과 시·글씨에 능했으며, 저서로는 『학곡집』이 있다.
◈의암 정용대(1882∼1910) 구한말 대표적인 의병장으로 정미7조약에 의하여 구한국군이 해산되자 스스로 창의좌장군을 칭하면서 의병전쟁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1910년 1월 26일 순국하였다.
내 고장의 문화유산 ■보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제387호 회천읍 회암리 산8-1
선각왕사비(보물) ◈회암사지 부도 제388호 회천읍 회암리 산 8-1
◈회암사지 쌍사자석등 제389호 회천읍 회암리 산8-1
■사적 ◈회암사지 제128호 회천읍 회암리 산 14-1
◈온릉 제210호 장흥면 일영리 산 19
■중요무형문화재 ◈양주별산대놀이 제2호 주내면 유양리 261
◈양주소놀이굿 제70호 백석면 방성리 446
■천연기념물 ◈남면 느티나무 제278호 남면 황방리 136-2
■중요민속자료 ◈백수현 가옥 제128호 남면 매곡리 282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지공선사 부도 및 석등 제49호 회천읍 회암리 산 8-1
◈나옹선사 부도 및 석등 제50호 회천읍 회암리 산 8-1
◈무학대사비 제51호 회천읍 회암리 산 8-1
◈회암사지 부도탑 제52호 회천읍 회암리 산 14-1
◈어사대비 제82호 주내면 유양리 33-1
■무형문화재 ◈나전칠기장 제24호 주내면 산북리 372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 제27호 백석면 오산리 516-5
■기념물 ◈권율장군 묘 제2호 장흥면 석현리 산 168
권율장군묘 ◈해유령저첩비 제39호 백석면 연곡리 산 28
◈이수광 선생 신도비 제49호 장흥면 삼하리 산90
◈백인걸 선생 묘 제58호 광적면 효촌리 산 26
◈추사필적 암각문 제97호 장흥면 삼하리 산 65
◈이준 선생 묘 제120호 남면 신산리 산 1-1
◈양주산성 제143호 주내면 어둔리 산 99
■민속자료 ◈회암사지 맷돌 제1호 회천읍 회암리 산 14-1
■문화재자료 ◈양주향교 제2호 주내면 유양리 266
◈이준 선생 영정 제81호 남면 신산리 산 1-1
◈옥정리 선돌 제89호 회천읍 옥정리 627-1
3.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양주별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는 서울 중심의 경기도지방에서 연희되어 온 산대도감극의 한 분파로서 본산대인 아현·녹번 등지의 것과 비슷하며, 지금으로부터 약 200여 년전부터 양주읍(현 주내면 유양리)에서 해마다 4월 초파일·5월 단오·7월 백중·8월 추석을 비롯한 대소 명절에 연희되었는데, 보통 밤 10시경에 시작하여 다음날 새벽까지 진행되었다고 한다. 주요한 내용은 춤과 덕담으로 흥취를 돋우면서 양반사회의 부조리를 통렬하게 비판하는 것으로 당시 민중사회의 실체를 이해하는 데 아주 귀중한 자료이다.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2호인 양주별산대놀이는 현재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를 중심으로 계승 보존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매주 토요일마다 상설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양주소놀이굿 양주소놀이굿은 양주의 무부(巫夫) 팽수천에 의해 이 지역에 전승되어 온 연희로서 주로 무당과 마부의 대화, 마부의 타령과 덕담·춤사위, 소의 동작 등으로 엮어져 있는데, 농사의 가장 기본인 소의 숭배와 액막이가 한데 어우러져 멋진 춤사위와 타령, 그리고 연희를 선보이고 있는 전국에서 유일한 소놀이마당극인 것이다. 현재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70호로 지정되어 전승 보존되고 있으며, 매년 정기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는 백석면 방성리 고릉말의 인심좋고 협동심 강한 사람들이 우리 전통의 장례문화를 하나의 전승놀이로 승화 발전시켜온 무형문화재이다. 전통 장례문화는 이승에서 맺힌 한을 풀고 저승에 간 조상이 후손에게 덕을 베푸는 것인데,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는 이러한 내용을 충실하게 담아 소리로 풀어헤치고 있다. 특히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는 그 가사에 있어 경기도 지역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을 뿐만아니라 곡조에 있어서도 강원도민요의 곡조와 서북민요의 곡조가 함께 어우러지는 다양한 음악적 특성을 보여준다.
구전설화 ◈백효삼묘에 얽힌 전설 백효삼의 부인 양주윤씨가 원래 자기 아버지가 묻힐 무덤인 명당자리에 장사지내기 바로 전날 밤 몰래 물을 길어다 부어 못쓰게 한 후 대신 자신의 남편인 백효삼을 그곳에 묻히게 하여 자손들이 번창하고 부귀영화가 오게 되었다고 한다. 그후 정말로 백효삼의 손자인 백인걸이 대학자와 청백리로 알려져 국가로부터 많은 사패지(賜牌地)를 받게 되었고, 그 후손들은 부귀영화를 누리게 되었다.
◈북창 정렴에 얽힌 전설 유교와 불교, 도교에 통달한 정렴은 10리밖에서 벌어지는 일도 보지 않고 훤히 알 수 있을 만큼 도술에 뛰어난 인물이었다. 하루는 절친한 스님이 문안차 찾아왔기에 하인이 곧 술을 가지고 올터이니 한잔 하고 가라고 말하고는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별안간 스님에게 오늘은 술을 마실 수 없을 것 같다라고 말하면서 돌아가라고 하는 것이었다. 스님은 영문을 몰라 어리둥절하고 있었는데, 하인이 숨이 턱에까지 차가지고 와서 하는 말이 약주를 가지고 오던 중에 그만 약주병이 깨졌다고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와 같이 북창 정렴에 관하여 신통력과 의술 등에 얽힌 전설이 끊임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주민의 종교생활 영산의 하나인 감악산과 불곡산이 있는 양주는 전통적인 마을신앙이 과거부터 왕성하게 존재해 왔으며, 현재도 남면 신암리와 황방리 등 감악산 자락의 여러 곳에 전통적인 마을신앙인 당산제가 행해지고 있고, 주내면 유양리 불곡산 자락에서도 2년에 한번씩 마을주민이 모두 모여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산신제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서양문화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기독교신앙 또한 빠른 속도로 전파되고 있다. 현재 양주에는 대표적인 명찰 회암사를 비롯한 크고 작은 불교 사찰이 총 36 개소, 개신교 교회가 112 개소, 천주교 성당이 4개소 있다.
<양주군 종교단체 현황> 명 칭 소재지
불 교 회암사 회천읍 회암리 산8-1
백화암 주내면 유양리40
천주교 군종교구 불무리교회 백석면 방성리
개신교 동북교회 회천읍 덕계리 682
제일교회 회천읍 옥정리 888
중앙교회 남면 신산리 285
주민의 생활권역 ◈가래비 5일장 광적면 가납리 면사무소 부근에 5일마다 서는 장. 이곳은 서울과 인근 경기도지역에 널리 알려진 5일장의 명소이다. 예전의 번창하던 모습은 거의 사라졌지만, 그래도 예전의 명맥을 이어가면서 장터의 멋스러움을 간직한 양주의 대표적인 장시이다.
가래비 5일장 ◈덕계리 상가지역 이곳은 회천읍 교통의 중심지로서 3번 국도인 평화로변 양편에 수많은 상가가 들어서 주민들의 편의를 돕고 있다. 최근에는 대형 도매상가가 들어서서 더욱 많은 사람들이 왕래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다양한 상점들이 속속 들어서고 있다.
지역의 별미음식 ◈불곡산의 정기를 안은 서민을 위한 식도락 원골순대 원골순대는 약 20여 년전부터 주내면 유양리 원골마을을 중심으로 사람들의 입맛을 돋구었던 별미 중의 하나이다. 함경도 아바이순대와 황해도 시골장터의 순대맛을 독특하게 가미한 원골순대는 여타지역의 순대보다 순대속이 알차고 맛있을 뿐만아니라 국물도 진국이어서 한번 맛을 본 사람들은 다시 찾아오지 않고는 못배길 정도이다. 원골순대국은 칼로리가 높고 맛있는 건강식으로 각광받고 있어 지금도 불곡산 등반을 마친 사람들이 꼭 찾아와 원골순대를 먹고 간다.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양주의 대표적 농산물 부추 양주들녘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농산물 중의 하나가 바로 부추다. 부추는 위장을 튼튼하게 하며 강장효과도 뛰어나 많은 사람들이 즐겨먹는 채소이다. 주로 생채로 먹거나 살짝 데쳐 무쳐 먹기도 하고 튀김이나 볶음으로도 할 수 있는데, 우리에게는 오이소박이에 쓰이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양주군에서는 백석면일대와 회천읍 회암리일대에서 부추를 생산하고 있는데, 백석에서 생산되는 부추는 잎이 넓은 ‘정구지’인데 반하여, 회암리에서 생산되는 것은 ‘솔’부추이다.
4. 예술문화자원
지역문화예술행사 ◈양주문화제 [상세정보] △주최·주관 : 양주군·양주문화원 ☎ (031)840-6467 △개최시기 : 매년 10월 초(2일간) △행사종목 : 군민노래자랑, 국악한마당, 전통혼례, 문예행사 등
◈청소년문화축제 [상세정보] △주최·주관 : 양주문화원 △개최시기 : 매년 5월 중(1일간) △행사종목 : 청소년뽐내기대회, 문예행사, 전시 및 공연 등
◈양주어린이축제 △주최·주관 : 양주군 ☎ (031)820-2470 △개최시기 : 매년 5월 5일 전후(2일간) △행사종목 : 각종 공연 및 전시, 어린이 어울마당 등
◈정월대보름맞이 고유민속놀이대회 △주최·주관 : 양주문화원 개최시기 : 매년 음력 정월대보름(1일간) △행사종목 : 윷놀이, 투호, 닭싸움, 팽이치기, 제기차기, 널뛰기 등 각종 민속놀이
◈근로자노래자랑 △주최·주관 : 양주문화원 △개최시기 : 매년 5월 1일 근로자의 날(1일간)
◈양주별산대놀이 [상세정보] 정기공연 및 상설공연 △주최·주관 :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 (031)840-1389 △개최시기 : 정기공연은 매년 5월 5일∼6일 2일간, 상설공연은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매주 토요일 양주별산대놀이전수회관 놀이마당에서 펼쳐짐. △행사종목 : 양주별산대 공연, 기타 중요무형문화재 초청공연, 유양초등학교 양주별산대놀이 탈춤반 공연 등
◈양주소놀이굿 정기공연 [상세정보] △주최·주관 : 양주소놀이굿보존회 ☎ 0351-845-4242 △개최시기 : 매년 4월 마지막 일요일 △행사종목 : 양주소놀이굿 공연, 기타 중요무형문화재 공연 등
양주 소놀이굿 지역문화예술단체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주내면 유양리 262 ☎ (031)840-1389 / 회원수 23명
◈양주소놀이굿보존회 백석면 방성리 618-2 ☎ (031)845-4242 / 회원수 23명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보존회 백석면 오산리 516-5 ☎ (031)879-2813 / 회원수 25명
◈극단 미추 백석면 홍죽리 675-2 ☎ (031)879-3100 / 회원수 30명
지역언론기관 ◈양주신문 올해 창간 8년째를 맞고 있는 양주신문은 양주지역의 지역언론으로 자세한 지역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의정부시 의정부1동 ☎ (031)848-2345
지역출신 예술인 ◈김성녀 백석면 홍죽리에 살고 있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악·창극인으로, 특히 윤문식씨와 더불어 마당놀이에 독보적인 존재이다. 매년 ‘MBC마당놀이’10년 넘게 주인공으로 출연하면서 그동안 춘향전, 이춘풍전 등 해학과 기지가 넘치는 대중친화적 마당놀이를 우리에게 선보여주고 있다.
지역소재 예술작품 ◈임꺽정전 벽초 홍명희의 장편소설, 양주출신 백정의 아들 임꺽정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장편 대하역사소설.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양주의 진산(鎭山) 불곡산 주내면 유양리에 위치한 불곡산은 사시사철 수많은 등산객이 오는 명산 중의 하나이다. 정상높이는 해발 360m에 불과하지만 산세가 빼어나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산중에는 천년고찰인 백화암이 자리잡고 있다. 등산코스는 세가지가 있는데, 주내 유양리 백화암으로 올라가는 길, 백석 방성리에서 올라가는 길, 주내 산북리 샘내에서 올라가는 길 등이 있다.
불곡산 설경 ◈영험한 산 감악산 경기 오악(五嶽)의 하나로서 해발 675m인 감악산은 파주시 적성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데, 양주에서는 신암리로 오르는 길과 황방리로 오르는 길이 있다. 특히 감악산 정상에는 ‘빗돌대왕비’라고 부르는 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비석이 있어 이곳이 삼국시대 이후 역사의 현장이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더욱이 정상에 서면 맑은 날인 경우 개성 송악산이 뚜렷하게 보일 정도로 군사전략상 중요한 곳이기도 하다. 그리고 감악산은 신령의 영험이 있다 하여 오래 전부터 민간신앙의 대상이 되어 오고 있다.
◈배반의 형상을 한 도락산 백석면 방성리와 은현면 용암리의 경계에 있으며, 현 양주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산이다. 해발 441m의 도락산은 송도를 향해 머리를 조아리고 있는 충신산(忠臣山)으로 불리우다가 조선왕조의 개창과 더불어 한양을 배반하고 있는 형상이라하여 산정상을 치게 하였으므로 머리가 떨어져나가 두락산(頭落山)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오는 곳이다. 현재 석재 채취작업과정에서 생긴 폭포가 겨울이면 얼어붙어 아름다운 빙폭을 이루고 있어 빙벽등반의 훈련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최대의 거찰 회암사 조선의 창업 및 태조 이성계와 깊은 관련을 갖고 있는 조선시대 최대의 거찰 회암사는 회천읍 회암리에 소재한 사찰로 현재 그 화려했던 제모습을 잃은 채 절터만 남아있으나, 최근 발굴이 진행되면서 원래의 모습을 되찾아가고 있다. 절터에는 회암사지부도탑과 금당지, 당간지주, 그리고 석축계단 등이 그대로 남아 있어 그 옛날 한 시절을 풍미했던 거찰의 면모를 알 수 있게 해준다. 회암사를 병풍처럼 둘러치고 있는 천보산은 아름다운 자태를 뽑내면서 회암사를 감싸안고 있으며, 능선에는 무학대사부도를 비롯하여 나옹선사 및 지공선사의 부도 및 비석이 있다.
관광시설 ◈장흥국민관광단지 장흥면 석현리에 소재한 관광시설로 서울 인근에 있기 때문에 주말이면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오고 있다. 관광단지 내에는 계곡이 흐르고 있고, 숲이 우거져 있어 여름이면 가족단위의 행락객들이 찾아올 뿐만 아니라, 계곡 양편에는 많은 음식점과 유흥시설이 산재하고 있어 일년내내 사람들로 북적거릴 정도이다. 관광단지 내에는 에버그린관광호텔을 비롯한 숙박시설과 두리훼밀리랜드, 토탈미술관 등 종합관광 위락시설 및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장흥 ◈에버그린관광호텔 객실 50여 석의 아름다운 산자락를 등지고 위치하고 있는 깨끗한 숙박시설로서 봄이면 산에 만발하는 꽃의 아름다움으로, 가을이면 만산홍엽을 자랑하는 산세와 어루어지는 멋진 곳에 자리잡고 있다. 장흥면 석현리 386-9 ☎ (031)845-1170 업소명 위치와 전화번호
청기와 여관 장흥면 부곡리 644 ☎(031)840-4600
유성파크호텔 장흥면 석현리 386-7 ☎(031)840-5755
알프스여관 장흥면 일영리 6-1 ☎(031)842-0391
관광코스 ■역사문화 탐방코스 ◈1일코스 장흥권율장군묘 → 온릉 → 회암사지 → 양주향교 → 양주별산대놀이전수회관 → 금화정 → 어사대비 → 양주동헌
◈2일코스 추사필적암각문 → 장흥권율장군묘 → 온릉 → 불곡산 백화암 → 양주동헌 → 어사대비 → 금화정 → 양주별산대놀이전수회관 → 양주향교 → 회천읍 양주청소년수련관(1박) → 감악산빗돌대왕비 → 남선굴 → 홍구택묘비 → 회암사지
유양리 동헌 ■관광지 및 역사유적 연계코스 ◈제1코스 권율장군묘 → 토탈미술관 → 두리훼밀리랜드 → 온릉 → 일영유원지자연학습장(어린이대상)
◈제2코스 불곡산 백화암 → 불곡산 정상 → 양주동헌 → 양주별산대놀이전수회관 → 양주향교(청장년대상)
◈제3코스 신암리 저수지 → 남선굴 → 감악산 빗돌대왕비 → 회암사지 → 양주청소년수련관(청소년대상)
관광쇼핑 ◈양주특산품전시장 ‘까치마을’ 장흥면 석현리 장흥국민관광단지 안에 있는 양주지역의 특산품 전시 판매장이다. 총 79평에 2층건물인 이곳은 부추가공식품, 송엽주, 화훼류, 양주배, 솔잎엑기스 등 농산품과 양주탈, 도자기, 나전칠기 등 공예품을 전시하고 있다. ☎ (031)840-6501
관광안내소 ◈양주군 문화관광사업소 광적면 광석리 ☎ (031) 820-2471, http://www.yangju.kyonggi.kr
여가시설 ◈양주청소년수련관 회천읍 덕계리에 소재하고 있는 청소년 여가선용 시설이다. 지상4층의 수련관 내에 식당, 휴게실, 숙박실, 체육활동실, 샤워실, 실내집회장, 정보자료실을 갖춘 이곳은 야외에 테니스장과 야영장 등을 갖추어 명실공히 청소년들의 문화복지 전용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로얄골프장 주내면 만송리에 소재한 총 27홀의 골프장으로 주변 경관이 아름답고 서울에서 가까워 많은 골프인구가 찾아오고 있다.
6. 문화시설자원
박물관 ◈양주군립도서관 향토자료실 전시실 40평, 양주지역에서 실생활에 쓰였던 생활용구 및 전통민속자료, 고문서 등 총 250여 점이 전시되고 있다. 양주지역의 여러 종중 및 향토사연구자들로부터 기증받은 역사자료를 전시하고 있어 다른 어떤 곳보다도 뜻있는 향토역사박물관으로서 자리매김되고 있다. 회천읍 덕정리 ☎ (031)820-2581
미술관 ◈장흥토탈미술관 전시실 2실, 야외조각공원 600평, 200석 규모의 소극장, 500석 규모의 야외공연장과 휴게실을 갖춘 종합문화공간으로, 연중 조각·회화·도자기작품 등의 전시는 물론 원형공연장을 중심으로 한 연극·인형극·음악·무용·마당놀이 등이 펼쳐지고 있다. 장흥관광단지 내 두리훼밀리랜드 맞은편에 자리잡고 있는 토탈미술관은 연중 수많은 관람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장흥면 일영리 9-2
장흥토탈미술관 공연장 ◈양주군문화예술회관 광적면 광석리에 소재한 양주군민 문화의 요람. 1,600석 규모의 대공연장과 373석 규모의 소공연장, 600석 규모의 야외공연장을 갖춘 문화예술의 종합적인 공간으로 각종 전시실과 체육시설을 갖추고 있다. ☎ (031)820-2471, http://www.yangju.kyonddi.kr 들어와서 문화관광사업소.
전수회관 ◈양주별산대놀이 전수회관 양주별산대놀이의 계승 보존을 위하여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원들이 연습할 수 있는 시설로 단층 건물이다. 청소년과 어린이는 물론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별산대놀이를 배우고자 하는 어떤 사람이라도 이곳에서 별산대놀이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교육의 장이다. 주내면 유양리 262번지 소재 ☎ (031)840-1389
◈양주소놀이굿 전수회관 양주소놀이굿의 계승 보존을 위하여 양주소놀이굿보존회원들이 항상 연습할 수 있는 시설로 단층 건물이다. 전수회관 앞마당에는 놀이마당이 있어 매년 4월 마지막 일요일마다 정기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백석면 방성리 618-2번지 소재 ☎ (031)845-4242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 전수회관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의 계승 보존을 위하여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 회원들이 연습하는 시설로 2층 건물이다. 이곳에는 상여를 비롯한 각종 장례도구들이 전시되고 있어 미니박물관으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백석면 오산리 516-5번지 소재 ☎ (031)879-2813
문화원 ◈양주문화원 광적면 가납리 726 ☎ (031)840-6467, FAX : (031)840-6468 원장 서승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