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북부지역에 위치한 의정부는 예로부터 수도 서울의 관문으로서 경원선, 교외선이 지나고 국도 3호선과 39호, 43호선이 지나는 교통의 중심지이다.
동쪽으로는 남양주시와 포천군에, 서쪽으로는 양주군 장흥면에, 남쪽으로는 서울 도봉구와 노원구에, 북쪽으로는 양주군 주내면과 접해있는 의정부는 폭이 15㎞, 길이가 16㎞, 전체면적이 81.98㎢에 달한다.
시내 중앙에 중랑천이 서울 한강으로 흐르고 있으며 표고별 면적비율은 100m 이하의 저지대가 총면적의 60%로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100∼500m의 구릉지대가 40%에 이르며 양옆 동서로는 수락산과 도봉산이 솟아있어 대자연과 잘 조화된 지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지난 냉전시대에는 남북간의 갈등 고조와 함께 군사적으로 이용되는 등 지역발전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되기도 하였으나, 탈냉전시대로 접어들면서 남북화해 무드를 타고 북방개발의 요충지로 등장하면서 각종 규제가 완화되어 새로운 도약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특히 2000년 2월 경기도 제2청사가 의정부에 개청됨으로써 경기도 북부지역의 교육, 문화, 행정, 경제, 교통의 중심지로서 그 역할이 고조되고 있다.
고대 고조선 진의 영토 삼한 진한의 영토
삼국 고구려의 매성군
757 신라 경덕왕 16년, 매성군을 내소군으로 개칭
고려 태조 견주로 개칭 1018 현종, 양주에 편입 1308 충렬왕, 한양부로 개칭
조선 1394 태조 3년, 한성부로 변경, 부치를 동촌 대동리로 옮김 1397 부치를 다시 견주로 이전하고 양주부로 변경 1410 태종 10년, 양주목으로 승격 1413 양주도호부로 개편 1430 세종, 양주목으로 개편 1504 연산군, 양주목 폐지, 왕의 수렵지구로 됨 1506 중종, 양주목으로 복구
근대 1895 고종 32년, 한양부 소속의 군으로 개편 1914 시북면, 둔야면을 통합하여 시둔면으로 개편 1922 양주군 청사, 시둔면 의정부리로 이전 1938 시둔면을 양주면으로 개칭
현대 1942 양주면이 의정부읍으로 승격 1963 의정부읍이 의정부시로 승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