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남구 부산광역시 남구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부산광역시 남구 정보
◈ 남구의 역사문화자원
역사에 나타나는 우리 고장의 인물은 그다지 많지 않고 지금의 구 경계와 같이 지역적 구분이 어려워 남구 주변의 인물들을 소개한다면 첫째 고려조 18대 의종 때 사람인 정서(호 과정)를 들 수 있다. 널리 알려진 「정과정곡」의 지은이로서 이 노래는 충신이 임금을 그리워하는 내용으로 고려가요 가운데 유일하게 작가를 알 수 있는 노래이다.
목   차
[숨기기]
 

1. 역사문화자원

 

1.1. 역사적 사건과 현장

 
남구는 산지가 대부분으로 인근 수영강과 범천 유역을 중심으로 농경생활이 시작되었다고 가정해 볼 때 석기시대나 청동기시대에는 사람이 살지 않았거나 살아도 극히 적은 수가 아니었나하는 추측이 가능할 뿐 현재까지 기록으로 남은 것은 없다. 남구 관련 최초의 기록인 『삼국지』 「위서」에 의하면 삼한이 70여 소국으로 분립되어 있고 이중 변한이 12국이었다고 하는데, 여기에 등장하는 거칠산국과 현재 남구의 주산인 황령산의 우리말 이름인 ‘거친 뫼 → 거칠산’과 연관지어 해석하곤 한다.
 
그리고 『삼국사기』 거도열전(居道列傳)에 “신라 탈해왕 때 거도가 간(干)이 되어 우시산국과 거칠산국을 멸하였다”는 내용과 용당동에 있는 신선대와 관련하여 “신라말 최치원 선생이 신선이 되어 이 곳에서 노닐었다 하며 산봉우리에 있는 무제등이란 바위에 신선과 신선이 타던 백마의 발자취가 있었다”는 속설이 있고 그 이름도 이 설에서 유래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으며, 고려조에 와서는 고려 말기 명장 최영 장군이 “감만동에 침투한 왜구를 격퇴하였다는 속설과 함께 그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현재 감만 1동에 무민사라는 사당이 있고, 아직도 매년 장군의 공덕을 기리는 제향을 올리고 있다”는 민간 구전 역사 이야기가 있다. 조선조에 들어와서는 용호동의 이기대와 관련하여 “임진왜란 때 왜군들이 수영성을 함락시키고 부근의 경치 좋은 곳에서 축하연을 열었을 때 수영의 의로운 기녀가 자청해서 그 연회에 참석하여 왜장에게 잔뜩 술을 권하고는 술 취한 왜장을 안고 물 속에 떨어져 함께 죽었다고 하여 이기대(의기대)라는 이름이 생겨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등 남구는 삼한시대로부터 각 시대마다 역사적인 이야기와 전설이 얽혀있는 유서 깊은 역사의 고장이다.
 
 
 

1.2.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역사에 나타나는 우리 고장의 인물은 그다지 많지 않고 지금의 구 경계와 같이 지역적 구분이 어려워 남구 주변의 인물들을 소개한다면 첫째 고려조 18대 의종 때 사람인 정서(호 과정)를 들 수 있다. 널리 알려진 「정과정곡」의 지은이로서 이 노래는 충신이 임금을 그리워하는 내용으로 고려가요 가운데 유일하게 작가를 알 수 있는 노래로 고등학교 교과서에 단골로 실리는 국문학적 의의가 큰 작품이며, 남구 인근 망미동에 ‘과정로’라는 도로 이름이 있고 그가 기거했던 곳에는 시비가 세워져 있다.
 
그리고 남구 인근 수영 출신으로 한낱 어민에 지나지 않았지만 조선조 숙종 때 울릉도와 독도를 우리 땅으로 일본 막부에 확인시키고 그 증거서류를 받아낸 안용복 장군이 있다. 그는 당시에는 죄인 취급을 받았으나 현재 수영공원에 충혼탑이 있고, 울릉도의 울릉공원에도 충혼비가 있다.
 
근세의 인물로서는 용당동 일원에 합판왕국을 건설하여 국가경제 부흥에 일익을 맡았던 동명그룹 총수 강석진 회장이 있다. 가구공장 견습공에서 합판목재계의 1인자가 된 입지전적인 인물로 경북 청도 출신이며 만년에는 동명학원을 설립하고, 동명불원(절)을 세웠으며, 각종 장학사업과 지방은행인 부산은행의 설립에도 앞장서는 등 지역경제와 발전에 많은 공적을 남겼다. 또 한사람 경북 봉화에서 태어나 우암동에 성창합판을 세워 합판업계의 선두주자로서 부산경제와 국가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한 정태성 회장은 기업 경영인으로 커다란 업적을 남겼으며, 학교법인 성지학원의 설립인가를 받아 성지중·고교와 부산외국어대학교를 차례로 설립하여 후학 양성에도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1.3. 내 고장의 문화유산

 
■ 국가 지정 문화재(국보)
 
◈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 제200호, 대연4동 948-1 부산시립박물관
 
◈ 영태2년명 납석제호(永泰2年銘 蠟石製壺) - 제233호, 대연 4동 948-1 부산시립박물관
 
 
■ 시지정 문화재(기념물)
 
◈ 약조제찰비(約條制札碑) - 제17호, 대연 4동 948-1 부산시립박물관
 
◈ 척화비(斥和碑) - 제18호, 대연 4동 948-1 부산시립박물관
 
◈ 동래남문비(東萊南門碑) - 제21호, 대연 4동 948-1 부산시립박물관
 
◈ 오륙도(五六島) - 제22호, 용호동 936번지~941번지
 
◈ 신선대(神仙臺) - 제29호, 용당동 산 170 번지 일원
부산광역시 남구 정보
• 남구의 어제와 오늘
• 남구의 역사문화자원
• 남구의 생활문화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