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고전 아카데미 400강 강의자료 요약 (2025.10.23)
2025년 10월 23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 종군행
2) 작자: 양형(楊炯) 650년~692년
양형은 중국 당나라 시대의 저명한 시인으로, 초당 사걸(初唐四杰)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산시성 화음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보였으며, 11세의 나이에 신동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습니다.
생애와 경력
양형은 659년에 소년 특별 과거에 합격하여 홍문관에 임명되었고,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했습니다. 그는 성격이 독선적이고 오만하여 세인의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문학적 재능은 인정받아, 왕발(王勃), 노조린(盧照鄰), 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초당 사걸로 불리며 당대 문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종군행(從軍行)》이 있으며, 이 시는 전쟁과 변경 생활을 주제로 한 격앙된 정서를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양형은 또한 부(賦) 작품에서도 두각을 나타내었으며, 그의 문집인 《양영천집(楊盈川集)》은 10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문학적 특징
양형의 시는 주로 전쟁과 변경 생활을 다루며, 그 속에서 격정적인 감정을 잘 드러냅니다. 그는 왕발의 고전적인 스타일을 칭찬하고, 노조린의 궁정 시의 과도한 형식주의를 비판하는 등, 문학적 비평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독창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사망과 유산
양형은 692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생애는 대부분 수도 장안에서 보냈습니다. 그는 특별한 사건 없이 재임 중 사망한 유일한 초당 사걸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의 문학적 유산은 당나라 시가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후대 시인들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 문학적 기여: 양형은 율시(律詩)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작품은 당대 문학의 기준을 세우는 데 기여했습니다. 그는 왕발과 함께 율시의 완성에 많은 공을 세운 시인으로 평가받습니다. - 문학적 동 시대성: 초당 사걸은 모두 당나라 초기의 시인으로, 그들의 작품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당대 문학의 흐름을 형성했습니다. 이들은 각기 다른 스타일을 가지고 있지만, 함께 문학적 전통을 이어갔습니다
* 중국의 아장(牙杖), 병부(兵符), 호부(虎符)는 고대 중국에서 사용 되었습니다.
• 정의: 호부는 고대 중국에서 군사 동원을 위한 증표로, 호랑이 모양으로 제작된 금속 물체입니다. 일반적으로 구리로 만들어졌으며, 두 쪽으로 나뉘어 사용됩니다. • 기능: 호부는 군사 지휘관이 군대를 동원할 때 사용되며, 한쪽은 황제가, 다른 한쪽은 군사 통솔자가 가지고 있습니다. 두 쪽이 일치해야만 군사를 동원할 수 있는 증거로 작용합니다. • 역사적 중요성: 호부는 군사적 권한을 상징하며, 고대 중국에서 군사 작전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호부의 사용은 군사적 명령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호부(虎符)는 고대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에 대한 수많은 이야기가 전해져 왔습니다. " 사기 "에 따르면, 전국 시대인 기원전 257년, 진나라는 조나라의 수도인 한단을 포위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습니다 . 그의 아내가 위나라 신릉군(新陵 , 조나라의 평원군(平元君)은 위나라 왕과 신릉군에게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 위나라 왕은 노장 진비 (金碧)에게 10만 명의 병력을 보내 조나라를 구출했지만, 진비는 진나라의 세력을 두려워하여 군대에게 기다려 보라고 명령했습니다. 한단을 돕기 위해 위나라의 왕자 신릉군 무극(武極)은 위나라 왕의 아내 여극(漫極)과 공모하여 위나라 왕의 침실에서 호부(虎符)를 훔쳤습니다. 여극은 그것으로 진비의 군대를 무장 해제하고 진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조 나라를 구했습니다. 곽모약은 이 주제를 베이징 인민예술극장 에서 공연된 그의 유명한 희곡 호부(虎符)에 각색한 적이 있습니다 . 삼국지연의 51장 에서 조조는 적벽대전 에서 패배한 후 북쪽으로 후퇴합니다 . 제갈량은 남군의 상황을 이용하여 용감한 장군 조운에게 도시를 성공적으로 점령하고 수비 장군 진교를 사로잡으라고 명령하여 호부(虎符)를 얻습니다.그런 다음 그는 이 호부(虎符)를 사용하여 경주 수비대를 교묘하게 동원하여 남군을 구출합니다. 그런 다음 장비는 같은 방법으로 경주를 점령하고 양양 수비대를 몰아내 관우가 도시를 점령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제갈량은 호부(虎符) 하나만으로 조조의 군대를 돌려 한 방울의 피도 흘리지 않고 세 도시를 함락 시킵니다. 막대한 자금과 물자, 병력을 소모한 주우 는 아무것도 얻지 못합니다. 이는 당시 호부(虎符)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줍니다.
* 고체시(古體詩), 악부시(樂府詩), 근체시(近體詩)는 중국 고전 시가의 세 가지 주요 형식으로,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이 있습니다.
1.고체시(古體詩) • 정의: 고체시는 당나라 이전에 창작된 시로, 형식에 있어 비교적 자유로운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체시는 일반적으로 구(句)의 수나 각 구의 평측(平仄) 구성에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자수(字數)와 구수(句數)를 허용합니다. • 형식: 고체시는 사언시(四言詩), 오언시(五言詩), 칠언시(七言詩) 등 여러 형태로 나뉘며, 각 구의 길이와 구성 방식이 자유롭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오언고시와 칠언고시가 있습니다. • 주요 특징: o 압운(押韻) 규칙이 덜 엄격하여, 시의 흐름에 따라 운을 바꿀 수 있습니다. o 문학적 표현이 자유롭고, 감정이나 주제를 다양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o 고대의 가요에서 발전한 형태로, 민속적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2.악부시(樂府詩) • 정의: 악부시는 원래 음악과 관련된 시로, 주로 민간의 노래를 수집하고 정리한 것입니다. 한나라 무제 때에 악부관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된 시 형식으로, 음악에 맞춰 부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 형식: 악부시는 잡언시(雜言詩)와 같은 자유로운 형식으로, 자수와 구수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룰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체시와는 달리, 악부시는 음악적 요소가 강조됩니다. • 주요 특징: o 민속적이고 서민적인 주제를 다루며, 역사와 풍속을 묘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o 음악적 리듬과 멜로디에 맞춰 창작되었기 때문에, 노래로 부르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집니다. o 고체시와는 달리, 특정한 형식적 제약이 없고, 다양한 표현 방식이 가능합니다.
3.근체시(近體詩) • 정의: 근체시는 당나라 시대에 완성된 정형시로, 고체시와는 달리 엄격한 형식적 규칙을 따릅니다. 근체시는 주로 율시(律詩)와 절구(絶句)로 나뉘며, 각 형식은 특정한 자수와 구수, 압운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 형식: 근체시는 일반적으로 5언(五言)과 7언(七言)으로 구성되며, 각 구는 일정한 평측법(平仄法)을 따라야 합니다. 이는 시의 리듬과 운율을 엄격하게 규제합니다. • 주요 특징: o 각 구의 길이와 구성 방식이 정해져 있어, 문학적 표현이 고도로 정형화되어 있습니다. o 대구(對句)와 같은 구법이 존재하여, 시의 구조가 더욱 복잡하고 세련됩니다. o 근체시는 고체시와 악부시에 비해 문학적 규범이 엄격하여, 시인의 창작에 있어 더 많은 제약이 있습니다.
결론 고체시, 악부시, 근체시는 각각의 역사적 배경과 문학적 특성에 따라 구분됩니다. 고체시는 자유로운 형식과 민속적 요소를 강조하며, 악부시는 음악적 요소와 민간적 주제를 중심으로 한 시가입니다. 반면, 근체시는 엄격한 형식적 규칙을 따르는 정형시로, 문학적 표현이 고도로 정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각 시 형식이 발전해온 역사적 맥락과 문화적 배경에서 기인합니다.
* 송나라의 사(詞)와 원나라의 곡(曲)은 중국 문학에서 중요한 두 가지 장르로, 각각의 특징과 발전 과정이 다릅니다.
1. 송나라의 사(詞) • 정의: 사는 송나라 시대에 유행한 서정시의 한 형태로, 주로 음악에 맞춰 부르는 가사입니다. 사는 당나라의 시에서 발전하였으며, 민간 가요의 가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형식: 사는 일반적으로 길고 짧은 구절이 혼합되어 있으며, 감정과 정서를 섬세하게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송나라에서는 사의 발전이 두드러졌으며, 특히 소령(小令)과 만사(漫詞)로 나뉘어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 주요 작가: 송나라의 대표적인 사 작가로는 유영(柳永)과 소식(蘇軾)이 있습니다. 유영은 대중적이고 감정적인 사를 썼으며, 소식은 보다 고급스럽고 문학적인 사를 창작했습니다. • 주제: 사는 사랑, 이별, 자연, 사회적 이슈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개인의 감정을 깊이 있게 표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송나라의 사는 특히 도시 생활과 시민의 정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2. 원나라의 곡(曲) • 정의: 원곡(元曲)은 원나라 시대에 유행한 희곡 문학의 한 형태로, 주로 노래와 연극이 결합된 형식입니다. 원나라의 곡은 산곡(散曲)과 잡극(雜劇)으로 나뉘며, 대중적이고 통속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형식: 원곡은 감정을 직설적으로 표현하며, 사회적 비판과 개인의 고뇌를 솔직하게 드러냅니다. 산곡은 짧은 노래 형식으로, 감정의 표현이 자유롭고 생동감 넘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주요 작가: 원나라의 대표적인 곡 작가로는 관한경(關漢卿), 백박(白朴), 마치원(馬致遠)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원나라의 사회적 현실을 반영한 작품을 많이 남겼습니다. • 주제: 원곡은 사랑, 사회 비판, 인간의 고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특히 하층민의 삶과 감정을 생생하게 표현합니다. 원나라의 곡은 대중의 삶을 반영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결론 송나라의 사와 원나라의 곡은 각각의 시대적 배경과 사회적 맥락을 반영하며, 중국 문학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사는 섬세한 감정 표현과 고급스러운 문체를 특징으로 하고, 곡은 대중적이고 직설적인 표현을 통해 사회적 현실을 반영합니다. 두 장르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중국 문학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 중국의 상화가사(相和歌辞)는 한대(漢代) 시기에 발전한 전통 음악 형식으로, 주로 민간에서 유래한 노래입니다. 이 곡조는 주로 관악기와 현악기의 반주에 맞춰 불리며, 노래하는 방식은 앞사람의 선창에 화답하는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1.상화가사의 특징 • 형식: 상화가사는 기본적으로 노래와 악기가 함께 어우러지는 형식으로, 주로 민간의 생활을 반영한 내용이 많습니다. 이 곡조는 다양한 악기와 함께 연주되며, 특히 슬조(瑟調), 청조(淸調), 평조(平調)와 같은 세 가지 주요 곡조로 나뉩니다. • 주제: 상화가사는 일반적으로 사랑, 이별, 고향에 대한 그리움 등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러한 주제는 당시 사람들의 일상적인 삶과 감정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 역사적 배경: 상화가사는 한대의 민간 음악에서 유래하였으며, 후에 귀족층에 의해 채택되어 궁정 음악으로 발전했습니다. 특히 조씨 삼부자(조조, 조비, 조식)가 이 곡조를 애창하며 직접 가사를 짓거나 개작하여 궁정에서 사용하게 되면서 점차 경전화되고 귀족화되었습니다. • 문헌 기록: 상화가사는 《악부시집(樂府詩集)》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 책은 당시의 다양한 음악과 가사를 정리한 중요한 문헌입니다. 곽무천(郭茂倩)은 이 책에서 상화가사를 포함한 여러 곡조를 분류하고 설명하였습니다.
2.결론 상화가사는 중국 전통 음악의 중요한 부분으로, 민간의 정서를 담고 있는 곡조입니다. 이 곡조는 단순한 노래 형식을 넘어, 당시 사회와 문화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고 있으며, 후대 문학과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상화가사는 오늘날에도 그 역사적 가치와 예술적 아름다움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 중국의 상화가사(相和歌辭)에서 사용되는 슬조(瑟調), 청조(淸調), 평조(平調)는 각각 독특한 음악적 특성과 감정을 표현하는 곡조입니다. 이들 곡조는 전통 중국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기 다른 분위기와 감정을 전달합니다.
1. 슬조(瑟調) • 정의: 슬조는 주로 슬(瑟)이라는 악기에 맞춰 연주되는 곡조로, 감정적으로 깊고 우아한 느낌을 줍니다. 슬조는 일반적으로 슬픈 감정이나 애절한 주제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 특징: 슬조는 부드럽고 섬세한 멜로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사랑의 슬픔이나 그리움을 노래하는 데 적합합니다. 이 곡조는 감정의 깊이를 강조하며, 듣는 이로 하여금 깊은 감동을 느끼게 합니다.
2. 청조(淸調) • 정의: 청조는 맑고 깨끗한 느낌을 주는 곡조로, 주로 기쁜 감정이나 경쾌한 주제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청조는 일반적으로 밝고 희망적인 분위기를 전달합니다. • 특징: 청조는 경쾌하고 리드미컬한 멜로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의 아름다움이나 행복한 순간을 노래하는 데 적합합니다. 이 곡조는 듣는 이에게 상쾌한 느낌을 주며,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3. 평조(平調) • 정의: 평조는 중립적이고 안정적인 느낌을 주는 곡조로, 다양한 주제를 다룰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평조는 일반적으로 일상적인 감정이나 상황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 특징: 평조는 비교적 단순하고 직관적인 멜로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범용적인 곡조입니다. 이 곡조는 듣는 이에게 편안함을 주며, 일상적인 이야기나 감정을 전달하는 데 적합합니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43-2강(2024,03,28) 보충자료
★ 보충자료
6) 三愆의 보충 9) 三省의 보충 * 忠信(충실과 신의), 主忠信, 忠恕
孔子 <里仁> “ 曾子曰夫子之道忠恕而已矣" "증자는 말씀하셨다. '선생님의 도(이상)는 오직 충(忠)과 서(恕)뿐이다.'"
참고로 忠恕를 설명하면,
《左傳》文公元年「忠,德之正也. "信,德之固也. 卑让,德之基也 」 충은 덕의 품행이 바른 것이고 신은 덕의 공고이고 비는 덕의 낮추는 겸허이다.
《中庸》13章「忠恕違道不遠。施諸己而不願,亦勿施于人」 충서는 도에 위배되지 않고 멀지않다. 즉 도에 가깝다. 자기에게 베푸는 것을 원치 않으면 다른 사람에게도 베푸지 마라
程顥, 《二程遺書》第11卷「以己及物, 仁也.(1) 推己及物, 恕也」(2) 자신으로부터 만물에 이른 것이 仁이다. 자기가 수행한 것을 확대해서 만물에 이르게 하는 것이 恕이다
《朱子集註》「盡己之心以待人謂之忠,推己之心以及人謂之恕」 자기의 마음을 다하여 그렇게 함으로서 타인을 대하는 것을 충(忠)이라 하고, 자신의 마음을 확대해서 그렇게 함으로서 타인에게 이르게 하는 것을 서(恕)라 한다."
焦循 (淸, 玩元 제자), 《論語通釋》「忠恕者何? 成己以及物也」(3) 忠恕가 무엇인가? 자신의 인격을 완성해서 그렇게 함으로서 만물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忠은 恕의 적극적인 방면이고, 盡心曰忠,盡忠而敬, 心守中正, 中庸을 강조. (마음을 다하는 것을 충이라 그러고 忠을 다하는 것을 敬(경)이라 한다. 마음이 중정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한 가운데를 지키는 것,) 중용을 강조한다.
恕는 소극적인 방면이고 心如人意, 仁義를 강조. (마음을 다른 사람의 뜻과 같이) 仁義(인의)를 강조한다.
즉 忠은 内以立己達己;恕는 外以立人達人이고, 《論語》를 인용해서 말하면, (충은 내부적으로 자기를 세워 다른 사람을 통달하게 하고) (서는 외부적으로 다른 사람을 세워 줌으로서 다른 사람을 통달하게 하는 것이다.)
〈顏淵〉「其恕乎!己所不欲,勿施于人」이고,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시행하지 말아라
〈雍也〉「己欲立而立人,己欲達而達人」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가 서고자 하면 다른 사람을 세워주고, 자기가 통달하고자 하면 다른 사람을 세워 주라
* 傳不習 a. 傳 - 전수해준 지식, teach ; b. 習 - 復(溫)習-learn-review
10) 三恕의 보충 * 恕 - 仁愛 - 推己及人
《論語》〈顏淵〉「己所不欲, 勿施於人」
* 有 - 어떤, 불특정, 有的, 某, someone, some
《論語》〈學而〉「有朋自遠方來(近來, 將來, 未來)...」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44강(2024,03,28) 강의 교안
*《論語》〈里仁〉 4-15. 參乎!吾道一以貫之。曾子曰..唯。子出,門人問曰..何謂也? 曾子曰..夫子之道,忠恕而已矣。
(注釋) 1) 參-曾參, 曾子, 효자, 宗聖, 孔廟4配(顏回1,曾子 2,孟子 3,子思4), 《大學》,《孝經》,《曾子十篇》 저서,
* 공묘의 대성전 오른 쪽에 안회와 자사 왼쪽에 증자와 맹자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易簀 ~ 易簀 (역책)은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이 표현은 증자(曾子)가 병이 위독할 때, 자신의 침대에 깔린 대자리가 너무 화려하다고 여겨 대자리를 바꾸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이 사건은 《예기》(禮記)의 <단궁편>(檀弓篇)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책은 일반적으로 학식과 덕망이 높은 인물이 임종을 맞이할 때의 상황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며, 겸손과 예의를 중시하는 유교의 가르침을 반영합니다. 증자는 자신의 신분에 맞지 않는 화려한 대자리를 바꾸는 행동을 통해, 자신의 도덕적 기준을 지키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사례로도 해석되며, 유교의 핵심 가치인 예의와 겸손을 강조합니다.
2) 吾道-공자가 추구하는 大道 3) 貫-꿰다, 관통, 穿 4) 一以貫之-한 가지로 귀결된다. 《孟子》〈滕文公上〉「夫道,一而已矣」 무릇 도란 한 가지이다.(관점이 다를 뿐이다.)
《朱子語類》「一以貫之,猶言以一心應萬事」 한가지로 꿰면 한 마음으로서 만사에 호응한다는 말과 같다.
5) 唯-겸손하게 대답하는 말, 唯阿, 唯俞, 唯唯, 唯諾, 諾 등과 같다. 劉淇(淸), 《助字辨略》「唯者,應之速而無疑也」 유란 대답을 신속하게 하고 의심하는 바가 없는 것이다.
6) 門人-공자 제자(入(進)門-3천, 入(登)堂-72賢, 入室-10哲-子路 처음에는 제외, 덕행, 24孝, 絶纓), 또 달리 學道, 記名, 入門, 入室, 嫡傳, 關門弟子 등으로 구분한다.
* 공자 제자 입문 시 바치는 속수 (束脩) 1. 육포 10묶음 2. 작은 병에 든 술 1병 3. 개 1마리
* 당나라 현종 시절 공자의 제자 10철(孔門十哲)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안회(顔回) - 자(字): 자연(子淵) 2. 민손(閔損) - 자(字): 자건(子騫) 3. 염경(冉耕) - 자(字): 백우(伯牛) 4. 염옹(冉雍) - 자(字): 중궁(仲弓) 5. 중유(仲由) - 자(字): 자로(子路) 6. 염유(冉有) - 자(字): 자유(子有) 7. 재여(宰予) - 자(字): 자아(子我) 8. 단목사(端木賜) - 자(字): 자공(子貢) 9. 복상(卜商) - 자(字): 자하(子夏) 10. 증삼(曾參) - 자(字): 자여(子與)
* 청 건륭제시에 2명 추가 1. 유약 (有若) 2. 주자 (朱子)
* 絕纓 (절영)는 고대 중국의 유명한 고사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주로 연회에서의 특정 상황을 묘사합니다. 이 용어는 "갓끈을 끊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남녀가 모여 자유롭게 즐기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의 유래는 춘추시대 초나라의 장왕(楚莊王)과 관련된 일화에서 비롯됩니다. 장왕이 신하들과 연회를 열고 즐기던 중, 촛불이 꺼지면서 한 신하가 장왕의 후궁을 희롱하려 했습니다. 후궁은 그 신하의 갓끈을 끊고 장왕에게 이 사실을 알리려 했으나, 장왕은 이를 문제 삼지 않고 모든 신하에게 갓끈을 끊게 하여 사건을 덮었습니다. 이는 신하들의 마음을 달래고, 연회의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한 배려였습니다. 이 사건은 후에 장왕의 관용과 덕을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지며, "절영지회(絕纓之會)"라는 표현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는 남의 잘못을 관대하게 용서하고, 어려운 상황에서 구해주면 반드시 보답이 따른다는 의미로도 해석됩니다. 결국, 절영은 단순한 행동을 넘어, 인간관계에서의 너그러움과 이해를 상징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7) 何謂-뭐라고 말씀 하신 거냐?
8) 忠恕 -《左傳》文公元年「忠,德之正也」 《中庸》13章「忠恕違道不遠。施諸己而不願,亦勿施于人」 鄭顥, 《二程遺書》第11卷「以己及物, 仁也., 推己及物, 恕也」 《朱子集註》「盡己之心以待人謂之忠,推己之心以及人謂之恕」 焦循(淸, 玩元 제자), 《論語通釋》「忠恕者何? 成己以及物也」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忠은 恕의 적극적인 방면이고, 盡心曰忠,盡忠而敬, 心守中正, 中庸을 강조. 恕는 소극적인 방면이고 心如人意, 仁義를 강조. 즉 忠은 内以立己達己;恕는 外以立人達人이고, 《論語》를 인용해서 말하면, 〈顏淵〉「其恕乎!己所不欲,勿施于人」이고, 〈雍也〉「己欲立而立人,己欲達而達人」이라고 할 수 있다. ;
9) 而已-일 뿐이다.
*《史記》〈周本紀〉4-023 1. 制 - 甲骨文, 원래는 규정, 점차 법규, 제도 《說文解字》「制,裁也」 재단하다. 다듬다.
(1) 다스리다, 《淮南子》〈主術〉「賢主之用人也, 猶巧工之制木也, 大者以爲舟航柱梁, 小者以爲楫楔, 修者以爲櫩榱, 短者以爲朱儒」 현명한 군주가 사람을 쓸 때는 마치 능숙한 장인이 나무를 다듬는 것과 같다. 큰 나무는 배의 기둥, 대들보로 만들고, 작은 나무는 노와 쐐기로 사용하며, 긴 나무는 처마와 석가래로 쓰고, 짧은 나무는 대들보와 석가래 연결하는 나무로 쓴다."
(2) 문자로 규정(제정), 《易經》〈節卦〉「澤上有水, 節, 君子以制數度, 議德行」 "못 위에 물이 있다. 절제(節), 군자는 수량을 정하고 도덕과 행위를 논의한다."
이 구절은 절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못 위에 물"이라는 이미지는 자원을 적절히 관리하고 조절하는 것을 의미하며, 군자는 이러한 절제를 통해 자신의 행동과 도덕을 논의하고 정립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즉, 군자는 자신의 행동을 규제하고 도덕적인 기준을 세우는 데 신중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三晉學和稷下學 삼진학(三晉學)과 직하학(稷下學)은 고대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에 번성했던 대표적인 학문적 흐름 및 기관을 지칭합니다. 두 용어는 학문적 성격과 지역적 배경이 뚜렷하게 다릅니다.
1. 삼진학 (三晉學) '삼진학'이라는 명칭이 특정한 학파를 지칭하기보다는, 주로 진(晉)나라가 분열하여 생겨난 세 나라(삼진)의 지역적 학풍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배경 - 국가 위(魏), 조(趙), 한(韓) 세 나라의 학문. 이 세 나라는 춘추시대 강대국이었던 진(晉)나라가 기원전 403년에 세 가문(한, 위, 조)에 의해 분열되어 성립되었는데, 이를 삼가분진(三家分晉)이라 합니다. 특징 - 전국시대 초기에 가장 먼저 개혁과 부국강병을 추진했던 위나라를 중심으로 법가(法家) 사상과 실용적인 정치 및 군사 사상이 강하게 발달했습니다. 주요 인물 - 위나라의 이회(李悝), 조나라의 신불해(申不害) 등 초기 법가 사상가들이 주로 활동했습니다. 이들의 사상은 이후 한비자 등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성격 - 주로 군주를 보좌하고 국가를 강하게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춘 실무적이고 실용적인 학문적 분위기가 특징이었습니다.
2. 직하학 (稷下學) 직하학은 전국시대 제(齊)나라의 수도 임치(臨淄)에 설치된 국립 고등 학문 기관인 직하학궁(稷下學宮)을 중심으로 번성한 학문 조류를 통칭합니다. 이는 당시 동아시아 최초의 국립 대학이자 학술 연구소와 같았습니다.
설립 배경 - 제나라의 환공(桓公)과 선왕(宣王)이 천하의 명사(名士)들을 초빙하여 제나라의 수도 임치성의 직문(稷門) 아래에 학궁을 세웠기 때문에 '직하'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특징 - 당시의 모든 사상인 제자백가(諸子百家), 즉 유가, 도가, 법가, 명가, 음양가 등 다양한 학파의 학자들이 모여 자유롭게 토론하고 논쟁하는 백가쟁명(百家爭鳴)의 중심지였습니다. 주요 활동 - 학자들에게는 후한 대우를 해주고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의정(議政)만 하게 하였기 때문에' 학문적 자유와 독립성이 보장되었습니다. 이들은 현실 정치에 대한 자문과 비판을 자유롭게 펼쳤습니다. 주요 인물 - 맹자(孟子), 순자(荀子), 추연(鄒衍), 한비(韓非), 이사(李斯) 등 당대의 유명한 학자들이 직하학궁에서 활동하거나 영향을 받았습니다. 특히 순자는 이곳의 좨주(祭酒, 총장)를 맡기도 했습니다. 성격 - 다양한 학문적 융합과 사상적 혁신을 이끌었으며, 중국 철학 발전의 황금기를 상징합니다.
* PPT 100~101는 다음 시간에 설명합니다.
( 2025.10.23. 주정봉 강의 요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