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5.09.15. 14:40 (2025.09.15. 14:34)

사마천 사기 396강 강의자료 요약 (2025.9.11)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登鸛雀樓〉와 작자 暢當 및 주요 단어(4大名樓, 江南 3大名樓, 迥, 世塵-塵世, 斷山, 王之涣의 〈登鸛雀樓〉와 비교 ......)에 대해서 설명 ; (2) 《莊子》〈外物〉「儒以詩禮發冢」의 의미와 儒家의 僞善性 설명 ; 《水經注》〈渭水〉에 나타난 秦始皇陵 도굴 사건 설명 ; (3) 甘酒와 食醯, 食醢에 대하여 韓中日 3국의 개념 설명 ; (4) 《論語》〈里仁〉4-13에 의거하여 禮讓, 何有, 如禮何 등 설명 ; (5) 친구의 호칭(諍友, 益友...), 의미와 불교에서 말하는 4종 친구 및 각종 사귐(八拜之交, 杵臼之交...)의 여러 가지 표현에 대하여 상세 설명 ; (6) 樂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7) 5聲8音12律과 文舞(干戚), 武舞(羽旄)에 대하여 설명 ; (8) 野蠻과 文明을 구분하는 몇 가지 필요충분조건(도구, 농업, 정착......) ; 中國과 臺灣의 현 상황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였습니다.
사마천 사기 396강 강의자료 요약 (2025.9.11)
 
2025년 9월 11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등관작루”
 
2) 작자: 창당( 暢當)
창당은 당나라 후기에 활동한 시인으로, 그의 생애와 작품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지만, 당대의 문학적 흐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는 河东(현재의 산시성 영제) 출신으로, 초기에는 군에 소속되었으며, 이후 대리석(大历) 7년(당나라의 제종(代宗) 리위(李豫) 통치 기간)에 진사로 급제하였습니다. 그의 경력은 태상박사(太常博士)와 과주(果州) 자치사(刺史)로 이어졌습니다.
 
작품과 문학적 특징
暢當의 시는 주로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다루며,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登鹳雀楼》(등관작루)**는 특히 유명합니다. 이 시에서 그는 높은 곳에서 세상을 바라보며 느끼는 감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시의 한 구절에서는 "높은 곳에서 티끌 세상을 바라보네"라는 구절이 인상적이며, 이는 그의 시적 상상력과 깊은 통찰을 보여줍니다.
暢當은 또한 여러 작품을 남겼으며, 그 중에는 《春日过奉诚园》, 《宿报恩寺精舍》, 《奉送杜中丞赴洪州》 등이 있습니다. 그의 시는 대개 간결하면서도 깊은 감정을 담고 있으며,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의 삶을 조화롭게 연결 짓는 특징이 있습니다.
 
문학적 위치와 영향
暢當은 당나라 시인들 중에서도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의 작품은 후대 시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당대의 다른 시인들과 함께 문학적 교류를 통해 서로의 시적 기법과 주제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그의 시는 자연을 주제로 한 작품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이는 당나라 시단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결론적으로, 暢當은 당나라 시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시인으로, 그의 작품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깊이 있게 탐구하며, 당대 문학의 발전에 기여한 바가 큽니다.
 
 
* 중국의 4대 명루
중국의 4대 명루(四大名楼)는 고대 중국에서 유명한 네 개의 누각을 지칭하며, 각각의 건축물은 독특한 역사와 문학적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 명루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황학루(黄鹤楼):
o 위치: 후베이성 우한
o 역사: 황학루는 삼국 시대인 223년에 처음 건립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재건되었습니다. 현재의 건물은 1985년에 완공된 것으로, 높이는 51.4미터입니다.
o 문학적 배경: 유명한 시인인 崔颢(최효)의 시 《登黄鹤楼》로 인해 널리 알려졌습니다.
 
이 시는 황학루의 아름다움과 역사적 의미를 잘 담고 있습니다.
 
• 악양루(岳阳楼):
o 위치: 후난성 웨양
o 역사: 악양루는 동한 시대인 215년에 처음 세워졌으며, 이후 여러 번의 수리를 거쳤습니다. 현재의 구조는 1984년에 복원된 것입니다.
o 문학적 배경: 北宋(북송)의 명신인 范仲淹(범중엄)의 《岳阳楼记》로 유명하며, 이 작품은 경치와 감정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 등왕각(滕王阁):
o 위치: 장시성 난창
o 역사: 등왕각은 653년에 처음 건립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파괴와 재건을 겪었습니다. 현재의 건물은 1985년에 재건된 것입니다.
o 문학적 배경: 왕勃(왕보)의 《滕王阁序》로 유명하며, 이 시는 중국 문학에서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입니다.
 
• 관작루(鹳雀楼) 또는 蓬莱阁(蓬莱阁):
o 위치: 관작루는 산서성 영지에,蓬莱阁은 산동성에 위치합니다.
o 역사: 관작루는 북주 시대에 세워졌으며, 여러 번의 재건을 거쳤습니다. 현재의 관작루는 2002년에 완공되었습니다.
o 문학적 배경: 王之涣(왕지환)의 《登鹳雀楼》로 유명하며, 이 시는 관작루의 경치를 찬양합니다.
 
이 네 개의 명루는 각각의 독특한 건축 양식과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문학과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또한 많은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중국의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건축물로 여겨집니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41강(2024,03,07) 강의 교안
*《論語》〈里仁〉
4-12. 放于利而行,多怨。
 
*《史記》〈周本紀〉4-023
1. 禮 - 甲骨文, [▣]
《說文解字》「履也。所以事神致福也。从示从豊, 豊亦聲」
《說文解字注》「履也。見《禮記》〈祭義〉、《周易》〈序卦傳〉。
履, 足所依也。引伸之, 凡所依皆曰履, 此假借之法。履, 履也。禮, 履也。履同而義不同」
 
(1) 신에게 제사 지내고 복을 구함,
(2) 공경,
(3) 행위준칙과 도덕규범,
(4) 공경하여 보내는 물품,
 
(5) 예절,
劉義慶(南朝,宋), 《世說新語》〈方正》「日中不至, 則是無信., 對子罵父, 則是無禮。友人慚, 下車引之。元方入門不顧」
정오가 되었는데 오지 않으면 이는 신의가 없는 것이다. 자식에게 아버지를 욕한다면, 이는 예의가 없는 것이다. 친구가 부끄러워서, 차에서 내려 원방(元方)을 잡아당기니, 원방(元方)이 문에 들어가 돌아보지 도 않았다."
 
앞 문장: "陈太丘与友期行,期日中。过中不至,太丘舍去,去后乃至。"
뒤 문장: "友人便怒曰:“非人哉!与人期行,相委而去。”元方曰:“君与家君期日中。日中不至,则是无信;对子骂父,则是无礼。”友人慚,下车引之。元方入门不顾."
 
이 문장은 진식(陳寔)과 그의 아들 진기(陳紀) 간의 대화를 통해 신의와 예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진기(陳紀)의 자(字)는 **원방(元方)**입니다. 그는 동한 말기의 명사이자 관료로, 아버지 진식(陳寔)과 함께 "삼군자(三君)"로 불리며 높은 덕망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6)
禮經(《周禮》,《儀禮》,《禮記》), 《莊子》〈外物〉「儒以詩禮發冢」
유가(儒家)는 시와 예로써 예법을 준수하는 척 하며 몰래 타인의 무덤을 발굴하여 예의제도를 파괴한다.'(언행 불일치)
 
 
또 《孟子》〈公孫丑下〉「禮曰.父召, 無諾., 君命召, 不俟駕」
예(禮)에서 말하기를, 아버지가 부르면 응답(諾)만 하지 말고 바로 행동해야 한다(唯), 임금의 명령으로 부르면 수레에서 기다리지 말고수레에서 내려 명을 받들어야 한다."
 
(7) 연회에서 즐김,
《儀禮》〈覲禮〉「飨禮乃歸」
손님을 접대하는 연회를 마치고 이에 돌아갔다.
鄭玄 注「禮, 謂食燕也」
예(禮)는 시연(燕)을 일컫는다.
 
또 《儀禮》〈聘禮〉「主人畢歸禮」
손님이 주인한테 선물하면 주인도 손님에게 선물하는 것을 의미한다.
 
(8) 甘酒,
《儀禮》〈士冠禮〉「禮于阼」
예는 동쪽 섬돌에 있다
 
• 앞 문장: "適子冠于阼,以著代也。
"적자(適子)가 조계(阼階)에서 관(冠)을 씀은 대신함을 드러내는 것이요
뒤 문장: "醮于客位,加有成也。
"객위(客位)에서 초례(醮禮)함은 관을 올려 예를 완성 함이요."
 
鄭玄 注..「今文禮作醴」
현재의 예경에는 작 예로 되어 있다.'"(단술 예)
또 《儀禮》〈士昏禮〉「如初禮」
"초례와 같다"
鄭玄 注.「古文禮爲醴」
고문서의 예는 단술이라 했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42강(2024,03,14) 강의 교안
 
*《論語》〈里仁〉
4-13. 子曰:“能以禮讓爲國乎,何有?不能以禮讓爲國,如禮何?
능히 예의와 겸양으로서 제후국을 다스리는 것이 어찌 어려움이 있겠는가?
예의와 겸양으로 제후국을 다스릴 수 없다면 예를 어떻게 실행하겠는가?
 
(주석)
(1) 以~爲 ~로써 ~하다
(2) 禮讓 - 禮義謙讓 4자성어의 줄인 말
(3) 爲 - 다스리다, 治理 ; 國은 諸侯國
(4) 何有 - 어찌 어려움이 있겠는가, 何難之有, 즉 不難의 의미
(5) 如禮何 - 어떻게 예를 시행할 수 있냐?, 禮如何?
 
 
* 朋友의 유형
1. 朋友(붕우)는 가장 일반적인 친구로, 기본적인 동료애와 우정을 의미한다.
2. 益友(익우)는 도움이 되는 친구로, 상대의 성장과 품성 향상을 돕는다. 공자가 가장 소중히 여긴 친구의 유형이다.
3. 諍友(쟁우)는 직언하는 친구로, 잘못을 솔직하게 지적해 주는 이들이다. 진정한 관심에서 쓴 말을 해주는 친구다.
4. 摯友(지우)는 진심으로 가까운 친구를 뜻하며, ‘꽉 잡다’라는 의미를 지녀 깊은 신뢰 관계를 나타낸다.
5. 良友(양우)는 덕이 있는 좋은 친구로, 益友와 비슷하게 긍정적 영향을 주는 친구다.
 
* 반면 나쁜 친구도 있다.
1. 損友(손우)는 해로운 친구로, 나쁜 길로 이끌고 허영심을 부추긴다.
2. 賊友(적우)는 배신하는 친구로, 손우보다 더 나쁜 유형이다. 적극적으로 배신하고 해를 끼치는 친구다.
 
* 관계의 성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도 있다.
1. 知友(지우)는 나를 잘 아는 친구,
2. 心友(심우)는 마음이 통하는 친구,
3. 密友(밀우)는 비밀을 나누는 절친한 친구,
4. 戰友(전우)는 어려운 일을 함께 헤쳐 나간 동지,
5. 故友(고우)는 오랜 친구를 의미한다. 때로는 세상을 떠난 벗을 일컫기도 한다.
 
* 우정의 유대 관계(友誼의 끈): 八拜之交(팔배지교)
1. 관포之交(管鮑之交)는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으로, 서로를 완전히 이해하고 무조건 지지하는 관계를 뜻한다. 관중이 이익을 더 많이 가져가도 포숙아는 그의 사정을 이해했고, 나중에 정적이었던 관중을 재상으로 추천할 정도로 이타적인 우정을 보여주었다.
2. 知音之交(지음지교)는 백아와 종자기의 우정으로, 영혼이 통하는 친구를 가리킨다. 백아가 거문고를 탈 때 종자기만이 그 마음을 완전히 이해했고,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거문고를 부수며 다시는 연주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3. 刎頸之交(문경지교)는 서로를 위해 목숨을 바칠 수 있는 우정으로, 조나라의 염파와 인상여의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4. 膠漆之交(교칠지교)는 아교와 옻칠처럼 끈끈한 우정을 뜻한다. 떨어질 수 없는 견고한 관계를 의미한다.
5. 雞黍之交(계서지교)는 약속을 반드시 지키는 신의 있는 우정으로, 범식과 장소가 2년 후 만날 약속을 정확히 지킨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6. 舍命之交 (사명지교): 목숨을 걸고 지키는 친구.
7. 忘年之交 (망년지교): 나이를 초월한 우정.
8. 生死之交 (생사지교): 생과 사를 함께 하는 친구
 
이 밖에도 金蘭之交(금란지교)는 금처럼 귀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의형제 우정을 뜻하며, 患難之交(환난지교)는 어려움을 함께 겪으며 형성된 우정, 貧賤之交(빈천지교)는 가난하고 미천할 때부터 사귄 진실한 우정, 君子之交(군자지교)는 군자의 우정으로 물같이 담담한 순수한 관계를 말한다. 忘年之交(망년지교)는 나이 차이를 잊은 세대 간 우정, 竹馬之交(죽마지교)는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어린 시절 친구를 가리킨다.
 
* 얕은 관계도 있다.
1. 點頭之交(점두지교)는 고개만 끄덕이는 안면 정도의 관계,
2. 지지之交(지지지교)는 우정이 얕은 관계
3. 一面之交(일면지교)는 한 번 만난 인연,
4. 泛之交(범범지교)는 평범하고 깊지 않은 사귐을 뜻한다.
 
이러한 분류는 동아시아 문화가 인간관계의 깊이와 가치를 세밀하게 구분해 이해하려는 지혜를 보여준다. 특히 덕이 있고 서로를 발전시키는 우정을 소중히 여기며, 해로운 관계는 경계하도록 가르친다.
 
* 저구지교(杵臼之交)는 "절굿공이와 절구 사이의 교분"이라는 뜻으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깊은 우정을 의미합니다. 이 성어는 신분의 귀천을 가리지 않고 친교를 맺는 것을 강조합니다.
유래:
• 이 표현은 중국 한나라의 공사목(公沙穆)과 오우(吳祐)라는 인물의 이야기에 기반합니다. 오우는 방앗간에서 품팔이를 하던 중 공사목의 비범함을 알아보고 친교를 맺게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이처럼 두 사람은 서로의 신분이나 배경에 상관없이 깊은 우정을 나누게 되었습니다.
의미:
• 저구지교는 친구 간의 진정한 우정이란 서로의 상황이나 신분에 관계없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친구가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도 변함없이 지지하고 함께하는 관계를 강조합니다.
이 성어는 깊고 오래된 우정이나 인간관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 친구(朋友)
(1) 蘇浚(明), 《鷄鳴偶記》-4종 친구
a. 畏友 - 志同道合,直言過失
b. 密友 - 生命相托
c. 昵友 - 嬉戱玩樂
d. 賊友 - 利益爲友
 
(2) 불교, 《佛說孛經抄》
a. 花友 - 好時插頭, 萎時捐之, 見富歸附, 貧賤則棄
꽃 친구 - 좋은 시기에 연결하고, 시들 때는 기부하며, 부유할 때는 돌아오고, 가난할 때는 버린다."
 
b. 稱友 - 物重頭低, 物輕則仰, 有與織敬, 無與則慢
칭우 - 물건이 무거우면 머리를 숙이고, 물건이 가벼우면 고개를 들며, 주고받는 것이 있으면 존경하고, 주고받는 것이 없으면 소홀히 한다."
 
c. 山友 - 鳥獸集之, 毛羽蒙光, 貴能榮人, 富樂同歡
산우 - 새와 짐승들이 모여들고, 털과 깃이 빛을 받아, 귀한 사람은 영광을 누리고, 부유한 사람은 함께 즐거움을 나눈다."
 
d. 地友 - 百穀財寶, 一切仰之, 施給養護, 恩厚不薄
지우 - 백 가지 곡식과 재물이 있으며, 모든 것이 그에 의존하고, 베풀어 주고 양육하며, 은혜가 두텁고 얕지 않다."
 
 

 
*《史記》〈周本紀〉4-023
1. 樂 - 甲骨文,원래는 絃樂器, 점차 즐기다, 기쁘다 등등, [▣]
 
《說文解字》「樂,五聲八音總名。象鼓鞞」
 
*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는 한국 전통 음악에서 사용되는 5음 음계로,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오음 체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음계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음으로 구성됩니다:
 
• 궁(宮): C (도)
• 상(商): D (레)
• 각(角): E (미)
• 치(徵): G (솔)
• 우(羽): A (라)
 
이 음계는 중국의 고대 음악 이론에서 비롯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독자적으로 발전하였습니다. 궁상각치우는 정악(궁중 음악), 민속악(판소리, 산조 등), 그리고 현대 음악에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궁상각치우는 단순한 5음 음계로 보일 수 있지만, 변조와 응용을 통해 매우 풍부한 음악적 표현이 가능합니다. 또한, 이 음계는 오행(五行)과도 연결되어 있으며, 각 음은 특정한 자연 요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 궁(宮): 토(土)
• 상(商): 금(金)
• 각(角): 목(木)
• 치(徵): 화(火)
• 우(羽): 수(水)
 
이러한 연결은 한국 전통 음악의 깊은 의미와 상징성을 더해줍니다. 궁상각치우는 한국 전통 음악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개념으로, 현대 음악에서도 그 활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악기 재료 8음(팔음)은 한국 전통 음악에서 사용되는 여덟 가지 재료를 의미합니다. 이 재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금(金): 쇠로 만든 악기
• 석(石): 돌로 만든 악기
• 사(絲): 실로 만든 악기
• 죽(竹): 대나무로 만든 악기
• 포(匏): 바가지로 만든 악기
• 토(土): 흙으로 만든 악기
• 혁(革): 가죽으로 만든 악기
• 목(木): 나무로 만든 악기
 
이 여덟 가지 재료는 각각 다양한 전통 악기에 사용되며, 한국 전통 음악의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해금은 이 모든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악기로, 한국 전통 음악에서 독특한 음색을 자랑합니다
 
* 象鼓鞞"는 모양은. 큰북과 작은 북의 모양이다.
 
* 12율려(十二律呂)는 전통 음악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한 옥타브 내에 배열된 12개의 음을 의미합니다. 이 음들은 각각 특정한 이름과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음양의 원리에 따라 양률과 음려로 구분됩니다.
12율의 구성:
1. 양률 (陽律):
o 황종 (黃鐘): 기본 음
o 태주 (太蔟)
o 고선 (姑洗)
o 유빈 (蕤賓)
o 이칙 (夷則)
o 무역 (無射)
 
2. 음려 (陰呂):
o 대려 (大呂)
o 협종 (夾鐘)
o 중려 (仲呂)
o 임종 (林鍾)
o 남려 (南呂)
o 응종 (應鐘)
 
이들 음은 각각의 음높이와 성격에 따라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전통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황종은 일반적으로 서양 음악의 'C' 음에 해당하며, 대려는 'D' 음에 해당합니다.
 
율려의 역사적 배경:
12율려는 중국의 고대 음악 이론에서 유래하였으며, 삼분손익법(三分損益法)에 의해 음의 간격을 조정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이 이론은 음의 조화와 균형을 강조하며, 자연의 리듬과 조화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의의:
12율려는 단순한 음의 배열을 넘어,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세계관과 음양의 원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음악뿐만 아니라 제사와 의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說文解字주》「樂,五聲八音總名。
注.《樂記》曰:感于物而動,故形于聲。聲相應,故生變。變成方,謂之音。比音而樂之。及干戚羽旄謂之樂。
예기라는 책의 19편에 말하기를
感于物而動,故形于聲 (감우물이동, 고형우성): "사물에 교감을 해서 마음이 움직인다. 그런고로 소리로 표현된다.
聲相應,故生變 (성상응, 고생변): "소리가 서로 호응해서 그러므로 변화가 생긴다.
變成方,謂之音 (변성방, 위지음): "변화는 가락이 생긴다. 그것을 음(소리)라고 그런다.
比音而樂之。及干戚羽旄謂之樂 (비음이악지. 급간척우모위지악): "음을 배열하고 그것을 연주하면 방패나 도끼로 武舞를, 꿩 털 깃 빨로 文舞를 추는 것에 이르는데 이를 '무(舞)'라 한다".
 
* 謂之樂 (위지악): 직역하면 '그것을 악이라 한다'이지만, 원문 맥락상 **'무(舞)'**로 보아야 합니다. 춤(舞)은 악(樂)의 필수적인 요소로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음악'을 '악(樂)'이라 부르고, '춤'을 '무(舞)'라 부르듯이 이 구절에서는 음악과 춤이 서로 다른 행위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고대 중국에서 음악과 춤이 어떻게 발생하고 정의되었는지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音下》曰:宫、商、角、徵、羽,聲也;絲、竹、金、石、匏、土、革、木,音也。樂之引伸爲哀樂之樂」 ; 樂의 다양한 발음 사례
궁상각치우는 소리다. 사 죽 금 석 포 토 혁 목은 음(재료)이다.
악을 확대 해석하면 슬픔과 즐거움의 음악이다.
 
(1) 음악 악yuè - 명사, 동사
A.명사 - 음악,
《周易》〈豫卦〉「先王以作樂崇德,殷薦之上帝,以配祖考」
선왕(先王)들은 이 괘를 보고 음악을 만들어 덕(德)을 높이고, 정성스럽게 상제(上帝)께 제사를 올리며, 조상들에게 배향(配享)
 
이 구절은 《주역》(周易)의 괘사(卦辭) 중 하나인 예괘(豫卦)의 효사(爻辭)에 속하며, 음악과 제사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내용입니다.
• 先王 (선왕): '요, 순, 하의 우왕, 상 탕왕, 주 문왕과 무왕, 주공이다.
• 以 (이): '~로써', '~을 가지고'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예괘의 의미를 본받아'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作樂崇德 (작악숭덕): **'음악을 만들어 덕을 높인다'**는 뜻입니다. 고대 중국에서 음악은 단순히 즐거움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을 순화하고 군주의 덕을 드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졌습니다.
• 殷薦之上帝 (은천지상제): **'정성스럽게 상제(上帝)께 제사를 올린다'**는 뜻입니다.
o 殷 (은): '성대하다', '정성스럽다'는 의미입니다.
o 薦 (천): '제사를 올리다'는 뜻입니다.
o 上帝 (상제): 고대 중국에서 하늘의 최고신을 일컫는 말입니다.
• 以配祖考 (이배조고): **'조상들에게 배향(配享)한다'**는 뜻입니다.
o 配 (배): '짝을 맞추다', '함께 모시다'라는 의미입니다.
o 祖考 (조고): '조상'을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o 배향: 제사나 사당에서 주신(主神)과 함께 모시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는 상제에게 제사를 올릴 때 조상들을 함께 모셨다는 뜻으로, 음악과 함께하는 제사가 신과 조상 모두를 기리는 의식이었음을 보여줍니다.
이 구절은 《주역》을 통해 고대 사회에서 음악이 신과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신성한 의식의 일부였으며, 단순한 예술이 아니라 통치자의 덕을 쌓고 백성을 교화하는 정치적, 사회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전통적*전통적문명의 9가지 척도
1. 도시 (City): 인구 밀도가 높고 규모가 큰 거주지입니다. 도시가 형성되면 사회의 분화가 촉진되고, 다양한 계층과 직업이 생겨나며, 정치·경제·문화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됩니다. 도시의 등장은 식량 생산의 잉여가 확보되었음을 의미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2. 문자 (Writing): 복잡한 정보를 기록하고 전달하는 수단입니다. 문자는 법률, 종교, 행정, 역사 등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지식을 후대에 전달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문자의 발명은 사회의 복잡성을 관리하는 데 있어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3. 야금술 (Metallurgy): 금속을 다루는 기술로, 특히 구리와 주석을 합금한 청동이나 철을 사용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야금술은 농기구, 무기, 도구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사회의 생산력과 군사력이 증대되었습니다.
4. 수학 및 천문학 (Mathematics and Astronomy): 추상적인 사고와 자연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발전한 학문입니다. 수학은 건축, 토지 측량, 무역에 활용되었고, 천문학은 달력 제작, 농사 시기 결정, 항해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문명이 고도의 지적 능력을 갖추었음을 보여줍니다.
5. 예술과 건축 (Art and Architecture): 기념비적인 건축물(피라미드, 신전 등)과 조각, 회화 같은 복잡한 예술 형태가 발달합니다. 이러한 예술과 건축은 종교적 신념, 정치적 권위, 사회의 미적 감각을 상징하며, 공동체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6. 정치 체제 (Political System): 소수의 지배층이 다수를 통치하는 중앙집권적 체제입니다. 군주, 왕, 또는 전문적인 행정가와 군인이 등장하여 법률과 질서를 유지하고 대규모 사업(댐, 성벽 건설 등)을 조직적으로 추진합니다.
7. 사회 계층화 (Social Stratification): 지배층, 피지배층, 전문 직업인 등으로 사회가 분화되고 계층화되는 현상입니다. 신분과 직업에 따라 역할과 권력이 나뉘는 복잡한 사회 구조가 형성됩니다.
8. 대규모 공공사업 (Large-scale Public Works): 관개 시설, 운하, 도시 성벽, 피라미드, 신전 등 많은 인력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대형 프로젝트입니다. 이러한 사업은 강력한 정치 체제와 조직력을 바탕으로만 가능하며, 문명의 기술력과 조직력을 상징합니다.
9. 무역 (Trade): 지리적 경계를 넘어선 원거리 교역 활동입니다. 이는 자원의 효율적 분배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문화와 기술이 교류되는 통로 역할을 했습니다. 무역로의 발달은 경제적, 문화적 교류를 촉진하여 문명의 범위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 9가지 척도는 문명의 종합적인 발전 단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지만, 모든 문명이 반드시 이 모든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문명마다 발전 양상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 동양 문명의 발달 과정은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어 황하 문명을 중심으로 복잡한 사회 구조와 정치 체제를 형성하며 발전했습니다.
1. 신석기 시대 (기원전 80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
동양의 문명 발달은 신석기 시대의 농업 혁명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기원전 7000년경부터 중국 황하 유역에서는 좁쌀과 기장, 양쯔강 유역에서는 벼 재배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인류가 수렵·채집 생활에서 벗어나 한곳에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정착 생활을 통해 사람들은 촌락을 이루고, 씨족과 부족 단위의 공동체를 형성했습니다. 이 시기 대표적인 문화로는 채색 토기가 발굴된 양사오 문화와 검은 토기가 특징인 룽산 문화가 있습니다. 신석기 시대 후기에는 촌락 간의 규모 차이가 커지며 점차 계급이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
2. 청동기 시대와 초기 국가의 형성
농업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식량 잉여가 발생했고, 이는 잉여 생산물을 관리하고 분배하는 지배층의 출현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기원전 2000년경부터 청동기가 사용되면서 무기와 제기 제작 기술이 발전했고, 이는 정치적 권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습니다. 초기 국가는 도시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제사를 주관하는 제사장이나 군사적 권력을 가진 군장이 지배층으로 부상했습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문명으로는 중국의 황하 문명이 있습니다.
3. 하강 문명의 발달과 고대 국가
황하 유역에서 발달한 문명은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갖춘 최초의 고대 왕조인 하(夏) 왕조에 이어 상(商) 왕조와 주(周) 왕조로 이어졌습니다.
• 상(商) 왕조: 기원전 1600년경에 건국된 상 왕조는 동양 문명의 중요한 특징들을 확립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갑골문자가 사용되어 점을 치거나 왕의 업적을 기록했고, 이는 동양 문자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또한, 청동 제기를 이용한 조상 숭배와 제사가 발달하며 신권 정치가 이루어졌습니다.
• 주(周) 왕조: 상 왕조를 계승한 주 왕조는 봉건제도를 도입하여 지방을 효율적으로 통치했습니다. 주 왕조는 하늘의 뜻에 따라 왕이 통치한다는 천명사상을 내세워 통치 권력의 정당성을 확보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음악과 예절을 중시하는 예악(禮樂) 사상이 발달하여 사회 질서와 통치 이념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동양의 문명은 신석기 시대의 농업을 기반으로 도시를 형성하고, 청동기 기술을 통해 지배 계층의 권위를 확립하며, 문자 사용과 통치 이념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이후 동양 사회와 문화의 근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2025.9.11 강의 요약자: 주정봉)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