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좋은 정보 수집가담항설의지식창고 2025.07.04. 11:03 (2025.07.04. 10:45)

한시(漢詩)의 이해

 
한시(漢詩)의 이해 : 초보자는 반드시 읽어 볼 것! - 漢詩는 시대의 변천과 함께 그 형식을 갖추어 오다가 당나라 때에 이르러 엄격한 규칙을 수반하는 전형(典型)이 확립되었다. 이 엄격한 규칙을 수반하는 당나라 이후의 한시를 근체시(近體詩)라 하고, 그 이전의 시를 고체시(古體詩)라고 한다.
한시(漢詩)의 이해 : 초보자는 반드시 읽어 볼 것!
 
 
漢詩는 시대의 변천과 함께 그 형식을 갖추어 오다가 당나라 때에 이르러 엄격한 규칙을 수반하는 전형(典型)이 확립되었다. 이 엄격한 규칙을 수반하는 당나라 이후의 한시를 근체시(近體詩)라 하고, 그 이전의 시를 고체시(古體詩)라고 한다.
 
우리가 통상 한시의 형식이라고 할 때는 근체시 형식을 말하며 근체시는 고체시에 비해 엄격한 형식이 정해져 있다.
 
특징 : 시체(詩體)의 종류는 한 구(句)의 잣수와 한 편의 구수(句數)에 의하여 나누어진다.
 
1) 고체시(古體詩)
 
(가) 고시(古詩)-사언 고시, 오언 고시, 칠언 고시
(나) 악부(樂府)-장구(長句), 단구(短句)
 
2) 근체시(近體詩)
당나라 때부터 발달한 시체(詩體)로 심전기, 송지문 등에 의해 수립되었으며 구수(句數)에 따라 4구로 이루어진 것을 '절구(絶句)', 8구로 이루어진 것을 '율시(律詩)', 대개 12구이상의 것을 '배율(排律)'이라 한다.
 
(가) 절구 : 한 수가 4구로 된 것.
- 오언 절구(1구가 5자×4구)
- 칠언 절구(1구가 7자×4구)
 
(나) 율시 : 한 수가 8구로 된 것.
- 오언 율시(1구가 5자×8구)
- 칠언 율시(1구가 7자×8구)
 
(다) 배율 : 한 수가 12구 이상으로 된 것.
- 오언 배율(1구가 5자×12구 이상)
- 칠언 배율(1구가 7자×12구 이상)
 
 
3. 구별 명칭
1) 절구
제1구 : 기구(起句)[발상 단계;시상을 불러 일으킴],
제2구 : 승구(承句)[전개 단계;기구를 이어받아 시상을 확대 발전시킴-서경]
제3구 : 전구(轉句)[전기·비약 단계;시상에 변화를 주어 전환시킴]
제4구 : 결구(結句)[총괄 단계;전체의 시상을 주제 속에 담아 마무리 지음-서정]
 
2) 율시
1· 2구 : 수련(首聯)
3· 4구 : 함련(頷聯)
5· 6구 : 경련(頸聯)
7· 8구 : 미련(尾聯)
 
4. 압운법
 
한자는 초·중·종성의 세 가지 소리로 갈라 초성을 '자모(字母)'라 하고, 중·종성을 합해서 운모(韻母)라 한다. 이 운모를 같은 계통의 글자로 맞추는 것을 '압운(押韻)'이라 하고 한 수의 시 안에서 압운된 글자를 '운자(韻字)'라 한다.
그런데 이 운자는 옛 운서에 따라 고음(古音)대로 쓰므로 현대음과 다른 것도 있다. 압운(押韻)하는 자리는 다음과 같다.
 
1) 절구
(가) 오언 절구 - (1)·2·4구의 끝 자
(나) 칠언 절구 - 1·2·4구의 끝 자
 
2) 율시
(가) 오언 율시 - 2, 4, 6, 8구의 끝 자
(나) 칠언 율시 - 1, 2, 4, 6, 8구의 끝 자
 
5. 근체시의 형식
 
한시는 그 음률(音律)의 아름다움을 특히 중히 여겨서 일정한 형식과 규칙에 따라 짓게 되어 있다.
 
1) 각 구(句)는 일정한 글자 수를 갖추어야 한다(위 2-2) 참조)
2) 정해진 구의 끝 글자는 운(韻)에 딸리는 글자를 넣어야 한다.(위 4 참조)
3) 구 속의 각 글자는 평측에 맞게 배정되어야 한다.
4) 한 수(首)의 시는 일정한 구수를 따라야 한다.(위 2-2) 참조)
 

 
운자 (韻字)란?
 
 
한자는 초성(初聲).중성(中聲).종성(終聲)의 세가지 소리로 갈라서 초성을 자모(字母)라 하고 중성과 종성을 합해서 운모(韻母)라 하며, 운모가 같은 글자로 맞추는 것을 압운(押韻)이라 하고, 한 수(首)의 시 안에서 압운된 글자를 운자(韻字)라 한다.
 
그러나 간혹 운모(韻母)가 다른데도 같은 운자(韻]字)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같은 한자라도 옛음과 현대음의 차이. 또는 중국음과 우리음의 차이에서 생기는 것이다.
 
 
압운법 (押韻法)이란?
 
가. 한자는 초성 중성 종성의 세 가지 소리로 나뉘는데, 초성을 자모(字母)라 하고, 중성과 종성을 합해서 운모(韻母)라 한다. 이 운모가 같고 성조도 같은 계열의 글자로 맞추는 것을 '압운(押韻)'이라 하고, 한 수의 시 안에서 압운된 글자를 '운자(韻字)'라 한다.
 
나. 짝수 구 끝에 압운하고, 첫째 구 끝에는 압운을 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
 
다. 한시에 있어서 정해진 위치 즉 짝수 구 끝에 운이 같은 한자를 배열하는 법을 말한다.
 
7언 시일 경우 1구 끝에도 운자를 배열한다.
 
 
한시의 평측(平仄)
 
가. 사성은 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의 네 가지 성조로 상성 거성 입성을 뭉뚱거려 측성(仄聲)이라고 한다. 한시에서는 낮고 평평한 소리인 평성에 해당하는 글자와, 올라가거나 낮아지거나 하는 소리인 측성에 해당하는 글자를 일정하게 배치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를 '평측법'이라 한다.
 
나. 평측법 중 첫째 구 둘째 자가 평성으로 시작하는 것을 '평기식(平起式)'이라 하고, 측성으로 시작하는 것을 '측기식(仄起式)'이라 한다. 오언 근체시는 측기식이 정격(正格)이고, 칠언 근체시는 평기식이 정격이다.
 
 

 
압운(押韻)과 평측(平仄)
 
1. 압운 : 韻母가 같은 자끼리 詩行의 끝에 쓰는 것.
(1) 絶句詩의 경우 : 1 , 2 , 4 행의 끝이나 또는2 , 4 행의 끝에 씀.
(2) 律詩의 경우 : 1 , 2 , 4 , 6 , 8 행의 끝에 주로 쓰며, 때로는 1행의 끝에는 쓰지 않음.
 
* 押韻은 주로 평성이 많이 쓰였으나 仄聲도 때로 쓰였음.
 
 
2. 평측 : 平聲과 仄聲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시의 音樂性을 높이려는데 그 목적을 둔 것.
 
* 평측의 표시를 앞으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平聲 ◇. 仄聲 ◆. 平仄 兼用 ◐. 平韻 ◎. 仄韻 ⊙.
 
(1) 五言詩의 경우 : 平起式, 仄起式 2가지 경우가 있음.
가. 五言 絶句 보기 :
平起式
起句 ◇◇ ◇◆◆ (首句에 用韻할 때 ◆◆◎)
承句 ◑◆ ◆◇◎
轉句 ◑◆ ◇◇◆
結句 ◇◇ ◆◆◎
 
仄起式
起句 ◐◆ ◇◇◆ (首句에 用韻할 때 ◆◇◎)
承句 ◇◇ ◆◆◎
轉句 ◐◇ ◇◆◆
結句 ◆◆ ◆◇◎
 
나. 五言 律詩의 경우
平起式
起聯 ◐◇ ◇◆◆
   ◐◆ ◆◇◎
頷聯 ◐◆ ◇◇◆
   ◇◇ ◆◆◎
頸聯 ◐◇ ◇◆◆
   ◐◆ ◆◇◎
(함련과 경련은 對句이어야 함)
結聯 ◐◆ ◇◇◆
   ◇◇ ◆◆◎
 
仄起式
起聯 ◐◆ ◇◇◆
   ◇◇ ◆◆◎
頷聯 ◐◇ ◇◆◆
   ◐◆ ◆◇◎
頸聯 ◐◆ ◇◇◆
   ◇◇ ◆◆◎
(함련과 경련은 對句이어야 함)
結聯 ◇◇ ◇◆◆
   ◐◆ ◆◇◎
 
(2) 七言詩의 경우 : 平起式 仄起式 2가지가 있음.
 
가. 七言 絶句의 보기
平起式
起句 ◐◇ ◐◆ ◆◇◎
承句 ◐◆ ◇◇ ◆◆◎
轉句 ◑◆ ◐◇ ◇◆◆
結句 ◐◇ ◐◆ ◆◇◎
 
仄起式
起句 ◐◆ ◇◇ ◆◆◎
承句 ◐◇ ◐◆ ◆◇◎
轉句 ◐◇ ◐◆ ◇◇◆
結句 ◐◆ ◇◇ ◆◆◎
 
나.七言 律詩의 보기
平起式
起聯 ◐◇ ◐◆ ◆◇◎
   ◐◆ ◇◇ ◆◆◎
頷聯 ◐◆ ◐◇ ◇◆◆
   ◐◇ ◐◆ ◆◇◎
頸聯 ◐◇ ◐◆ ◇◇◆
   ◐◆ ◇◇ ◆◆◎
(함련과 경련은 對句이어야 함)
結聯 ◐◆ ◐◇ ◇◆◆
   ◐◇ ◐◆ ◆◇◎
 
仄起式
起聯 ◐◆ ◇◇ ◆◆◎
   ◐◇ ◐◆ ◆◇◎
頷聯 ◐◇ ◐◆ ◇◇◆
   ◐◆ ◇◇ ◆◆◎
頸聯 ◐◆ ◐◇ ◇◆◆
   ◐◇ ◐◆ ◆◇◎
(함련과 경련은 對句이어야 함)
結聯 ◐◇ ◐◆ ◇◇◆
   ◐◆ ◇◇ ◆◆◎
 
\nr;* 지금까지 보여준 형식은 韻目이 平聲인 경우만 보인 것임. 만일 韻目이 측성일 경우는 운목의 안짝이 평성이어야 하고 운목 앞의 한 글자 위가 평성이어야 함.
 
 
## 평측에서 피하는 것 ##
(1) 下三連不許 : 시의 끝부분 3자가 연하여 平聲이든지 仄聲이면 안됨.
 
보기1. 고시중 삼연평인 경우
報得三春暉 ◆◆ ◇◇◇
 
보기2. 고시중 삼연측인 경우
舟楫恐失墜 ◇◆ ◆◆◆
 
보기3.칠언율시중 삼연측인 경우
朝罷須裁五色詔.◇◆ ◇◇ ◆◆◆
 
보기4.칠언 고시중 삼연평인 경우
棗花未落桐陰長.◆◇ ◆◆ ◇◇◇
 
 
(2). 孤平不許 :칠언시의 4번째 자가 平聲이고 그 앞뒤의 자가 仄聲인 경우 또는 오언시에 2번째 글자가 平聲이고 그 앞 뒤 자가 仄聲인 경우 허리가 짤록한 벌과 같다하여 蜂腰라고 하며 이를 피함.
 
보기1. 오언 고시중 李白詩에
蜀僧 抱綠綺. ◆◇ ◆◆◆
 
보기2. 칠언 고시의 경우
霖雨未晴水滿堤.◇◆ ◆◇ ◆◆◇
 
 
(3). 同字重出을 피함
보기1. 淸江 一曲 抱村流
    長夏 江村 事事幽
 
nr;a.'村' 자가 위와 같이 줄을 바꾸어 쓸 경우는 피함.
nr;b.'事事'와 같이 한 줄에 같은 자를 겹쳐 쓰거나 ,
nr;  '月白雪白天地白'과 같이 한 줄에 같은 자를 여러 개 쓰는 경우는 허용됨.
 
 
출처 : 漢詩 속으로
글쓴이 : 蒙泉 원글보기
【작성】 가담항설 - 떠도는 이야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