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5.04.26. 19:19 (2025.04.26. 18:43)

사마천 사기 382강 강의자료 요약 (2025.4.24)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江雪〉과 작자 柳宗元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千山, 萬徑, 人踪, 簑笠(蓑衣+頭笠, 古文運動, 唐宋八大家, 韓柳, 劉柳, 王孟韋柳 등......)설명 ; (2) 應劭, 《風俗通義》-非鬼在(存)怪 설명. (3) 《論語》〈微子〉「殷有三仁焉」에 대하여 《史記》를 통하여 상세히 분석 설명(比干(亘古忠臣, 墳墓), 箕子(明哲保身, 〈麥秀歌〉), 微子(膝行投降, 宋 건국) ; (4) 皇帝 명칭(德兼三皇, 功高五帝)과 遜과 慢(倨慢, 驕慢, 傲慢, 自慢)에 대하여 설명 ; (5) 武經7書와 孫子, 吳起, 姜尙과 다양한 호칭, 黃石公, 尉繚, 李靖에 대하여 상세 내용을 설명 ; (6) 고대 4대 美女 중에서 貂蟬(Fiction)을 대체할 후보(班昭, 西漢 成帝皇后 趙飛燕)와 「春來不似春」 용어 최초 사용자(東方虯, 《相和歌辭 王昭君三首之三》)에 대하여 설명 ; (7) 《孟子》〈盡心下〉37.의 상세한 주석과 번역 및 狂, 獧(狷), 鄕原의 분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사마천 사기 382강 강의자료 요약 (2025.4.24)
 
2025년 4월 24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唐詩 300首
 
- 1-
 
 
1) 당시 제목: “강설”
2) 당시 중국어 발음
 
江 雪     - 柳 宗 元
qiānshānniǎofēijué
wànjìngrénzōngmiè
zhōusuōwēng
diàohánjiāngxuě
 
3) 작자: 유종원(柳宗元, 773-819) (FELO 와 GEMINI참조)
중국 당나라의 저명한 시인, 철학자, 그리고 정치가로, 당송팔대가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습니다. 그의 자는 자후(子厚)이며, 출생지는 장안(長安)입니다. 유종원은 고문운동의 주창자로서, 당시 문풍의 개혁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생애와 경력
유종원은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21세에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나, 그러나 그는 왕숙문(王叔文)의 정치 개혁에 참여했다가 실패하여 33세에 영주(永州)로 유배당하게 됩니다. 이 시기가 그의 문학적 성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는 13년간의 유배 생활 동안 많은 작품을 남겼습니다.
유하동(柳河東) 또는 유주자사를 지냈기 때문에 유유주(柳柳州)라고도 불립니다.
 
- 문학적 업적
유종원은 한유(韓愈)와 함께 당나라 고문(古文) 운동을 주도하며 문체 개혁에 힘썼습니다. 그의 산문은 예리한 필치와 풍부한 내용, 뛰어난 묘사로 유명하며, 특히 유람기에는 자연에 대한 깊은 이해와 철학적 사색이 담겨 있습니다. 대표적인 산문 작품으로는 좌천된 후의 심정을 담은 <영주팔기(永州八記)>와 백성의 고통을 그린 <포사자설(捕蛇者說)> 등이 있습니다.
시인으로서 유종원은 주로 산수시를 창작하여 왕유(王維), 맹호연(孟浩然), 위응물(韋應物)과 함께 '왕·맹·위·유(王孟韋柳)'로 불리며 자연파 시풍을 확립했습니다. 그의 시는 간결하면서도 깊은 정서를 담고 있으며, 자연의 아름다움 속에서 인간의 외로움과 고독, 초탈의 경지를 노래합니다. 대표작으로는 눈 내리는 강가의 외로운 낚시꾼을 그린 <강설(江雪)> 등이 있습니다.
 
- 강설의 내용
강설의 첫 두 구절은 "천산에 새 한 마리 날지 않고, 만길에 사람 자취도 끊어졌다"는 내용으로, 고요한 겨울 풍경을 묘사합니다. 이어지는 구절에서는 "외로운 배에 도롱이와 삿갓을 쓴 늙은이가 눈 내리는 강에서 홀로 낚시를 하고 있다"는 장면을 통해, 자연 속에서의 고독한 삶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 사상
유종원은 유교, 불교, 도교 사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사상을 추구했습니다. 그는 왕권의 절대성에 반대하고 진보적인 사회 개혁을 주장했으며, 유물론적이고 실용적인 경향을 보였습니다. 그의 사상은 그의 문학 작품에도 잘 드러나 있으며, 후대 문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고문운동(古文運動) (FELO 와 GEMINI참조)
중국 당나라 시대에 한유(韓愈)와 유종원(柳宗元)이 주도한 문체 개혁 운동으로, 주로 변려문(駢儷文)의 화려함과 장식성을 배격하고, 고대 문체인 고문(古文)으로 돌아가자는 취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운동은 문학의 내용과 실용성을 중시하며, 당시 사회의 변화와 문학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발생했습니다.
 
- 고문운동의 배경
고문운동은 당나라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 진행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변려문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그 문체가 지나치게 장식적이고 내용이 빈약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신흥 관료층은 명확하고 실용적인 문체를 원했으며, 이는 고문운동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켰습니다.
 
- 운동의 주요 인물
• 한유: 고문운동의 주창자로, 고문을 통해 유교의 전통을 회복하고자 했습니다. 그는 문장이 사회적 교화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문체 개혁과 사상 개혁을 동시에 추구했습니다.
• 유종원: 한유와 함께 고문운동을 이끌며, 문장의 내용만 아니라 형식도 중시했습니다. 그는 고문운동을 통해 문학의 실용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사상을 수용하여 문학적 깊이를 더했습니다.
 
- 고문운동의 특징
• 내용 중시: 고문운동은 문장의 내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실용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문체를 지향했습니다. 이는 독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문학의 대중화를 촉진했습니다.
• 형식의 단순화: 변려문과 같은 복잡한 형식을 배제하고, 간결하고 소박한 문체를 채택했습니다. 이는 문학이 사람들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야 한다는 신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 사상적 배경: 고문운동은 유교의 가치 회복과 함께, 불교와 도교의 요소를 수용하여 보다 포괄적인 문학적 접근을 시도했습니다. 이는 문학이 단순한 예술적 표현을 넘어 사회적 교화의 도구로 기능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했습니다.
 
- 고문운동의 영향
고문운동은 당나라 말기부터 송나라 초기에 걸쳐 문학의 주류로 자리 잡았으며, 이후 문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운동은 문학의 형식과 내용을 재조명하게 하였고, 후대의 문학적 흐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고문운동은 문학이 사회적 현실과 연결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결론적으로, 고문운동은 당나라 시대의 문학적 혁신을 이끌며, 문체와 사상의 변화를 통해 중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332강(2023.11.30.) 강의 교안
 
* 《史記》〈周本紀〉 注釋
1. 夷 - 최신 발견 夷(사람+화살)와 尸(꿇어앉은), 人과 모두 同形, 서로 通.
《說文解字》「夷, 從大從弓。東方之人也」
 
1) 중원 이외 각 지역의 소수민족에 대한 멸시 칭호,
2) 풀을 깎다
3) 풀을 제거하거나 땅을 평평하게 고르는 공구,
 
4) 고대 나라이름(현재 山東省 即墨市),
《左傳》隱公元年「紀人伐夷」
기(紀 )나라 사람들이 이 나라를 정벌했다.
 
5) 산 이름,
《水經注》〈江水〉「又東過夷陵縣南....應劭曰.夷山在西北, 蓋因山以名縣也」
또 동쪽으로 이능현(夷陵縣) 남쪽을 지나 갔다. 응소가 말하기를 이산은 서북쪽에 있다. 대개 산으로 인하여 현의 이름을 지었다.
 
* 동안시대 사람인 응소가 《한서》에 주석을 달았다.
풍속통(風俗通)의 저자이다. ~ “非鬼存怪”(귀신은 없고 이해 잘 안되는 이상한 것은 있다.)
 
6) 常法 또는 常道,
《史記》〈宋微子世家〉「王極之傳言, 是夷是訓, 于帝其順」
“천자의 말을 전해주는 것이 상법이요 훈계이다. 그래서 하늘의 신(帝)에게 순응하다"라는 의미로, 제왕의 가르침이나 명령에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 왕극 = 황극 = 군주
* 제(帝) = 하늘 신
* 진시황이 이사의 건의를 받아드려 “황제(皇帝)” 칭호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 덕겸 3황 (德兼三皇)과 5제 (五帝)
 
- 삼황(三皇)
삼황은 다음과 같은 세 인물로 구성됩니다:
• 伏羲(복희): 고대 중국의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물로, 인간 문명의 기초를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주로 농업과 가축 사육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묘사됩니다.
• 神农(신농): 농업의 아버지로 불리며, 농작물 재배와 약초의 사용을 통해 인류에게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입니다. 그는 농업 기술을 발전시켜 인구 증가와 사회 안정에 기여했습니다.
• 燧人(수인): 불을 발견한 인물로, 인류의 생활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는 불을 사용하여 요리를 가능하게 하고, 인간의 생존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 오제(五帝)
오제는 다음과 같은 다섯 인물로 구성됩니다:
• 黄帝(황제): 중국의 전설적인 통치자로, 정치 체제를 확립하고 사회의 안전과 조화를 이루는 데 기여했습니다. 그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 颛顼(전욱): 고대 중국의 제왕으로, 그의 통치 아래에서 사회가 발전했습니다.
• 帝喾(제곡): 또 다른 전설적인 제왕으로, 그의 통치도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닙니다.
• 堯(요): 고대의 현명한 군주로, 그의 통치 아래에서 사회가 안정되고 발전했습니다.
• 舜(순): 요와 함께 전설적인 군주로, 그의 통치도 많은 전설과 교훈을 남겼습니다.
 
삼황오제는 중국의 고대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지며, 이들의 이야기는 후대에 걸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FELO 참조)
 
 
* 기자의 맥수가(麥秀歌)
기자(箕子)가 은나라의 멸망을 슬퍼하며 지은 시로, 다음과 같은 구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麥秀漸漸兮,禾黍油油。彼狡童兮,不與我好兮。"
 
- 구절 해석
1. "麥秀漸漸兮":
o "보리가 점점 자란다"라는 의미로, 보리 이삭이 무성하게 자라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이는 은나라의 폐허 위에 다시 생명이 움트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2. "禾黍油油":
o "벼와 기장이 기름지게 자란다"는 뜻으로, 농작물이 풍성하게 자라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이는 자연의 회복과 풍요를 나타내며, 기자가 느끼는 감정과 대조를 이룹니다.
 
3. "彼狡童兮,不與我好兮":
o "저 교활한 아이는 나와 사이가 좋지 않다"라는 의미로, 여기서 "교활한 아이"는 은나라의 폭군 주왕(紂王)을 지칭합니다. 기자는 주왕의 포악한 통치로 인해 고국이 멸망한 것을 한탄하며, 그와의 관계가 좋지 않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맥수가의 배경
• 기자는 은나라의 멸망 후 주나라로 가는 길에 고향의 폐허를 지나며 이 시를 지었습니다. 그는 고향의 황폐함을 보고 슬퍼하며, 그 감정을 노래로 표현했습니다. 이 시는 은나라 백성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고, 그들은 기자의 노래를 듣고 눈물을 흘렸다고 전해집니다.
 
- 의의
• 맥수가는 단순한 농작물의 성장에 대한 노래가 아니라, 고국의 멸망과 그로 인한 슬픔을 담고 있는 상징적인 작품입니다. 후에 "맥수지탄(麥秀之嘆)"이라는 표현이 생겨나면서, 고국의 멸망을 한탄하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이 시는 기자의 비극적인 상황과 그로 인한 감정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7) 고대 道家의 哲学概念으로 無色無形不可視看,
《老子》第十四章「視之不見名曰夷, 聽之不聞名曰希, 搏之不得名曰微」
그것을 보고도 보지 못하는 것을 이(夷)라 명하고, 들어도 듣지 못하는 것을 희(希)라 명하고, 얻었으면서도 얻지 못한 것을 미(微)라 명한다.
 
8) 평탄,
王安石, 《游褒禪山记》「夫夷以近, 則游者衆., 險以遠, 則至者少」
무릇 평탄하고 그래서 가까운 곳은 놀러 다니는 사람이 많고, 험하고 그래서 먼 곳은 오는 사람이 적다.
 
9) 傲慢,
《荀子》〈脩身〉「容貌, 態度, 進退, 趨行, 由禮則雅, 不由禮則夷固僻違, 庸衆而野」
용모, 태도, 나가고 들어오는 것, 하는 짓거리(일 처리)는 예로 말미암은 즉 우아(雅)하고, 예로 말미암지 않는 것은 오만하고, 고집스럽고, 부정하여 바르지 않고, 식견이 없는 사람을 야(野)라 한다. (*野= 土= 거칠다)
 
10) 愉快(恞),
《詩經》〈那〉「我有嘉賓, 亦不夷懌」
나에게 좋은 손님이 왔는데 어찌 기뻐하지 않겠는가?
 
11) 평지,
《尉繚子》〈兵教下〉「無喪其利, 無奪其時, 寬其政, 夷其業, 救其弊, 則足以施天下」
적에 대해서 그 백성의 이익의 손상이 없고, 그 적의 나라의 백성들이 농사 지을 시기를 뺏음이 없고, 정치를 관대하게 하고, 농업 같은 백성의 생활을 평탄하게 하고, 그 적국의 폐단을 구제해 주면 즉 천하에 은혜를 베풀 수 있다.
 
 
* 중국 한나라의 3명의 공신
장량(張良), 소하(蕭何), 한신(韓信)입니다. 이들은 한 고조 유방(劉邦)이 한나라를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로, 각각의 뛰어난 능력과 공로로 인해 "한초삼걸(漢初三杰)"로 불립니다. (FELO 참조)
1. 장량(張良): 전략가로서 유방의 친구이자 스승 역할을 하며, 초한전쟁에서 중요한 전략을 세웠습니다. 그는 유방이 항우와의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2. 소하(蕭何): 행정가로서 국가의 안정과 군량 공급을 책임졌습니다. 그는 유방과의 신뢰 관계를 유지하며, 정치적 재능으로 한나라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습니다.
3. 한신(韓信): 군사적 재능이 뛰어난 장군으로, 여러 전투에서 승리를 이끌어내며 한나라의 군사적 기반을 확립했습니다. 그러나 후에 정치적 음모에 휘말려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됩니다.
 
* 이정(李靖)
당나라 초기의 유명한 군사 전략가이자 장수로, 당 태종(唐太宗) 이세민(李世民)을 도와 여러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습니다. 그의 저서인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는 당 태종과 이정 간의 문답 형식으로 구성된 병법서로, 군사 전략과 전술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 《이위공문대》의 개요
1. 저자 및 배경:
o 저자: 이정(李靖)
o 시대: 당나라 태종 시대
o 이정은 돌궐과 토욕혼을 정벌하며 당나라의 군사적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습니다.
 
2. 구성:
o 이 책은 상권, 중권, 하권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각 권은 군사 전략, 전술, 병법의 원리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3. 주요 내용:
o 상권: 기정(奇正)의 운용, 진법의 토론, 병차의 편제 등.
o 중권: 허실(虛實)의 형세, 대오의 편성, 육화진(六花陣) 등.
o 하권: 지형의 활용, 병력의 분산과 집중, 장수의 통솔 등.
 
4. 군사적 가치:
o 《이위공문대》는 당나라의 군사 전략과 전술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중요한 문헌으로, 후에 무경칠서(武經七書)의 하나로 포함되어 군사학의 고전으로 평가받습니다. 이 책은 군사적 이론뿐만 아니라 정치적 통치 원리와도 연결되어 있어, 고대 중국의 군사 및 정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여겨집니다.
 
5. 영향:
o 이정의 병법은 후세의 군사 전략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조선시대에도 군사 교육의 중요한 교재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책은 군사적 지혜와 통치의 원리를 결합하여, 전쟁의 목적이 단순한 승리가 아니라 백성의 평안과 국가의 존속에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정의 《이위공문대》는 단순한 군사서적을 넘어, 국가 운영과 군사 전략의 복합적인 관계를 탐구하는 중요한 문헌으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FELO 참조)
 
 
12) 봉쇄하다,
《孫子》〈九地〉「是故政擧之日, 夷關折符, 無通其使」
이런 까닭에 정권을 장악한 날에 관문을 봉쇄하고, 사람들의 통행증명서를 없애고, 그 사신의 통행을 못하게 한다.
 
13) 尸体를 잘 놓다(侇),
《周禮》〈凌人〉「大喪, 共夷槃冰」
왕의 초상이 나면 시체를 놓는(侇) 판과 시체 부패 방지용 얼음을 제공한다.
 
* 능인 ~얼음을 관장하는 관리
 
14) 창에 찔린 상처,
《後漢書》〈班超傳〉「毎有攻戰, 輒爲先登, 身被金夷, 不避死亡」
매번 전투가 있으면 빈번히 먼저 올라 가서 몸이 창에 찔려도 피하지 않고 죽었다.
 
 
 
* 중국의 4대 미녀
• 서시(西施): 춘추시대의 월나라 출신으로, 그녀의 아름다움 때문에 물고기가 그녀를 보고 헤엄치는 것을 잊고 강바닥으로 가라앉았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그녀는 "침어(沈魚)"라는 별칭을 얻었습니다.
• 왕소군(王昭君): 한나라의 궁녀로, 그녀의 미모에 감동한 기러기가 날개 짓을 잊고 떨어졌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낙안(落雁)"이라는 별칭이 붙었습니다.
• 초선(貂蟬): 삼국시대의 인물로, 그녀는 왕윤의 수양딸로 묘사되며, 그녀의 아름다움이 달을 부끄럽게 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폐월(閉月)"이라는 별칭이 붙었습니다.
• 양옥환(楊玉環): 당나라의 양귀비로, 그녀의 미모가 꽃을 부끄럽게 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수화(羞花)"라는 별칭이 붙었습니다.
 
* 초선은 “삼국지연의” 소설에 나오는 인물이라고 하여 빼고, 역사적 기록이 있는 대신 반소를 넣는 경우도 있습니다.
 
 
15) 助詞로 뜻 없음,
《孟子》〈盡心下〉「夷考其行而不掩焉者也」
 
 
 
* 焉者 ~ 마치 ~와 같은
=~ 之諸樣子 = ~ 似的 = ~ 的 樣子
* "稱家"는 한자로 "칭가"라고 읽으며, 그 의미는 "집의 유무에 맞춘다"는 뜻입니다. 이는 집의 빈부에 따라, 즉 가산(家産)에 따라 일을 알맞게 처리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 稱家有無"는 주로 사람이나 상황이 그들의 경제적 상태나 집안 형편에 따라 적절한 행동이나 결정을 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고대 중국의 경전인 《礼记》(예기)에서 유래하였으며, "일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집안 형편에 맞추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16) 소멸,
《漢書》〈酷吏傳序〉「邑氏已敗, 遂夷封侯之家」
읍씨가 이미 패했다, 드디어 제후의 책봉을 받은 집안을 소멸시켰다.
 
17) 姓氏 ~성씨도 있다
 
 
* 夷夏東西說(1933年傅斯年, 54운동 학생대표, 北京大, 臺灣大學 총장)-중국역사는 남북의 대립이 아니고 太行山을 경계로 夷,商爲東系, 夏,周爲西系
* 부사년(傅斯年)의 《이하동서설》(夷夏東西說)은 중국 고대 문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 중요한 저작입니다. 이 책은 전통적으로 동이(東夷)와 하(夏) 문명을 남북 간의 이항구조로 이해하던 관념을 뒤집고, 동서 간의 대립으로 인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FELO 참조)
- 주요 내용
1. 동이와 하의 관계:
o 부사년은 동이와 하의 관계를 재조명하며, 동이 문명이 하 문명과 대립하는 구조로 설명합니다. 그는 동이 문명이 단순히 주변 세력으로 간주되던 것을 벗어나, 독립적이고 중요한 문화적 정체성을 가진 존재로 강조합니다.
2. 역사적 맥락:
o 이 저작은 고대 중국의 역사적 사건들을 바탕으로 하여, 동이와 하의 상호작용 및 갈등을 분석합니다. 부사년은 동이의 문화와 정치적 지위를 부각시키며, 이들이 하와 은(殷) 문명과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를 설명합니다.
3. 문화적 정체성:
o 부사년은 동이 문명이 고대 한국을 포함한 여러 민족과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 복합적인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동이 문명이 후에 고조선과 같은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도 설명합니다.
4. 비판적 시각:
o 부사년은 전통적인 역사관, 특히 하-주 중심의 역사관을 비판하며, 동이 문명의 중요성을 재조명합니다. 그는 동이 문명이 단순히 하 문명에 종속된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문화적 기초를 가지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5. 결론:
o 이 저작은 중국 고대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을 제공하며, 동이 문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부사년의 연구는 현대 중국학계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참고자료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부사년의 《이하동서설》은 고대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 동이와 하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역사적 인식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2025.4. 24 강의 요약자: 주정봉)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