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5.04.20. 16:39 (2025.04.20. 16:39)

사마천 사기 381강 강의자료 요약 (2025.4.17)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憫農1, 2〉와 작자 李紳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新樂府運動, 四海, 閒田, 當午, 汗滴, 下土 등......)설명 ; (2) 《論語》〈里仁〉「子曰:苟志于仁矣,無惡也」에서 惡의 古注와 新注 발음의 차이 및 「子曰:唯仁者能好人,能惡人」의 惡과 비교 설명. (3) 烏와 異體字 於 및 介詞와 感歎詞로 사용될 때(烏, 烏乎, 嗚呼, 惡, 於, 於呼, 於戲...)의 발음(wu, yu)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도로별 명칭(1거리~8거리) 구분과 《列子》〈康衢謠〉「康衢煙月」의 의미에 대하여 설명 ; (5) 夷의 최근에 밝혀진 甲骨文 형태와 문자학적 설명 및 中華와 4夷에 관련된 상세 내용을 설명 ; (6) 美金, 惡金, 五金 등 금속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설명하였습니다.
사마천 사기 381강 강의자료 요약 (2025.4.17)
 
2025년 4월 17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민농”
2) 당시 중국어 발음
憫 農 ---李 紳
chūnzhǒng
qiūshōuwàn
hǎixiántián
nóngyóuè
chúdāng
Hànxià
shuízhīpánzhōngcān
jiēxīn
 
3) 작자: 李紳(리신, 772-846) (AI 종합)
중국 한시 작가이며, 자는 공수(公垂)이며, 윤주(潤州: 현재 無錫) 사람이다. 당 헌종 원년(806)에 진사가 되고 淮南節度使를 지냈다. 그는 원진, 백거이와 교류하며 ‘신악부운동’을 제창했다. 당시 문인들은 고도한 형식미에 빠져 활기가 없었는데, 리신이 활기를 불어넣어 《追惜遊詩》 3권과 《잡시》 1권이 전해오고 있다. 중국인들은 초등학교 저학년 때 국어 교과서에서 리신의 연작시 〈憫農〉을 처음 접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배운다. 선생은 학생들에게 ”나라는 백성을 근본 삼고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로 여긴다(國以民僞本 民以食僞本)“라는 것을 가르치고 학생은 이를 통해 성장하며 德性을 증진시킨다.
- 생애 및 배경
1) 출생과 교육: 李紳은 772년에 태어나, 젊은 시절부터 문학에 대한 재능을 보였습니다. 그는 유교 교육을 받으며 성장하였고, 이는 그의 시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2) 관직 생활: 그는 관료로도 활동하였으며, 여러 지방에서 행정직을 맡았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그의 시에 현실적인 사회적 맥락을 부여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 문학적 기여
1) 시의 주제: 李紳의 시는 자연, 인간의 감정, 그리고 사회적 이슈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는 신악부 운동(新樂府運動)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특히 고독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한 작품에서 뛰어난 감수성을 보여줍니다.
2) 스타일: 그의 시는 간결하면서도 깊이 있는 표현으로 유명합니다. 그는 전통적인 한시 형식을 따르면서도 개인적인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능숙했습니다.
3) 유산: 李紳은 당나라 시인들 중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후대의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작품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읽히고 연구되고 있습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농민의 고된 노동과 굶주림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민농(憫農)》 2수가 있습니다.
 
 

 
*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332강(2023.11.30.) 강의 교안
 
*《論語》〈里仁〉
4-04. 子曰:苟志于仁矣,無惡也
 
진실로 인에 뜻이 있으면 무오이다.
 
* 주석
1) 苟 - 만약, 진실로(誠)
2) 志 - 立志, 存心, 存心在仁, 存心於愛
3) 無 - 없다, 하지 않는다
4) 惡 - a.오(旧注)-(발음은 烏wū 路lù 反, wu4, 好與惡)미워하는 마음, 현재 定說
* 烏 (1) 감탄사(wū): 烏, 嗚, 惡, 嗚呼, 嗚乎, 於, 於呼, 於戱 (於: 오, 고문: wū, 현재: yú)
(2) 개사): 於(yú) 현재는 우(于)로 사용
 
b. 악 -《朱子集註》는 악, (è , 善與惡)사악한 행동, 做壞事, 行作亂, 爲驕奢, 作淫邪...
 
 
* 인(仁)과 예(禮)의 차이점(FELO참조)
인(仁)과 예(禮)는 유교의 핵심 개념으로, 각각 인간의 도덕적 본성과 사회적 행동 규범을 나타냅니다. 이 두 개념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그 의미와 기능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1) 인(仁)
• 정의: 인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사랑' 또는 '인간애'를 의미합니다. 이는 공자가 강조한 도덕적 본질로,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을 포함합니다. 인은 인간의 본성에서 비롯된 도덕적 감정으로, 개인의 내면적 수양과 관련이 깊습니다.
• 기능: 인은 개인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규명하는 도덕적 기준을 제공합니다. 즉, 인은 인간이 지녀야 할 기본적인 도리로,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강조합니다.
 
2) 예(禮)
• 정의: 예는 '예절' 또는 '의례'를 의미하며, 사회적 행동의 규범과 형식을 나타냅니다. 이는 인간관계에서의 적절한 행동 양식을 규정하는 것으로, 공적인 상황에서의 행동을 포함합니다.
• 기능: 예는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고, 인간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데 필요한 외적인 규범입니다. 예는 도덕적 실천을 위한 외적 형식으로, 인간의 행동을 규제하고 사회적 조화를 이루는 데 기여합니다.
 
3) 차이점 요약
• 내면 vs. 외면: 인은 개인의 내면적 도덕성을 강조하는 반면, 예는 외적인 행동 규범과 형식을 중시합니다.
• 개인적 관계 vs. 사회적 규범: 인은 개인 간의 관계에서의 도리와 감정을 다루고, 예는 사회적 상황에서의 적절한 행동을 규정합니다.
• 기본적 가치 vs. 실천적 규범: 인은 인간의 본질적 가치와 도덕적 감정을 나타내고, 예는 이러한 가치를 사회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 양식을 제공합니다.
 
결론적으로, 인과 예는 유교에서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하며, 인이 내면의 도덕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면, 예는 그 도덕성을 사회적 맥락에서 실현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도로별 구분과 康衢煙月의 의미
1) 도로별 구분. 출전은 《爾雅》〈釋宫〉
「一達謂之道路(도로),二達謂之岐旁(기방),三達謂之劇旁(극방),四達謂之衢(구),五達謂之康(강),六達謂之莊(장),七達謂之劇驂(극참),八達謂之崇期(숭기),九達謂之逵(규)」
* 逵는 4通八達의 도로를 의미하기도 함.
(1) 一達謂之道路(도로): 기본적인 도로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이동하는 길입니다.
(2) 二達謂之岐旁(기방): 두 갈래로 나뉘는 길을 의미합니다.
(3) 三達謂之劇旁 (극방): 세 갈래로 나뉘는 길을 의미합니다.
(4) 四達謂之衢(구): 네 갈래로 나뉘는 길을 의미하며, 중요한 교차로를 나타냅니다.
(5) 五達謂之康(강): 다섯 갈래로 나뉘는 길을 의미합니다. 복잡한 교차로를 나타냅니다.
(6) 六達謂之莊(장): 여섯 갈래로 나뉘는 길을 의미합니다. 더욱 복잡한 도로망을 나타냅니다.
(7) 七達謂之劇驂(극참): 일곱 갈래로 나뉘는 길을 의미합니다. 매우 복잡한 교차로를 나타냅니다.
(8) 八達謂之崇期(숭기): 여덟 갈래로 나뉘는 길을 의미합니다. 중요한 교차로를 나타냅니다.
(9) 九達謂之逵(규): 아홉 갈래로 나뉘는 길을 의미하며, 매우 중요한 도로망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구분은 고대 중국에서 도로의 중요성과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각 도로의 명칭은 그 도로의 특성과 기능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2) 康衢煙月의 의미. 출전은 《列子》〈康衢謠〉「康衢煙月」
(1) 원래 의미는 번화한 거리에 달빛이 은은히 비추는 모양
(2) 나중에는 태평성세의 풍요로움을 노래할 때 사용함.
康衢煙月(강구연월)은 고대 중국의 문헌인 《列子》의 중니편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번화한 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태평성대의 평화롭고 풍요로운 풍경을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 출처와 배경
• 출처: 이 표현은 요임금(堯)의 통치 시기에 백성들이 부른 동요인 강구요(康衢謠)에서 유래합니다. 요임금이 50년간 나라를 다스린 후, 민심을 살피기 위해 평복을 입고 번화한 거리를 돌아다니던 중 아이들이 "우리 백성을 살게 해 주심은 임금의 지극한 덕"이라고 노래하는 장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는 요임금의 덕이 백성들에게 평화를 가져온 것을 나타냅니다.
• 의미: 강구연월은 단순히 아름다운 경치를 묘사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의 안정과 평화를 상징합니다. 이 표현은 고대 중국의 이상적인 사회 상태를 나타내며, 지도층이 국민에게 안정된 삶을 제공해야 한다는 책임을 강조합니다.
 
- 문화적 맥락
강구연월은 현대에도 여전히 사용되며, 특히 새해의 희망을 담은 사자성어로 자주 인용됩니다. 예를 들어, 2010년 새해의 희망을 담은 사자성어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이는 사회가 평화롭고 번영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FELO참조)
 
* 삼고구궤. (FELO참조)
삼고구궤(三叩九跪)는 조선 인조가 청나라 태종에게 항복할 때 행한 치욕적인 의식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의식은 인조가 태종 앞에서 무릎을 꿇고 세 번 머리를 조아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는 조선이 청나라에 대해 신하의 예를 갖추는 행위로, 당시 조선의 국왕이 외세에 굴복하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여겨집니다.
삼고구궤는 병자호란(1636-1637) 중에 발생했으며, 이 전쟁은 조선이 청나라의 침략을 받으면서 발생했습니다. 조선은 명나라와의 의리를 지키려 했으나, 결국 청나라와의 전면적인 대결을 선택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많은 백성이 고통받았습니다. 인조는 1637년 1월 30일, 삼전도에서 태종에게 항복하며 이 의식을 치렀고, 이는 조선이 '형제의 나라'에서 '신하의 나라'로 전락하는 순간으로 기록됩니다.
삼고구궤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무릎 꿇기: "궤"(跪)의 명령을 듣고 무릎을 꿇습니다.
• 머리 조아리기: "일고두"(一叩頭), "재고두"(再叩頭), "삼고두"(三叩頭)의 명령에 따라 양손을 땅에 대고 머리를 세 번 조아립니다. 이 과정을 총 세 번 반복하여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게 됩니다.
이 의식은 단순한 항복의 의미를 넘어, 조선의 외교 정책과 당시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삼고구궤는 조선이 외세에 대한 의존과 굴욕을 경험한 상징적인 사례로, 오늘날에도 많은 논의의 주제가 되고 있습니다.
 
* 5拜3叩(오배삼고)
명나라 시대의 공식적인 예법으로, 주로 대왕이나 신하가 황제를 만날 때 사용되었습니다. 이 예법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집니다:
1. 稽首 (qī shǒu): 손을 모아 머리를 숙이는 절을 네 번 행합니다.
2. 顿首 (dùn shǒu): 마지막으로 머리를 땅에 세 번 조아리는 절을 합니다.
이러한 절차는 명나라의 공식적인 예법으로, 대왕이나 황제에게 경의를 표하는 방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명나라의 예법은 후에 청나라에 의해 수정되어 三跪九叩(삼고구궤)로 발전하게 됩니다.
삼고구궤는 청나라 시대에 대왕이나 황제를 만날 때 사용된 예법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집니다:
• 三跪 (sān guī): 세 번 무릎을 꿇습니다.
• 九叩 (jiǔ kòu): 각 무릎 꿇음마다 머리를 아홉 번 조아립니다.
이러한 예법은 청나라가 외국 사절에게도 강요하였으며, 조선의 인조가 청나라 태종에게 항복할 때도 사용되었습니다. 삼고구궤는 조선이 청나라에 굴복하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역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5拜3叩는 명나라의 예법으로, 삼고구궤는 청나라의 예법으로 발전하여, 각각의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었습니다.
 
 

 
* 《史記》〈周本紀〉 注釋
 
 
1. 夷 - 최신 발견 甲骨文, 夷(사람+화살)와 尸(꿇어앉은), 人과 모두 同形, 서로 通.
《說文解字》「夷, 從大從弓。東方之人也」 ; 참고로 大는 사람 형상입니다.
그 외에 東南方의 「閩越」은 從虫, 南方의 「蠻」도 從虫, 西方의 「羌」은 從羊, 北方의 「狄」은 從犬, 東北方의 「貉」은 從豸, 東方의 「夷」는 從人(矢)이다. ; 즉 夷는 진시황 이전 고대 중국의 동방 부족(黎→夷→東夷(西周 成王, 東夷 글자 최초 출현)
 
* 中華와 4夷에 대한 설명
- 中華와 4夷의 개념
1) 중화(中華)는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반영한 용어로, 중국을 문명의 중심으로 간주하며 주변 민족을 "4夷"로 구분했습니다. 4夷는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東夷(동이): 동쪽에 위치한 민족으로, 활을 잘 사용하는 민족으로 묘사됨.
西戎(서융): 서쪽의 민족으로, 주로 유목 생활을 하는 부족들.
南蠻(남만): 남쪽의 민족으로, 습하고 더운 기후에서 생활하며 벌레가 많다는 이유로 "벌레충(虫)" 자가 포함됨.
北狄(북적): 북쪽의 민족으로, 주로 유목과 사냥을 하는 부족들.
 
이러한 구분은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서 주변 민족을 문명화되지 않은 존재로 간주한 결과이며, 실제로는 각 민족이 고유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2) 夷의 최근에 밝혀진 甲骨文 형태와 문자학적 설명
甲骨文에서의 夷(이) 자형
甲骨문에서 "夷"는 활(弓)을 상형한 글자로 시작되었습니다. 초기 형태는 활의 모양을 단순히 상형화한 것으로, 이후 금문(金文)에서는 활 위에 화살을 포개 놓은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이는 동방 민족이 활을 잘 사용했던 특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소전체(小篆)에서는 "大"와 "弓"이 결합된 형태로 보이지만, 이는 초기 갑골문에서 활과 화살의 형태가 변형된 결과입니다.
 
문자학적으로 "夷"는 본래 동쪽에 활을 잘 사용하는 민족을 지칭하는 긍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었으며, 후대에 와서 "오랑캐"라는 부정적 의미로 변질되었습니다. 청대 학자 단옥재(段玉裁)는 "夷"를 "仁者壽(어질고 장수하는 민족)"로 해석하며, 군자가 끊어지지 않는 나라로 극찬한 바 있습니다.
 
* 예(穢)와 맥(貉) (FELO참조)
고대 한국의 민족 및 부족을 나타내는 용어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두 용어는 주로 고조선과 관련된 문헌에서 등장하며, 각각의 민족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 예(穢)
예는 고대 한국의 부족 중 하나로, 주로 한반도 동북부와 만주 지역에 거주했습니다. 예족은 기원전 2~3세기 경부터 압록강과 송화강 유역, 그리고 동해안 일대에 정착하여 농업과 가축 사육을 하며 생활했습니다. 예족은 고조선의 중심 세력 중 하나로 여겨지며,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등 여러 부족과 함께 예맥으로 통칭되기도 합니다.
예족은 역사서인 《삼국지》의 동이전에서 "호랑이"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는 그들의 종교적 신념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족은 또한 단군신화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군의 후손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 맥(貉)
맥은 예와 함께 고대 한국의 또 다른 부족으로, 주로 예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습니다. 맥족은 예족과 구분되기도 하지만, 역사적으로는 서로 합쳐져 예맥이라는 집단을 형성했습니다. 맥족은 고조선 말기에 예족과 통합되어 새로운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한 것으로 보입니다.
맥은 "곰"을 의미하는 동물과 연결되어 있으며, 예족과의 관계에서 종교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예와 맥은 서로 다른 지역에 거주했으나, 고조선의 정치적 및 사회적 구조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예와 맥의 관계
예와 맥은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부족으로 여겨지지만, 고조선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서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두 부족은 각각의 문화와 신앙을 가지고 있었으며, 후에 통합되어 예맥이라는 집단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이러한 통합은 고조선의 정치적, 사회적 구조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결론적으로, 예와 맥은 고대 한국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부족으로, 그들의 문화와 신앙은 오늘날까지도 한국 민족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 중원 이외 각 지역의 소수민족에 대한 멸시 칭호,
(例)《論語》〈子罕〉「子欲居九夷。或曰:陋, 如之何?子曰:君子居之, 何陋之有(有何之陋)?」
공자가 구이(산동성 지역)에 가서 살고 싶다고 했다. 어떤 사람이 말하였다. “누추하니 어찌 사실 수 있겠습니까?”
공자가 대답하셨다. “군자가 산다면 어쩌 누추함이 있겠는가?”
 
《玉篇》〈大部〉「夷, 蠻夷也」
이(夷)는 만이 이다.
 
2) 풀을 깎다
《周禮》〈蓠氏〉「掌杀草。春始生而萌之, 夏日至而夷之」 ;
풀을 제거한 방법은 봄에 싹이 나고 여름이 되어 그 풀을 깍는다.
 
3) 풀을 제거하거나 땅을 평평하게 고르는 공구,
《管子》〈小匡〉「惡金以鑄斤斧鋤夷鋸戟, 試諸木土」
철로 작은 도끼와 큰 도끼, 호미, 쇠스랑, 톱, 창을 주조하고 나무와 흙에 시도했다.
 
 
* 美金(미금)
1) 청동을 가르킨다.
고대 중국에서는 광석 구리, 주석, 납 등을 숯과 함께 녹여 합금을 만들거나 습속 제련을 통해 금속을 추출해 청동기를 제조했다.
2) 美金은 일반적으로 금(gold)을 가리킨다.
금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부식되지 않는 특성 때문에 고대부터 화폐, 장신구, 종교적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 오금(五金)
오금은 전통적으로 다섯 가지 금속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이 다섯 가지 금속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금(金): 금(Au)
• 은(銀): 은(Ag)
• 동(銅): 구리(Cu)
• 철(鐵): 철(Fe)
• 석(錫): 주석(Sn)
하지만 문헌이나 지역에 따라 **납(Pb)**이나 아연(Zn) 등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금속 주조 기술
고대 중국에서는 구리와 철을 주조하는 기술이 매우 발달했습니다. 특히, 상나라(商朝)와 주나라(周朝) 시기에 구리로 만든 제기와 무기들이 대량으로 생산되었습니다. 이러한 주조 기술은 군사력의 강화와 사회 구조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예를 들어, 저렴한 주조 무기가 대량 생산됨으로써 농민들도 군대에 징집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군사 조직의 대중화를 가져왔습니다.
 
2) 철강 기술의 발전
철(鐵)은 고대 중국에서 중요한 금속으로, 특히 한나라(漢朝) 시기에 철강 기술이 크게 발전했습니다. 중국은 고온에서 철을 녹여 주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강철을 생산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농업 기계와 무기 제작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3) 농업 도구의 발전
구리와 철로 만들어진 농업 도구는 농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예를 들어, 금속으로 된 쟁기와 농기구는 나무로 만든 도구보다 훨씬 더 효율적이었습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더 깊이 땅을 갈 수 있게 하여, 농작물의 수확량을 증가시켰습니다.
 
4) 무기와 방어구의 발전
금속의 사용은 군사 기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철로 만든 무기와 방어구는 전투에서의 생존 가능성을 높였고, 이는 군사 전략의 발전으로 이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크로스보우(십자궁)는 철제 부품으로 제작되어 더욱 강력한 무기로 발전했습니다.
 
5) 건축 기술의 발전
금속은 건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금속으로 만든 기둥과 보강재는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였으며, 이는 대규모 건축 프로젝트, 예를 들어 성곽과 궁전의 건설에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건축물들은 고대 중국의 정치적, 군사적 힘을 상징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결론
五金은 고대 중국의 기술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금속의 주조와 가공 기술은 농업, 군사,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어내어, 중국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후에 다른 문화와의 교류를 통해 더욱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2025.4. 17 강의 요약자: 주정봉)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