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5.03.29. 01:29 (2025.03.17. 11:24)

사마천 사기 377강 강의자료 요약 (2025.3.13)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夜雪〉과 작자 白居易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唐代 3대시인, 詩魔, 詩王, 元白, 劉白, 訝(驚訝) 등......)에 대하여 설명 ; (2) 襲의 金文과 원래 의미에 대하여 설명 ; (3) 한자의 획수 많은 글자(172획, 참고로 龍, 龍+龍(두마리 용 답, 삽), 龍+龍+龍(용이 가는 모양 답), 龍+龍+龍+龍(수다스러울 절)과 biáng biáng麵(面) 글자모양, 유래(秦始皇), 글자풀이 ; 招財進寶 조합자 등 사례를 설명 ; (4) 중국 고대 服飾(襲, 裼, 袍, 襗, 裘...등) 설명 ; (5) 중국 고대 5종 문학형식(漢賦-唐詩-宋詞-元曲(雜劇+散曲)-明淸小說), 현대는? 설명 ; (6) 王實甫(元), 《崔鶯鶯待月西厢記》의 별칭, 참고문헌, 주요내용과 宮調(說唱)와 諸宮調(長篇) 및 판소리의 원형을 유추하여 설명 ; (8) 封建의 개념(a.時代區分, b.封建制度(유럽, 중국, 일본), c.前近代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9) 고대 점치는 종류와 원칙(先筮而後卜, 卜筮不相襲...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사마천 사기 377강 강의자료 요약 (2025.3.13)
 
2025년 3월 13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야설”
2) 당시 중국어 발음
qīnzhěnlěng
jiànchuāngmíng
shēnzhīxuězhòng
shíwénshézhúshēng
 
3) 작자: 백거이(白居易, 772-846) (GEMINI참조)
중국 당나라 중기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문학가로, 그의 문학적 업적과 정치적 경력으로 인해 중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생애
• 출생 및 초기 생애:
o 772년, 현재의 중국 허난성 신정 지역에서 출생했습니다.
o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보였습니다.
• 관직 생활:
o 800년, 29세의 나이에 최연소로 진사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습니다.
o 주질현위, 한림학사, 좌습유 등 다양한 관직을 역임했습니다.
o 관직 생활 동안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했습니다.
o 원화 10년(815년) 재상 무원형(武元衡) 이 암살된 사건의 배후를 캐라는 상소를 올렸다가 월권행위라 하여 강주(江州, 지금의 강서 성江西省 구강 시九江市) 의 사마(司馬) 로 좌천당했습니다.
o 그 뒤 다시 중앙으로 복귀하라는 명이 내려지긴 했지만, 그 자신이 지방관을 자처했습니다.
• 말년:
o 75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정치적 이상과 현실
• 백거이는 유교적 이상주의를 바탕으로 정치와 사회의 결함을 비판하는 시를 많이 썼습니다.
• 그의 비판적인 시는 당시 권력층의 반감을 사서 좌천되는 등 정치적으로 순탄치 않은 길을 걸었습니다.
• 하지만 그는 좌절하지 않고 백성들의 삶을 반영하고 사회 문제를 제기하는 시를 꾸준히 창작했습니다.
 
문학적 특징과 영향
• 백거이는 '신악부 운동'을 주도하며 현실 비판적인 시를 통해 사회 개혁을 추구했습니다.
• 그의 시는 평이하고 쉬운 언어를 사용하여 일반 백성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그의 작품은 당시 중국뿐만 아니라 신라에까지 널리 알려져 한국 문학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 현실 비판적인 주제와 평이한 언어의 사용은 백거이 시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 그는 사회적 약자의 고통과 슬픔을 섬세하게 표현하여 독자들의 공감을 얻었습니다.
• 백거이는 중국 문학사에서 이백, 두보와 함께 가장 위대한 시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시는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시와 그 의미
• 장한가(長恨歌) :
o 당 현종과 양귀비의 비극적인 사랑을 노래한 서사시로, 역사적 사실과 상상을 결합하여 아름다운 문장으로 표현했습니다.
• 비파행(琵琶行) :
o 강가에서 비파를 연주하는 여인의 슬픈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사회적 약자의 고통과 슬픔을 섬세하게 표현했습니다.
• 신악부(新樂府) :
o 사회 현실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내용의 시들을 모은 것으로, 백성들의 고통과 사회의 부조리를 생생하게 묘사했습니다.
 
 

 
*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29강(2023.11.09.) 강의 교안
 
* 《史記》〈周本紀〉 注釋
1. 襲 - 金文 (청동기에 기록)
최초 출현, 원래는 사망자가 입은 왼쪽편의 속옷을 가리킴. 점차 중복, 중첩, 계승의 의미.
《說文解字》「襲, 左衽袍。從衣,龖省聲」
습은 좌임포이다. 종의(옷에 관련 된 것) , 삽이 생략된 소리이다.
 
 
1) 옷을 덧입힘,
《禮記》〈曲禮下〉「執玉,其有藉者則裼, 無藉者則襲」
옥을 잡고, 화려한 장식이 있는 것을 든 사람은 옷을 드러내고, 장식이 없는 사람은 석의 위에 옷을 덧입었다.
 
孔穎達 疏.「凡衣,近體有袍襗之屬., 其外有裘,夏月則衣葛., 其上有裼衣, 裼衣上有襲衣., 襲衣之上有常着之服,則皮弁之屬也。掩而不開則謂之襲」
무릇 옷은 도포와 속옷 그런 종류가 몸에 가까이 있다. 밖에는 짐승 털로 만든 옷을 입었다.
여름에 갈 옷을 입고, 그 위에 석의(裼衣) 를 입었다. 석의 위에 습의(襲衣) 를 입었다.
섭의 위에 常着之服(일반 의례에 입는 옷) 입는다. 가죽 관 이런 것이 있다. 가리고 드러내지 않는 것을 습이라 한다.
 
2) 반복,
孔穎達 疏.「禮記稱卜筮不相襲,襲者重合之義」
예기에 점을 칠 때 반복해서 치지 않는다. (점을 쳤는데 안 좋으면 또 치지 않는다)
반복은 거듭하는(重合) 한다는 뜻이다.
 
 
 
* 고대 점술의 종류와 원칙
1. 종류
<禮記> <曲禮上>에 "龜為卜 策為筮"라 하였으니, 이는 거북의 등껍질(龜甲) 로 하는 복(卜) 은 국가의 큰일이나 군사적 중대사에 사용하고, 시초(蓍草) 로 하는 서(筮) 는 민간의 작은 일에 사용했음을 의미합니다. 이 외에도 주역의 괘(卦) 와 동전이나 골패 등을 활용한 점(占) 이 있었습니다.
 
2. 원칙
1) 先筮而後卜
먼저 시초로 점(筮) 을 치고 나중에 거북으로 점(卜) 을 친다는 원칙입니다.
이는 "筮為數, 龜為象"이니, 수(數) 가 먼저이고 상(象) 이 나중이라는 뜻입니다. 만약 먼저 친 시초점(筮) 에서 길(吉) 한 결과를 얻으면, 다시 거북점(卜) 을 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초점에서 불길(不吉) 한 결과를 얻으면, 다시 거북점으로 상(象) 을 살핍니다.
 
2) 卜筮不過三
점을 치는 것은 세 번을 넘지 않는다는 원칙입니다. 계속해서 불길한 결과가 나오면, 하려던 일을 잠시 중지하고, 나중에 길일(吉日) 을 골라 다시 점을 치도록 합니다.
 
3) 卜筮不相襲(反復)
점술은 서로 반복하지 않는다는 원칙입니다. 시초점(筮) 을 치고 나서 거북점(卜) 을 칩니다.
만약 거북점이 불길(不吉) 하다면, 다시 거북점(卜) 을 치는 것이지 시초점(筮) 으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 '산통을 깨다'에서 '산통'은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하나는 목돈을 모을 목적으로 조직한 계 '산통계(算筒契) '에서 계알을 넣고 곗돈을 탈 사람을 뽑는 통을 의미한다.
산통계는 계원 전원이 한 번씩 곗돈을 타야 끝이 나지만 중간에 깨지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최종 목적인 곗돈 타는 일이 무산되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어떤 일이 이뤄지지 못하게 뒤틀다'라는 의미가 생겨난 것이라고 전해졌다.
또한 다른 하나는 '산통점(算筒占) '에 쓰인 산통(算筒) 을 뜻하는데 산통을 깨는 것은 점을 치지 못하게 하는 행동이기 때문에 ''잘되어 가던 일을 중간에서 망친다'가 담긴 것.
(경기일보 신지원 기자 참조)
 
* 산통 한자표기 ~ 算筒 算筩 算桶
 
 
3) 쌓다,
《楚辭》〈懷沙〉「重仁襲義兮,謹厚以爲豊」
인을 중시하고 의를 쌓고, 근후 (忠誠/精誠 寬厚) 하면 충족시키게 된다.
 
4) 조화,
《荀子》〈不苟〉「山淵平,天地比,齊秦襲……是說之難持者也」
높은 산과 깊은 연못이 똑같이 평평하고, 하늘과 땅이 똑같이 비교하고 제나라와 진나라가 조화를 이루고 이것이 말의 가장 파악하기 어려움이다. (이것은 말이 안된다는 뜻이다.)
 
5) 계승하다,
董解元(金) , 《西厢記諸宮調》卷三「祖宗非佌佌,也非是庶民白屋,不襲門蔭,應中賢良科擧」
조상이 비천하지 않고, 또 서민의 초가집(白屋) 도 아니고(일반 평범한 사람이 아니다) , 조상의 음덕을 따라 관리를 계승하지 않고, 마땅히 賢良 과거 시험에 합격했다.
 
 
 
* 서상기제궁조(西廂記諸宮調)는 중국 송나라에서 금나라에 걸쳐 유행한 문학 및 음악 형식으로, 훗날 원나라의 유명한 희곡 《서상기》(西廂記) 의 모태가 되었습니다.
 
1. 특징 및 구조
• 제궁조는 대사가 섞인 가곡 형식으로, 한국의 창극과 유사합니다.
• 노래와 노래 사이에 이야기 전개를 설명하는 산문이 삽입되어, 악곡류 고자사와는 다른 구조를 가집니다.
• 소규모 악단 구성을 갖추고 있어 악기 연주, 노래, 이야기 구술, 간단한 춤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었습니다.
 
2. 역사적 의의
• 제궁조는 원나라 잡극 생산의 기초를 이룬 중요한 형식 중 하나입니다.
• 《서상기》는 당나라의 전기 소설인 《회진기》(會眞記, 앵앵전) 를 소재로 한 금나라 제궁조 《동서상》(董西廂) 의 줄거리를 바탕으로 발전했습니다.
 
3. 문학적 발전
• 제궁조 형식은 민간 문화와 상류 문인들의 작품이 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전했습니다.
• 이는 강창류 고자사의 등장과 관련이 있으며, 문인들이 민간 문화의 요구에 부응하여 새로운 형식을 창작한 결과입니다.
 
4. 서상기제궁조의 역할
• 《서상기》의 경우, 당대(唐代) 의 전기(傳奇) 인 《회진기》(會眞記, 앵앵전) 를 소재로 한 금대 제궁조(諸宮調) 인 《동서상》(董西廂) 의 줄거리를 희곡화한 것입니다.
• 제궁조 형식은 민간 문화와 상류 문인들의 작품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발전하여, 후대의 희곡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서상기 제궁조는 중국 고전 문학과 음악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후대의 희곡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Perplexity참조)
 
 
* 봉건제의 개념 (GEMINI참조)
• 토지를 매개로 한 관계: 봉건제의 핵심은 토지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주종 관계입니다. 주군은 신하에게 토지를 하사하고, 신하는 토지에서 나오는 수익을 기반으로 주군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군사적 의무를 수행합니다.
• 주종 관계: 봉건제는 주군과 신하라는 명확한 위계질서를 기반으로 합니다. 주군은 신하에게 명령을 내리고 보호를 제공하며, 신하는 주군에게 복종하고 봉사합니다.
• 분권적 정치 체제: 봉건제는 중앙 집권적인 정치 체제와 달리, 지방 분권적인 성격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 지역의 영주들은 자신의 영지 안에서 독립적인 권력을 행사합니다.
 
봉건제도의 유형
1. 유럽의 봉건제
o 서유럽의 봉건제는 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혼란스러운 시기에 형성되었습니다.
o 주군(국왕, 제후 등) 은 신하(기사, 영주 등) 에게 봉토(fief) 를 하사하고, 신하는 주군에게 충성 서약을 하고 군사적 의무를 수행했습니다.
o 유럽의 봉건제는 복잡한 주종 관계와 계약 관계를 특징으로 하며, 교회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에서 발전했습니다.
 
2. 중국의 봉건제
o 중국의 봉건제는 주나라 시대에 시작되었으며, 왕이 제후에게 토지를 분봉하고 제후는 왕에게 조공과 군사적 의무를 제공하는 형태로 운영되었습니다.
o 중국의 봉건제는 혈연 중심의 종법 질서를 기반으로 했으며,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가 확립되면서 점차 쇠퇴했습니다.
o 중국은 왕족과 공신들을 요충지의 제후로 봉하여 주나라 왕실을 지키는 번병(藩屛) 으로 삼은 것에서 시작 되었습니다.
 
3. 일본의 봉건제
o 일본의 봉건제는 가마쿠라 막부 시대에 본격적으로 발전했으며, 쇼군이 다이묘에게 토지를 분봉하고 다이묘는 쇼군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형태로 운영되었습니다.
o 일본의 봉건제는 무사 계급의 강력한 영향력을 특징으로 하며, 엄격한 신분 질서와 충성심을 강조했습니다.
o 일본의 봉건제는 사무라이라는 독특한 무사 계급을 탄생 시켰습니다.
 
봉건제의 특징 비교
 
 
* 마르크스주의 역사관에 따르면 인류 사회는 다음과 같은 발전 단계를 거칩니다. (GEMINI참조)
 
1. 원시 사회
• 가장 초기 단계로, 사유 재산이 없고 공동 생산 및 공동 분배가 이루어지는 사회입니다.
• 수렵과 채집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계급이나 국가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생산력이 낮아 잉여 생산물이 거의 없으며, 평등한 공동체 생활을 합니다.
 
2. 노예 사회
• 농업 생산력의 발달로 잉여 생산물이 발생하고, 사유 재산과 계급이 등장합니다.
• 노예를 소유한 지배 계급과 노동력을 제공하는 피지배 계급으로 나뉘는 최초의 계급 사회입니다.
• 국가가 형성되고, 법과 제도 등 정치 체계가 등장합니다.
 
3. 봉건 사회
• 토지를 매개로 한 봉건적 생산 관계가 지배적인 사회입니다.
• 영주와 농노라는 새로운 계급이 등장하며, 농노는 영주에게 예속되어 노동력을 제공합니다.
• 중세 유럽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며, 장원 경제를 기반으로 합니다.
 
4. 자본주의 사회
• 산업 혁명 이후 자본과 임노동을 기반으로 하는 생산 관계가 지배적인 사회입니다.
• 자본가와 노동자라는 새로운 계급이 등장하며, 노동자는 임금을 받고 노동력을 판매합니다.
• 시장 경제가 발달하고, 상품 생산과 교환이 활발해집니다.
 
5. 공산 사회
• 자본주의의 모순을 극복하고, 계급과 국가가 소멸된 이상적인 사회입니다.
• 생산 수단의 공유와 계획 경제를 통해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입니다.
•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 제시된 미래 사회의 모습입니다.
 
이러한 발전 단계는 마르크스주의 역사관의 핵심 개념이지만, 모든 사회가 이러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것은 아닙니다. 각 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발전 경로가 존재합니다.
 
 
*"반시민적"과 "전근대적"은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로, 각각 다음과 같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GEMINI참조)
1. 반시민적 (Anticivic)
• 의미:
o 시민 사회의 가치나 원칙에 반하는 행위나 태도를 의미합니다.
o 여기서 시민 사회는 개인의 자유, 권리, 평등, 법치주의, 공공성 등을 존중하는 사회를 말합니다.
o 따라서 반시민적 행위는 이러한 가치들을 침해하거나 훼손하는 행위를 가리킵니다.
o 예를 들어, 폭력적인 시위, 혐오 발언, 공공질서 파괴, 개인의 자유 침해 등이 반시민적 행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 특징:
o 개인의 권리보다 집단이나 특정 이념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o 다양한 의견이나 비판을 억압하려는 태도를 보입니다.
o 법과 질서를 무시하고 폭력이나 불법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전근대적 (Pre-modern)
• 의미:
o 근대 사회 이전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특징을 의미합니다.
o 근대 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 민주주의, 과학 기술, 산업화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o 따라서 전근대적 특징은 이러한 근대적 가치나 시스템이 확립되기 이전의 사회를 나타냅니다.
o 예를 들어, 신분제도, 권위주의, 미신, 봉건주의 등이 전근대적 특징에 해당합니다.
• 특징:
o 개인보다 집단이나 공동체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o 권위주의적인 통치나 신분 제도가 존재합니다.
o 과학적 사고보다는 미신이나 전통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o 사회 변화에 대하여 저항적인 모습을 보인다.
 
두 용어의 관계:
• 반시민적 행위는 전근대적인 사고방식이나 가치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전근대적인 사회에서는 개인의 자유나 권리가 존중되지 않고, 권위주의적인 통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 그러므로, 반시민적인 행위는 전근대적인 사회의 잔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중국 고대 문학의 다섯 가지 주요 형식(한부, 당시, 송사, 원곡, 명청소설)
 
1. 한부(漢賦)
• 특징: 한대(漢代) 에 발달한 문학 형식으로, 사물이나 주제를 미사여구로 서술하며 극도로 화려하게 표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역사: 초사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초기에는 장형의 장부(長賦) 가 유행했고 후기에 소부(小賦) 로 변화했습니다.
• 주요 작가: 사마상여, 가의 등이 대표적이며, 황제와 귀족을 위한 오락적 성격이 강했습니다.
 
2. 당시(唐詩)
• 특징: 당대(唐代) 의 시는 5언과 7언의 절구와 율시로 대표되며, 형식미와 감성 표현이 뛰어납니다.
• 역사: 과거제도의 발달로 문인 계층이 성장하면서 시가 중요한 문학 양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주요 작가: 이백, 두보, 왕유 등은 자연과 인간의 감정을 깊이 묘사한 작품을 남겼습니다.
 
3. 송사(宋詞)
• 특징: 노래를 위한 가사 형식으로 음악과 밀접하게 연결된 문학입니다. 정형화된 운율과 자유로운 감정 표현이 조화를 이룹니다.
• 역사: 송대(宋代) 에 발달했으며, 사대부 계층뿐 아니라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습니다.
• 주요 작가: 소동파, 신기질 등이 대표적입니다.
 
4.원곡(元曲)
• 구성:
- 잡극(雜劇) : 연극 대본 형식으로 대화와 노래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 산곡(散曲) : 독립된 노래 가사로, 자유로운 형식과 서민적 내용이 특징입니다.
• 역사: 원대(元代) 에 몽골 지배하에서 서민 문학으로 발전했습니다.
• 주요 작가: 관한청의 두아원 등이 유명합니다.
 
5. 명청소설(明淸小說)
• 특징: 장편 서사문학으로, 현실 비판과 인간 본성을 탐구하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 역사: 명청 시대에 인쇄술 발달과 독서층 확대로 소설 문학이 번성했습니다.
• 주요 작품:
- 삼국지연의 (나관중)
- 수호전 (시내암)
- 홍루몽 (조설근)
 
이 다섯 가지 문학 형식은 중국 문학사의 핵심이며 각 시대의 사회적·문화적 변화를 반영합니다.
 
6) 받다,
司馬光, 〈交趾獻奇獸賦〉「然後旃裘之長,頓顙而讋服., 祝發之渠,回面而奔走,靡不投利兵而襲冠带,焚僭服而請印綏」
* 교지(交趾) 즉 베트남에서 기이한 코뿔소를 바치고 쓴 시.
코뿔소를 바친 연후에 털가죽 옷을 입은 군주가 이마를 엎드려 조아리고 두려워하며 복종하고, 머리털을 잘라서 도랑에 버리고, 얼굴을 돌려 달려와 날카로운 무기를 버리고 중국의 관대를 받고 자기가 입었던 예의 규정에 어긋나는 복장을 불태우고 중국의 관리로 임명해줄 도장을 받기를 요청했다.
 
* 교지(交趾) 는 현재 베트남 북부에 있는 지역을 가리키는 옛 이름입니다. 홍강(紅江) 은 베트남 북부를 흐르는 강으로, 하내(河內) , 즉 현재의 하노이(Hanoi) 시를 관통합니다.
 
7) 급습하다,
《續資治通鑑》宋太宗雍熙元年「遼招討使韓德讓以征黨項回,遂襲河東,賜詔褒美」
요나라 초토사 한덕양이 당황의 회족을 정벌하고 드디어 하동을 급습하였다. 황제가 조서를 내려 잘했다고 칭찬을 했다.
 
8) 보복하다,
《左傳》莊公二十八年「子元曰.婦人不忘襲讐,我反忘之!」
자원이 말하기를 부인은 원수를 보복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나는 반대로 그 보복하는 것을 잊었다.
 
9) 훔치다,
韓愈, 〈南陽樊紹述墓志銘〉「惟古于辭必己出,降而不能乃剽賊,後皆指前公相襲」
“오직 옛날의 글은 반드시 자신에게서 나와야 한다. (그러나) 후대에 이르러 그렇게 하지 못하는 자들은 남의 글을 훔쳐 표절한다. 그리고 뒤에 온 자들은 모두 앞사람을 가리켜, ‘옛사람들 또한 서로 베끼지 않았느냐’고 말한다.” (베껴 쓰고 걸리면 관례라 한다)
 
10) 들어가다,
《淮南子》〈覽冥訓〉「蛇鳝着泥百仞之中,熊羆匍匐邱山磛岩,虎豹襲穴而不敢咆,猿狖顚蹶而失木枝」
뱀 같은 길쭉한 그런 바다 생물은 진흙에 붙어서 아주 깊은 곳으로 숨어 들고 갈색 곰은 포복해서 험준한 바위에 산같이 움직이지 않고 있고, 호랑이와 표범들은 동굴에 쑥 들어가서 감히 울지 않는다. 원숭이들은 넘어져서 자기가 잡고 있는 나뭇가지를 잃어버린다.
 
 
11) 건드리다,
丁玲, 〈母親〉四「她最喜歡这种夜晚,覺得有說不出的幽趣,可是也有一縷淡淡的寂寞襲上心頭」
그녀는 이런 밤을 가장 좋아한다. 할 말은 있지만 할 말을 못하는 것을 느꼈다.
그러나 한 줄기의 담백한 그런 적막감이 내 마음을 건드리네.
 
12) 되돌아오다,
《文選》〈哀永逝文〉「委蘭房兮繁華,襲窮泉兮朽壤」
자기 부인이 거처하던 방을 방치했는데 오히려 좋아졌구나. 죽은 후 매장한 땅속 깊은 곳은 흙이 이미 썩었구나.
 
 
(2025.3. 13 강의 요약자: 주정봉)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