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백제역사유적지구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백제역사유적지구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2 (5 등급)
◈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대좌 정비 완료
지난 3월부터 시작된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보물 제45호)의 정비사업이 최근 마무리되면서 대좌 앞 나무 불단이 강화유리로 교체되어 대좌가 온전히 드러났다.【문화재청】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익산시(益山市) # 2020년 백제역사유적지구 보존‧관리 사업 # 백제역사유적지구 #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 석불 앞 기존 나무불단을 강화유리로 교체해 옷자락 무늬 대좌 온전히 공개 -
 
지난 3월부터 시작된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보물 제45호)의 정비사업이 최근 마무리되면서 대좌 앞 나무 불단이 강화유리로 교체되어 대좌가 온전히 드러났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익산시(시장 정헌율)와 정부혁신사업의 하나인 ‘2020년 백제역사유적지구 보존‧관리 사업’ 에 따라 이번 정비사업을 진행했다.
대좌를 가리고 있어 크기도 정확히 가늠할 수 없게 만들던 나무 불단이 교체됨에 따라 관람객들은 석불의 온전한 규모도 체감할 수 있게 되었고, 흔히 볼 수 있는 연꽃무늬가 아니라 부처님 옷자락이 흘러내린 모습의 대좌도 잘 볼 수 있게 되었다. 기존 나무 불단은 그동안 공양구를 올려놓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 대좌: 불상을 놓는 대
* 공양구: 불교에서 공양을 드릴 때 사용하는 향로, 화병, 촛대, 다기 따위의 도구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은 대좌를 포함하여 불상이 2.68m, 광배가 받침돌을 포함하여 3.93m로 백제의 환조 불상 중 가장 크기가 크다. 처음 발견되었을 때부터 사라지고 없던 불두(佛頭, 부처의 머리)만 새로 만들었을 뿐, 불신(佛身), 광배(光背), 대좌(臺座)는 고스란히 잘 남아 있어 백제 미술의 백미(白眉)로 인정받는 작품이다.
* 환조: 주위를 돌아가면서 만져볼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표현한 조각
 
시민들은 그동안 가려져 있던 대좌가 모습을 훤히 드러내어 더 장대해진 불상 앞에서 더 엄숙해지게 된다는 반응이다.
 
다만, 언제 만들었는지 알 수 없는 승려 모습의 불두가 모르타르(mortar)로 접착되어 있어 아쉬운데, 문화재청과 익산시는 현재 석불에 대한 실측조사를 8월까지 진행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신체적인 비례와 여러 불상의 모습을 분석하여 어색한 불두의 모습도 개선할 예정이다.
 
 
<옷자락 무늬 대좌가 보이도록 정비한 모습>
 
 
첨부 :
0529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대좌 정비 완료(본문).hwp
0529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대좌 정비 완료(붙임).pdf
 

 
※ 원문보기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익산시(益山市) # 2020년 백제역사유적지구 보존‧관리 사업 # 백제역사유적지구 #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문화】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대좌 정비 완료
(게재일: 2020.05.29. (최종: 2020.06.01. 10:36))  문화재청 보도자료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키워드
▣ 동음이어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에 있는 백제 관련 역사유적지구이다. 2015년 7월 4일 독일 본에서 열린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에서 세계유산 등재 심사를 최종 통과하여 대한민국의 12번째 세계유산이 되었다.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