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
▣ 참조 유튜브 (최근등록순)
- 하위디렉터리 포함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7.02
|
|
|
KBS역사저널 그날
|
4:25 |
1197년, 최충헌은 명종을 창락궁에 유폐시키고 태자와 태자비를 강화도로 유배 보낸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7.01
|
|
|
KBS역사저널 그날
|
4:52 |
명종 4년 9월, 서경에서 조위총이 난을 일으킨다. 이의방은 난을 진압하기 위해 서경으로 군대를 보내지만 크게 패한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7.01
|
|
|
KBS역사저널 그날
|
2:25 |
하급 무신 이의방이 고려의 1인자가 된 것은 무신정변의 성격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7.01
|
|
|
KBS역사저널 그날
|
4:20 |
1173년 8월, 이의방 정권에 불만을 품은 문신 김보당이 군사를 일으킨다. 무신정변을 일으킨 정중부와 이의방을 제거하고 의종을 복위시키려는 목적이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7.01
|
|
|
KBS역사저널 그날
|
3:37 |
정변 셋째 날인 1170년 9월 2일, 의종은 폐위돼 거제도로 유배된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7.01
|
|
|
KBS역사저널 그날
|
6:58 |
경대승은 의종을 시해한 무신정변 주역들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갖고 있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7.01
|
|
|
KBS역사저널 그날
|
4:37 |
무신들은 50여 명의 문신들을 살해하며 정변 첫날부터 기세를 잡았다. 보현원에 억류돼 있던 의종은 갑자기 여러 무신들에게 칼을 하사하고,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7.01
|
|
|
KBS역사저널 그날
|
3:29 |
무신정변 둘째 날, 개경의 궁궐에서 뜻밖의 사건이 벌어진다. 환관 왕광취가 동료를 모아 무신들에게 반격을 시도한 것이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7.01
|
|
|
KBS역사저널 그날
|
4:48 |
명종 4년 12월, 정중부의 아들 정균이 이의방을 죽인다. 한때 고려 최고의 권력을 손에 쥐었던 이의방이었지만 남은 것은 반역자란 오명뿐이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7.01
|
|
|
KBS역사저널 그날
|
4:54 |
명종 9년 9월, 26세의 청년 무신 경대승이 정중부의 아들 정균을 죽이고, 궁궐 내의 정균 세력을 모조리 제거한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7.01
|
|
|
KBS역사저널 그날
|
6:27 |
무신정변의 핵심 인물은 이의방과 이고다. 왕의 친위군이었던 이들은 정8품 산원이라는 직급의 하급 무사였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6.30
|
|
|
KBS역사저널 그날
|
6:31 |
1170년 음력 8월, 보현원에서 무기를 들지 않고 맨손으로 힘과 기술을 겨루는 오병수박희(手搏) 행사가 열렸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6.30
|
|
|
KBS역사저널 그날
|
4:41 |
1170년은 고려 왕조 500년의 거의 절반이 되는 시기로 고려 전기와 후기를 가르는 분수령이 된다.
|
|
|
|
|
|
|
▣ 동음이어
|
|
|
|
1170년(의종 24) 정중부 등이 문신귀족정치에 반발해 일으킨 난.
|
▣ 카달로그 작업
|
▷ 지식지도 |
▷ 원문/전문 (없음) |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 관련 동영상 |
|
▣ 참조정보
없 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