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닝보시(宁波市)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닝보시 (宁波市)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江苏省)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본래 「양저우」(楊州)는 한나라 때 설치된 13주의 하나였다. 그것이 당나라 대에 이르러 「양저우」(揚州)로 표기를 바꾸었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1 (5 등급)
◈ 양저우 둥관고도(東關古渡) (중)
안기는 작품을 시대 순으로 목록을 만들고, 그것을 조목 별로 기록했다. 매 조목마다 작품의 소재와 크기, 착색을 기록했고, 작품에 대한 앞사람의 평가에 대한 오류를 수정하고 보충했다. 안기는 청나라 초기 4대 수장가의 한 사람으로 텐진 동남쪽 고수(沽水)에 머물며 고수초당(沽水草堂)과 고향서옥(古香書屋)을 만들어 소장품을 관리 보관했다.
닝보시(宁波市) 대운하(大運河) # 과주고도 # 양저우 둥관고도 # 양저우 푸하딘 묘지
안기는 작품을 시대 순으로 목록을 만들고, 그것을 조목 별로 기록했다. 매 조목마다 작품의 소재와 크기, 착색을 기록했고, 작품에 대한 앞사람의 평가에 대한 오류를 수정하고 보충했다. 안기는 청나라 초기 4대 수장가의 한 사람으로 텐진 동남쪽 고수(沽水)에 머물며 고수초당(沽水草堂)과 고향서옥(古香書屋)을 만들어 소장품을 관리 보관했다. 양저우에도 저택을 짓고 많은 예술품을 소장했다. 안기는 소금으로 번 돈을 아낌없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하여 사용했다. 13세부터 기부를 실천해 평생을 일관되게 행동했다. 텐진에 큰 화재가 나거나, 여러 차례 홍수가 났을 때도 축적된 재산을 기부하여 도시 기반 시설을 수리하고, 건물을 재건축하고, 많은 이재민들을 구호했다. 옹정제는 안기의 선행에 고마움을 표했다. 1698년 왕기는 왕휘(王翬)를 만나고 적극 후원해 왕휘는 안기를 위해 안록촌소상(安麓村小像)을 그렸다. 안기는 노년에 많은 서화작품을 건륭제에게 바쳤다. 건륭제는 안기를 높이 평가해 은 천 냥의 상금을 하사했다. 조선족 염상이 기증한 훌륭한 작품들은 현재 중국 박물관에 잘 보존되어 있다.
 
중국사학자 조영헌 교수님은 “중국에 있어 15~18세기는 대륙 내부의 물길을 틔운 대운하가 번영한 ‘대운하 시대’였으며, 이는 제국으로 하여금 해양을 완전히 차단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적극적으로 개방할 수도 없게 만드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회통하, 청강포 등 남과 북을 물길로 이을 수 있는 대운하 주요 구간의 개통되어 정치 중심지인 베이징은 경제 중심지인 강남에서 안정적으로 물자를 제공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북경은 변경 지역에 더 가깝기 때문에 끊임없는 북방의 위협이 남아있어 정책자들은 무엇보다 북경의 안보를 무엇보다 우선시하도록 만들었다. 대운하로의 물류 통합은 국가적 물류 체계인 조운(漕運)에서 해운을 금지하는 등의 결과로도 이어졌다.“라고 보았다.
 
양저우 푸하딘 묘지(普哈丁墓園)는 남송 말 중국에 와서 선교한 이슬람교 선지자 무함마드 16세인 푸하딘(普哈丁, ? - 1275년)과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양주의 유명한 이맘 등 다른 무슬림 또는 회족이 묻혀 있는 성지이다. 2012년 11월에 푸하딘 묘는 세계유산 해상 실크로드로 등재가 되었다. 푸하딘 묘지는 중국 이슬람의 초기 역사와 후이족(回族)의 역사를 연구하는 중요한 유적지이다. 후이족은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현재 약 천만 명에 이른다. 그들은 중국어를 사용하는 무슬림으로 닝샤 후이족 자치구에 거주하는 후이족은 약 36%에 불과하며, 현재 중국 전역으로 흩어졌다.
 
과주고도(瓜洲古渡)는 장쑤성 양저우 시 대운하 하류와 장강이 만나는 지점에 있다. 당나라 고승 감진(鉴真)선사도 과주고도에서 일본 견당선을 타고 일본에 건너갔다. 강희제와 건륭제 및 역대 시인 묵객들은 과주에 대하여 많은 시를 남겼다. 명나라 시기의 풍몽룡(梦夢龍, 1574년~1646년)이 지은 소설책 《杜十娘怒沉百寶箱》에 나오는 과주이야기는 유명하다.
 
중국 운하의 기원은 아주 오래되어 기원전 5세기부터 건설되었다고 전해온다. 수양제(隋 世祖 煬皇帝 楊廣, 569년-618년)는 즉위 후 아버지 수문제가 파다가 중지한 운하를 다시 파게 하여 수백만 백성에게 원성을 높이 샀다. 대운하를 파고, 황제가 다니는 길을 내고, 토목공사에 동원된 많은 사람들의 삶은 아주 고달팠다. 황제는 수도를 장안에서 낙양으로 천도했다. 그래서 농민봉기가 일어나 나라가 37년 만에 빨리 망하게 되었다고 후세 사람들은 말한다. 수양제가 이룩해 놓은 운하로 많은 사람들이 천 년 동안 혜택을 보았다고 역사가들은 평가한다. 그래서 〈罪在当代,功在千秋〉, 당대에는 죄가 되었으나, 후세의 천년에는 공(功)이 된다는 말이 생겨났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표식
 
 
수양제는 황제가 되기 전에 10년 동안 양저우의 지방관으로 있어 이 지방에 대해 남달리 깊은 애정을 가졌다. 그래서 대운하의 남쪽 기점을 양주에서 시작하고 황제가 된 후에도 세 번이나 운하를 따라 양저우에 내려왔다. 칭항운하 긴 둑에 심은 수양버들은 수양제의 상징물이다. 수양제는 길이 4.3㎞의 긴 운하를 만들어 수상정원 삼아 즐겼다. 용머리를 뱃머리에 달아놓은 용선을 타고 수로를 내려가면 멋진 우팅챠오(五亭桥)를 만난다. 오정교는 5개의 정자를 허리에 얹고 있는 다리이다. 수양제가 만든 24교는 길이가 24m, 24개의 기둥으로 24절기를 상징한다. 아치형으로 된 다리 24교에서 수양제는 24명의 양주 미인과 함께 야경을 즐겼다. 청나라 건륭제는 양저우를 6번이나 찾아와 행궁에서 몇 달씩 머물며 시인, 화가들을 만나서 연회를 베풀고 즐겼다.
 
이백은 12살이나 많은 선배 맹호연을 양주로 전송하며 황학루(黃鶴樓)에서 아쉬운 이별 시를 읊는다. 시에 연화삼월하양주(煙花三月下揚州)가 나오는데 옛사람들은 번성했던 양저우를 자주 왕래한 모양이다.
 
 
황학루에서 광릉(廣陵, 양저우)으로 가는 맹호연을 전송하고 / 당 이백
黃鶴樓送孟浩然之廣陵 / 唐 李白
 
故人西辭黃鶴樓 오랜 벗님 내가 있는 황학루를 작별하고
煙花三月下揚州 봄도 무르익은 삼월에 양주로 내려가네.
孤帆遠影碧空盡 멀리 떠가는 돛배 푸른 허공으로 사라지고
唯見長江天際流 장강 물결만이 저편 하늘가에 흘러갈 뿐.
 
 
고인(故人)은 오래된 친구나 선배를 부를 때 쓰는 말이다. 이 시는 이백이 28세에 쓴 작품으로 많은 시인들이 이 시를 좋아해 우한의 황학루에 올라서 풍광을 바라본다. 지금은 새로 짓어 매우 높지만 당시에는 3층 누각으로 지어졌다. 양저우는 수나라 때 지은 이름이고, 그전에는 광릉이라고 불렀다. 시인들은 일부러 시 제목에 옛날 지명을 사용한다.
 
 
징항대운하 고말구(古末口) 유적(화이안시, 2006년 5월 25일 건립)
 
 
중국의 지형은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 서고동저 지형으로 모든 강들은 동쪽으로 흘러간다. 과거에는 동서를 오가는 뱃길이 아주 발달하여 수문제와 수양제는 동서와 남북 수로를 연결하려고 마음을 먹고 대운하(The Grand Canal)를 파기 시작해 항주에서 장안(西安)까지 연결하였다. 그 후 여러 왕조를 지나면서 계속 확장 수리하다가, 원나라 쿠빌라이 때 크게 확장공사를 하여 장안으로부터 대도(北京)까지 운하가 이어졌다. 수양제 때 시작된 대운하는 명나라 때까지 이용되다가 청나라에 들어 잦은 홍수와 관리 소홀로 물길이 막혀 부분적으로만 이용되었다. 징항대운하는 운송로로 경제와 문화 교통에 크게 이바지하였지만, 청대 중엽에 남북 간의 해운업이 발달하고 철도가 부설되어 점차적으로 역할이 축소된다. 또 황하의 수로 변화에 따라 산둥성 경내의 유량이 부족해져 수심이 얕아져 남북 통행에 영향을 큰 받았다.
 
대운하는 전 구간을 7단으로 구분한다.
 
제1단: 베이징 지역인 퉁현단(通縣段)
 
제2단: 통현에서 텐진에 이르는 베이윈허(北雲河)
 
제3단: 텐진에서 린칭(臨淸)에 이르는 난윈허(南運河)
 
제4단: 린칭에서 태얼쫭(台兒莊)에 이르는 루윈허(陆云河)
 
제5단: 태얼쫭에서 화이인(淮陰)에 이르는 쭝윈허(中運河)
 
제6단: 화이인에서 양저우(楊州)에 이르는 리윈허(里運河)
 
제7단: 양저우에서 항저우(杭州) 에 이르는 창난윈허(長南運河)
 
베이징 퉁현(通縣)의 역사는 오래되었다. 1151년 금나라 천덕(天德) 해릉왕(海陵王)은 징항대운하의 조운통제(海陵王取京杭大運河「漕運通濟」之意)의 뜻으로 자사(刺史)주를 설치하여 통주(通州)라 하였다가 1914년에 현으로 변경되어 퉁현이라고 하였고 지금은 通州區가 되었다.
 
1151年 金朝天德, 海陵王取京杭大運河「漕運通濟」之意,設刺史州, 稱通州。
 
1914年 改州為縣,稱通縣,隸屬京兆尹。
 
태얼쫭(台兒莊) 지역은 산둥성 짜오좡(조장시, 枣庄市, 棗莊市)시의 현급 행정구역으로 인구 30만 명이 살며, 중일전쟁에서 중국군이 일본군을 처음으로 이긴 장소로 유명하다.
 
이번 장보고 유적 답사 대원들은 징항대운하의 제5단과 제6단을 일부만 견학했다. 중국 징항대운하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는 고대 운하로 북으로는 베이징 퉁현에서 출발하여 남쪽 항저우에 이른다. 지나가는 도시는 베이징시, 톈진시(天津市), 창주(滄州), 덕주(德州), 림청, 료성(聊城), 제녕(濟寧), 태아장, 서주(徐州), 회음(淸江, 淮陰), 회안(淮安), 양저우, 진강(鎭江), 소주(蘇州), 항주 등 15개 성시와 허베이성(河北省), 산동성(山东省), 쟝수성(江苏省), 안휘성, 저쟝성(浙江省) 등 6개성을 지난다. 대운하는 중국 남북지역의 경제 문화의 발전과 교류에 큰 역할을 하였다. 특히 연안지역의 공업, 농업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물길은 제국의 내부 연락망으로 통신시스템의 중추를 형성하여 신속하게 곡물과 원료를 운송했다.
 
김성일 가이드는 양저우 시내를 통과하면서 “전용버스가 달리고 있는 도로는 과거에 징항대운하가 있던 곳으로 당나라 때 신라 배들과 아랍에서 온 배들이 물고기처럼 줄을 지어 지나갔다.”라고 설명해 주었다. 도로 옆에는 아파트 단지와 빌딩들이 끊임없이 건설되고 있었다.
 
중국 정부는 핑루운하(平陆运河, Pinglu Canal)를 오랜 시간 구상하다가 2022年 8月 28日 건설을 시작하여 2023년 5월 국무원의 승인을 받았다. 이 공사는 54개월 만인 2026년 12월 말에 완성하여 개통할 예정이다. 출발 기점은 광시좡족자치구 난닝시(南宁市) 헝저우시(횡주시,橫州市) 시진쿠구(西津库区) 핑탕강커우平塘江口)이며 종점은 친저우시(钦州市) 링산현(영산현, 灵山縣) 루옥진(陆屋镇)이다. 총 연장 길이는 134.2 km로, 분수령(分水岭) 월령 구간 약 6.5km만 굴착하고 나머지는 기존 수로를 사용하여 건설한다.
 
 
핑루운하(平陆运河, Pinglu Canal)(사진:CGTV촬영)
닝보시(宁波市) 대운하(大運河) # 과주고도 # 양저우 둥관고도 # 양저우 푸하딘 묘지
【문화】양저우 둥관고도(東關古渡) (중)
(게재일: 2023.08.26. (최종: 2023.11.03. 18:45))  궁인창의 독서여행
【작성】 궁 인창 (생활문화아카데미)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