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놀이터
::
조약(條約)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조약 (條約)
국가와 국가 또는 국제 기구 사이에 문서로 맺어지는 합의. 좁은 뜻으로는 조약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것에 한정되지만, 넓은 뜻으로는 협정, 협약, 의정서, 선언, 각서, 규약, 결정서 그 밖에 교환 공문 등이 포함된다.
지식
:
사회과학 > 정치.외교
국가와 국가 또는 국제 기구 사이에 문서로 맺어지는 합의. 좁은 뜻으로는 조약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것에 한정되지만, 넓은 뜻으로는
협정
,
협약
,
의정서
,
선언
,
각서
,
규약
,
결정서
그 밖에
교환 공문
등이 포함된다.
우리 나라의 헌법에는 조약과 국내법이 같은 효력을 가진다고 규정하였으며, 중요한 조약의 체결에 있어서는 반드시 국회의 동의를 얻도록 규정하고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조약
(條約)
각서
(覺書)
국제 조약
(國際條約)
의정서
(議定書)
국제법
(國際法)
(미정의)
결정서
(미정의)
교환공문
(미정의)
규약
(미정의)
선언
(미정의)
협약
(미정의)
협정
•
네르친스크 조약
•
위트레흐트 조약
•
난징 조약([南京]條約)
•
한성 조약(漢城條約)
•
을사늑약(乙巳勒約)
•
브뤼셀 조약
•
바르샤바 조약
•
한일기본조약
•
메르센 조약
•
미·일 수호 통상 조약
•
미·일 화친 조약
•
한·미 수호 통상 조약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제1차 한·일 협약
第一次韓日協約
국제법(근대이전)
윤치호 / 하야시 곤스케
(16)
제물포 조약
濟物浦條約
국제법(근대이전)
(3)
조·소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 조약
국제법
김일성, 흐루시초프
(1)
북·러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국제법
김정은, 블라디미르 푸틴
(1)
제2차 영·일 동맹
Anglo-Japanese Alliance
(0)
◈ 참조 원문/전문
한·미 수호 통상 조약
韓美修好通商條約
국제법(근대이전)
(76)
미·일 화친 조약
美日和親條約
국제법(근대이전)
(2)
미·일 수호 통상 조약
美日修好通商條約
국제법(근대이전)
(1)
한·영 수호 통상 조약
국제법(근대이전)
(1)
한·불 수호 조약
(0)
한·독 수호 통상 조약
韓獨修好通商條約
(0)
한·청 통상조약
韓淸通商條約
(0)
한·정 수호통상조약
韓丁修好通商條約
(0)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1882년
(4)
백과
김홍집
(4)
백과
1858년
(3)
백과
갑신정변
(3)
백과
미·일 화친 조약
(3)
백과
신헌
(3)
백과
에스파냐 왕위 계승 전쟁
(3)
백과
하야시 곤스케
(3)
백과
1854년
(2)
백과
1883년
(2)
백과
1905년
(2)
백과
870년
(2)
백과
강희제
(2)
백과
국제 관습법
(2)
백과
동프랑크 왕국
(2)
백과
리베몽 조약
(2)
백과
미·일 수호 통상 조약
(2)
백과
미국
(2)
백과
민영목
(2)
박제순
(2)
백과
서프랑크 왕국
(2)
백과
아편 전쟁
(2)
백과
이재극
(2)
백과
이홍장
(2)
백과
일본
(2)
백과
◈ 참조 키워드
일본
(3)
백과
북러관계
(2)
북한
(2)
백과
한일관계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
내메모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관련 의견 모두 보기
▫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
국제 조약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