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도자기의 한 형태. 조선 전기에는 분청 사기가 크게 유행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는 주로 백자가 많이 만들어졌다.
조선 백자는 순도 높은 백토(흰 흙)로 그릇 모양을 만든 다음 채색 재료로 무늬를 나타낸다. 채색 재료와 기법에 따라 청화 백자, 철사 백자, 진사 백자 등으로 분류되는데, 그 가운데서 청화 백자가 가장 흔하였다.
조선 시대에 품질이 좋은 백자를 만들어 내던 곳으로는 경기도의 광주, 경상 북도의 고령 및 상주를 꼽을 수 있으며, 그 가운데서 경기도 의 광주가 조선 시대 말기까지 자기 생산의 중심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