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3일 (토) (음 4월 6일, 壬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조선 백자 (朝鮮白瓷)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도자기의 한 형태. 조선 전기에는 분청 사기가 크게 유행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는 주로 백자가 많이 만들어졌다.
◈ 지식지도 관계
조선 백자 (朝鮮白瓷) 도자기 (陶瓷器) 백자 고려 청자 (高麗靑瓷) 보물 (寶物) 분청사기 (粉靑沙器) 옹기 (甕器) 청자 (靑瓷) 청화 백자 토기 (土器) 1945 국립 중앙 박물관 백자 달항아리 백자 박산 향로 백자 반합 백자 상감 모란 엽문 편병 백자 상감 모란문 매병 백자 상감 모란문병 백자 상감 연당 초문 대접 백자 주자 백자 진사 매국문병 백자 철화 매죽문 대호 백자 철화 승문병 백자 철화 포도무늬 항아리(포도문호) 백자 철회 운룡문호 백자 청화 매죽문병 백자 투조 모란문호 백자호 (白瓷壺)
 
◈ 최근등록순
2015.08.17
조선 백자 강연을 듣고
【문화】 국립 중앙 박물관에서 열린 조선의 백자란 주제로 전승창(아모레 퍼시픽 미술관장)이 강연자료를 포스팅합니다. 백자(白瓷)하면 그냥 하얀 도자기라 생각했는데 백자는 고려 때부터 시작됐다는유래부터 청자와 백자 차이, 백자의 안료와 시대 상황 등에 따라 이렇게 다양한 줄 몰랐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