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놀이터
::
을묘왜변(乙卯倭變)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을묘왜변 (乙卯倭變)
조선 명종 10년인 1555년에 왜구가 전라 남도 연안 지방에 침입한 사건. 1510년 삼포 왜란 이후 조선 정부가 왜인들의 왕래와 상품 거래를 엄격히 제한하자 이에 불만을 품은 왜구들이 일으킨 난이다.
사건
:
역사 > 한국사 > 사건
조선 명종 10년인
1555년
에 왜구가 전라 남도 연안 지방에 침입한 사건.
1510년
삼포 왜란
이후 조선 정부가 왜인들의 왕래와 상품 거래를 엄격히 제한하자 이에 불만을 품은 왜구들이 일으킨 난이다.
왜구들은 전라 남도의 달량성, 어란포, 장흥, 강진, 진도에 침입하여 갖은 만행을 다하였다. 왜구들이 조선군에게 쫓기어 돌아간 후 쓰시마 도주는 을묘왜변에 가담한 왜구들의 목을 베어 보내 사죄하였다.
전라도 도순찰사
이준경(李浚慶)
전라도 방어사
남치근(南致勤)
남정가(南征歌)
(
양사언(楊士彦)
) (1555년)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을묘왜변
(乙卯倭變)
1555
가사
(歌辭)
루터파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조선 전기 4대 서예가
1555년
1510년
16세기
(16世紀)
1510년대
1550년대
1550년
1551년
1552년
1553년
1554년
1556년
1557년
1558년
1559년
1511년
1512년
1513년
1514년
1515년
1516년
1517년
1518년
1519년
1509년
1499
이준경
(李浚慶)
1517
양사언
(楊士彦)
1520
남치근
(南致勤)
1445
이세좌
(李世佐)
1459
유순정
(柳順汀)
1467
박원종
(朴元宗)
1477
이수정
(李守貞)
1481
김안로
(金安老)
1482
조광조
(趙光祖)
1484
이연경
(李延慶)
1527
기대승
(奇大升)
1529
최흥원
(崔興源)
1531
양사기
(楊士奇)
1534
이덕열
(李德悅)
1536
이이
(李珥)
1542
류성룡
(柳成籠)
1555
남정가
(南征歌)
미인별곡
1510
삼포 왜란
(三浦倭亂)
1512
임신약조
1519
기묘사화
(己卯士禍)
1559
임꺽정의 난
•
정걸(丁傑)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남정가
南征歌
가사
양사언(楊士彦)
(11)
◈ 조회순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가사∙개화가사
2019.07.16
◈
남정가(南征歌)
【학습】
조선 중기의 양사준(楊士俊)이 지은 가사. 목판본. ≪남판윤유사 南判尹遺事≫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양사준의 형인 양사언(楊士彦)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이는 ≪남판윤유사≫의 편자가 이 작품을 양사언의 작품으로 오인한 데서 와전된 것이라고 본다.
0
|
가사
,
을묘왜변
,
남정가
,
1555년
,
양사준
◈ 최근등록순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가사∙개화가사
2019.07.16
◈
남정가(南征歌)
【학습】
조선 중기의 양사준(楊士俊)이 지은 가사. 목판본. ≪남판윤유사 南判尹遺事≫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양사준의 형인 양사언(楊士彦)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이는 ≪남판윤유사≫의 편자가 이 작품을 양사언의 작품으로 오인한 데서 와전된 것이라고 본다.
0
|
가사
,
을묘왜변
,
남정가
,
1555년
,
양사준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1555년
(3)
백과
가사
(3)
백과
1553년
(2)
백과
기대승
(2)
백과
기묘사화
(2)
백과
김안로
(2)
백과
양사언
(2)
백과
이연경
(2)
백과
이이
(2)
백과
조광조
(2)
백과
행주 대첩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
내메모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관련 의견 모두 보기
▫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