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숙향전(淑香傳)
•
오륜가(五倫歌)
•
겸재정선미술관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혜경궁 홍씨
•
서울 특별시
•
난중일기(亂中日記)
•
이순신(李舜臣)
•
날개(-)
•
만복사저포기
•
사서율곡언해
•
시경(詩經)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조용조(租庸調)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강원도(江原道)
•
상춘곡(賞春曲)
▣
을묘왜변 (乙卯倭變)
바로가기
조선 명종 10년인 1555년에 왜구가 전라 남도 연안 지방에 침입한 사건. 1510년 삼포 왜란 이후 조선 정부가 왜인들의 왕래와 상품 거래를 엄격히 제한하자 이에 불만을 품은 왜구들이 일으킨 난이다.
사건
:
역사 > 한국사 > 사건
조선 명종 10년인
1555년
에 왜구가 전라 남도 연안 지방에 침입한 사건.
1510년
삼포 왜란
이후 조선 정부가 왜인들의 왕래와 상품 거래를 엄격히 제한하자 이에 불만을 품은 왜구들이 일으킨 난이다.
왜구들은 전라 남도의 달량성, 어란포, 장흥, 강진, 진도에 침입하여 갖은 만행을 다하였다. 왜구들이 조선군에게 쫓기어 돌아간 후 쓰시마 도주는 을묘왜변에 가담한 왜구들의 목을 베어 보내 사죄하였다.
전라도 도순찰사
이준경(李浚慶)
전라도 방어사
남치근(南致勤)
남정가(南征歌)
(
양사언(楊士彦)
) (1555년)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을묘왜변
(乙卯倭變)
1555
가사
(歌辭)
루터파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조선 전기 4대 서예가
1555년
1510년
16세기
(16世紀)
1510년대
1550년대
1550년
1551년
1552년
1553년
1554년
1556년
1557년
1558년
1559년
1511년
1512년
1513년
1514년
1515년
1516년
1517년
1518년
1519년
1509년
1499
이준경
(李浚慶)
1517
양사언
(楊士彦)
1520
남치근
(南致勤)
1445
이세좌
(李世佐)
1459
유순정
(柳順汀)
1467
박원종
(朴元宗)
1477
이수정
(李守貞)
1481
김안로
(金安老)
1482
조광조
(趙光祖)
1484
이연경
(李延慶)
1527
기대승
(奇大升)
1529
최흥원
(崔興源)
1531
양사기
(楊士奇)
1534
이덕열
(李德悅)
1536
이이
(李珥)
1542
류성룡
(柳成籠)
1555
남정가
(南征歌)
미인별곡
1510
삼포 왜란
(三浦倭亂)
1512
임신약조
1519
기묘사화
(己卯士禍)
1559
임꺽정의 난
•
정걸(丁傑)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남정가
南征歌
가사
양사언(楊士彦)
(11)
◈ 최근등록순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가사∙개화가사
2019.07.16
◈
남정가(南征歌)
【학습】
조선 중기의 양사준(楊士俊)이 지은 가사. 목판본. ≪남판윤유사 南判尹遺事≫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양사준의 형인 양사언(楊士彦)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이는 ≪남판윤유사≫의 편자가 이 작품을 양사언의 작품으로 오인한 데서 와전된 것이라고 본다.
0
|
가사
,
을묘왜변
,
남정가
,
1555년
,
양사준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