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안창호(安昌浩)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안창호 (安昌浩)
[1878 ~ 1938] 교육자, 독립 운동가. 호는 도산(島山)이며 평남 강서 출생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2019년 4월의 독립운동가 안창호 선생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안창호(1878.11.9.~1938.3.10.) 선생을 2019년 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공훈관리과 - 이영자 (044-202-5771)】
국가 보훈처(國家報勳處) 독립 기념관(獨立記念館) 안창호(安昌浩) # 광복회
2019년 4월의 독립운동가 안창호 선생
-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을 주도하며 독립운동의 통합을 이끈 독립운동가 -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안창호(1878.11.9.~1938.3.10.) 선생을 2019년 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선생은 1878년 11월 9일 평안남도 강서군 초리면 칠리(江西郡 草里面 七里) 봉상도(鳳翔島, 일명 도롱섬)에서 태어났다. 1896년 18세 되던 해에 구세학당 보통부를 졸업하고 조교를 맡아 학생을 지도하였다.
 
○ 이후 독립협회에 가입한 선생은 귀향하여 독립협회 관서지부를 설립해 민권운동에 뛰어들었다. 이를 통해 사회와 민족에 대한 소명의식과 국민교육의 중요성을 깊게 자각할 수 있었다.
 
○ 1902년 결혼 직후 미국으로 건너간 선생은 리버사이드 일대의 한인지도자로 부상하였다. 1905년 4월에는 동지들과 함께 조국 광복을 목표로 삼는 미주 한인단체인 공립협회를 창립하였다.
 
○ 1907년 5월 공립협회 제3대 회장으로 선출된 선생은 언론활동과 교육진흥, 실업진흥 등 여러 가지 구국사업을 전개했다.
 
○ 이후 공립협회는 1909년에는 하와이 한인합성협회와, 1910년에는 대동보국회와 통합되어 1910년 5월 10일 미주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대한인국민회로 발전하였다. 같은 시기 선생은 조국 독립을 추구한 국내 비밀결사인 신민회 활동에도 참여하였다.
 
○ 1913년 5월 13일, 8도 대표를 선정해 민족을 지도해 나갈 수 있는 중견 인물을 배출하기 위한 동맹수련단체로서 흥사단이 출범하였다.
 
○ 선생의 주도로 조직된 흥사단은 무실역행.충의용감.건전인격.단결훈련.국민개업(國民皆業) 등을 목표로 독립운동을 위한 조직적 재정후원과 일꾼양성을 통한 민족독립의 사명 완수에 매진하였다.
 
○ 1919년 3·1운동 소식이 미국에 전달되자 3월 13일에 대한인국민회는 긴급위원회를 개최하였다.
 
○ 이때 선생은 ‘삼일운동을 계승하자’라는 연설을 통해 제1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민족자결주의의 공포, 그리고 파리평화회의 개최와 같은 외부적 요인보다 민족의 실력을 보여준 3.1운동이 훨씬 중대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선포하였다.
 
○ 3·1운동이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이라는 결실을 맺자 선생은 1919년 5월 25일에 상하이에 도착해 임시정부의 내무총장 겸 국무총리 서리로 취임하였다. 이후 임시정부의 체계를 갖추고 조직적으로 사업을 전개해 나갔다.
 
○ 정부에는 국민이 있어야 하므로 먼저 인구조사에 착수하였고 정부 운영에 소요되는 재정 확보를 위한 국채 발행을 비롯해 인두세 징수, 구국재정단 조직 등 여러 정책을 고민하였다.
 
○ 1932년 4월 29일에 윤봉길 의사가 일본인들의 천장절 행사장인 홍구공원에 폭탄을 투척하자, 같은 날 상해 이유필의 집을 방문했던 선생은 민단장으로 오인되어 일본 경찰에 의해 연행되었다.
 
○ 이후 국내로 압송되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대전감옥으로 이송되는 2년 6개월간의 옥고를 치른 끝에 1935년 2월 10일 가출옥하였다. 곧이어 일제는 국내의 민족운동 일체를 말살하기 위해 1937년 6월, ‘동우회사건’을 일으켰다.
 
○ 그로인해 선생을 비롯한 180여 명의 동우회 회원들은 종로경찰서로 넘겨져 135일간 집중조사를 받고 8월 15일 예심종결을 거쳐 ‘치안유지법 위반’ 판결을 받고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선생은 지병이 악화되어 병보석으로 출소되었다.
 
○ 병마를 이기지 못한 선생은 1938년 3월 10일, 0시 5분에 만 59년 4개월의 일기로 서거하였다.
 
○ 해방 후 1973년에 정부는 선생 탄신 95주년을 맞이하여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도산공원을 조성하고 망우리 공동묘지에 묻힌 선생의 유해와 그의 아내 이혜련의 유해를 이장하여 도산공원 묘지에 합장하였다.
 
○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첨부 :
190329_2019년 4월의 독립운동가 보도자료(안창호).hwp
 

 
※ 원문보기
국가 보훈처(國家報勳處) 독립 기념관(獨立記念館) 안창호(安昌浩) # 광복회
2019년 4월의 독립운동가 안창호 선생
(게재일: 2019.03.29. (최종: 2019.11.05. 18:31))  국가보훈처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