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시나리오(scenario)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시나리오 (scenario)
영화의 각본. 영화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로, 플롯(줄거리)에 따라 영화 장면의 순서와 배경, 배우의 대사와 동작 등을 적은 촬영 대본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36 (2 등급)
◈ 시나리오 용어 정리 (중부대학교)
• 가로세로비 (Aspect ratio) : 프레임의 가로 세로 비율.
• 고감도 필름 (Fast stock, fast film) : 빛에 매우 민감하고 입자가 굵은 필름.
• 고전영화 (Classical cinema) : 대략 1910년대 중반 그리피드로부터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제작된 대부분의 극영화를 지칭하는 용어.
시나리오(scenario) # 시나리오 용어
목   차
[숨기기]
시나리오 용어 정리
 
 
 

ᄀ)

 
• 가로세로비 (Aspect ratio) : 프레임의 가로 세로 비율.
 
• 고감도 필름 (Fast stock, fast film) : 빛에 매우 민감하고 입자가 굵은 필름. 기존 조명만을 사용해 촬영해야 하는 다큐멘터리 작품에서 종종 사용된다. 저감도 필름 참조.
 
• 고전영화 (Classical cinema) : 대략 1910년대 중반 그리피드로부터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제작된 대부분의 극영화를 지칭하는 용어. 고도의 기술적 완성도, 고전적 편집 관례를 중시하는 이 영화들은 스토리, 스타, 투자가치 등을 주로 따진다. 시각 스타일은 기능적이며 배우들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약화된다. 이런 종류의 영화들은 분명하게 설정된 갈등, 클라이맥스를 더욱 강화하는 복잡함, 의례적 종결 등 서술적으로 구조화된다.
 
• 고전적 편집 (Classical cutting, decoupage classique) : 일련의 쇼트가 장면의 물리적 행동에 의해서라기보다는 극적이고 감정적인 측면에 의해 결정되는, 그리피드에 의해 발전된 편집 스타일. 일련의 쇼트는 논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심리적 요소 속에서 사건의 해결을 묘사한다.
 
• 교차편집 (Cross cutting) : 두 장면의 쇼트들을 서로 바꿔가면서 편집하는 것. 상이한 곳에서 동시에 일어나고 있는 사건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 구축 쇼트 (Establishing shot) : 관객에게 다음에 나올 클로즈 쇼트의 의미 맥락을 제시하기 위한 쇼트이며, 일반적으로 한 장면의 도입부에 제시되는 익스트림 롱 쇼트나 롱 쇼트.
 
• 극소주의 (Minimalism) : 엄격과 절제로 특징되는 영화제작 형태로 모든 영화적 요소는 정보의 극소화로 축소된다.
 
• 극영화 (Feature, feature-length film) : 보통 한 시간 이상 2시간 이하로 상영되는 영화.
 
• 극적 대비 (Dominant contrast, dominant) : 확연한 시각상의 대비로 관객의 강력한 즉석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영화영상의 범주로, 때때로 극적 대비는 음향이 될 수도 있는데 이때 영상은 종속적 대비로 작용한다.
 
• 기호학 (Semiology, semiotics) : 기호(sign) 혹은 상징적 약호(code)를 의미표현의 최소단위로 연구하는 영화 소통이론. 구조주의 언어학의 방법론 및 이론에 영향을 받아 규범적이기보다는 설명적이며, 가치평가보다는 체계적 확인과 분류화 작업에 중점을 둔다.
 
• 개그 (Gag) : 때에 따라서 웃음을 터뜨리게 하는 대사나 동작.
 
• 개그․맨 (Gag-mam) : 개그만을 맡아서 하는 사람
 
• 갸르쏭느 (Garconne) : 불어로 남자다운 여자, 마그리뜨의 소설 '라 갸르쏭느' 에서 나온 말
 
• 그래머 (Grammar) : 원래의 뜻은 문법이지만 영화에서는 원칙적인 법칙을 뜻함
 
• 그로테스크 (Grotesque) : 황당하고 괴이한 것. 준말로 '그로'라고도 한다. '괴인 드라큐라' 같은 것은 그로영화이다.
 
 

 
 

ᄂ)

 
• 나레타이즈 (Naratage) : 나레이션과 몽타아즈를 합친 말. 설명체의 대사와 더불어 그 화면이 나타나게 되는 기법을 말함. 주로 과거의 회상장면에 사용된다.
 
• 나이브 (Naive) : 천진난만, 순정적인 것, 정서적인 작품의 여주인공이 나이브하면 효과를 거두는 수가 있음
 
• 나일리스틱 (Nihilistic) : 허무적인 것
 
• 내레이션 (Narration) : 화면 밖에서 들려오는 설명체의 대사.
 
• 내용 곡선 (Content curve) : 일반 관객이 한 쇼트내의 정보를 거의 이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 넌센스 코메디 (Nonsence Comedy) : 기상천외의 엉터리 희극을 말함.
 
• 네거티브 필름 (Nagative Film) : 음화 즉, 원판을 말함. 준말로 네거티브 혹은 네거라고 함. 양화는 포지.
 
• 네오 리얼리스모 (Neo Realismo ) : 이태리 영화에서 유행되는 신현실주의.
 
• 노멀 (Normal) : 정상 상태
 
• 누우망 (Nouement) : 불어로서 문학작품, 특히 소설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사건을 착잡하게 얽히게 하는것
 
• 뉘앙스 (Nuance) : 불어로서 화면에서 색, 음의 조화의 미, 감정 등의 미묘한 배합이라는 뜻. 즉 영화 전체의 특수한 묘미 등을 말함
 
 

 
 

ᄃ)

 
• 다다이즘 (Dadaism) : 제1차 세계대전 말기에 일어난 반항적이고 파괴적인 경향을 띈 예술운동.
 
• 다이얼로그 (Dialogue) : 대사. 대사 가운대는 대화, 독백, 방백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에서 대화 즉, 문답체인 대사만을 뜻함
 
• 다이얼로그 라이터 (Dialogue Writer) : 시나리오 가운데 대사만 전문으로 쓰는 사람. 다이얼로그 맨, 혹은 다이얼로기스트라고도 함.
 
• 달리 (Dolly) : 달리는 촬영하는 동안 카메라가 이동될 수 있는 트럭(Truck)이나 이동 플랫폼(platform)을 말한다. 트럭은 자주 달리와 혼용되어 쓰인다. 트럭 업(truck up)은 카메라를 연기가 행해지는 쪽으로 향해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트럭 백(truck back)은 카메라를 연기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더블 롤 (Double role) : 배우의 일인 이역. 한 장면에 있어서 한 사람이 동시에 두 사람의 역을 하는 것.
 
• 더블 익스포져 (Double Exposure) : 이중 노출. 하나의 화면에 다른 화면이 겹쳐져서 합성된 화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환상, 혹은 유령의 출현 등에 쓰임.
 
• 데까당 (Decadent) : 불어로서 퇴폐적이라는 뜻.
 
• 델리케이시 (Delicacy) : 섬세, 미묘
 
• 델리케이트 (Delicate) : 섬세한, 미묘한
 
• 도그머 (Dogma) : 독단
 
• 드누우망 (Denouement) : 불어로서 결말이라는 뜻. 문학 작품에서 여러 가지 사건이 얽혔다가 풀려지는것. 누우망에 대해서 생긴 것.
 
• 드라마 (Drama) : 극. 희곡. 큰 뜻으로는 극적인 것.
 
• 디렉터 (Director) : 연출자, 감독
 
• 딜레머 (Dilemma) : 진퇴양난. 궁지
 
• 디멘전 (Dimension) : 차원이란 뜻. 보통 영화는 2차원이나 입체화하면 3차원이 되므로 메가식 입체 영화는 3D라고 불리우고, 최근은 시네마스코우프, 기타 등의 확대영화의 유행으로 보통 영화를 2D라 부르기도 함.
 
• 디졸브 (Dissolve) : 약해서 Dis라고 씀. 오버랩과 같은 것이나 조금 약하다.
 
• 디테일 (Detail) : 자세한 부분.
 
• 디포메이션 (Deformation) : 사물을 변형하여 그리는 것.
 
 

 
 

ᄅ)

 
• 라스트 신 (Last Scene) : 영화에서의 맨 마지막 장면.
 
• 라이터 (Writer) : 작가. 영화에서는 작본가를 가리킴.
 
• 러프 (Rough) : 거친 것. 조잡한 작품을 러프한 작품이라고 함.
 
• 러쉬 프린트 (Rush Print) : 촬영 후 곧 현상하여 참고로 보는 필름. 약칭해서 러쉬라고도 함
 
• 레제 드라마 (Lese Drama) : 무대 상연을 목적으로하지 않고 읽기 위해서 쓴 희곡
 
• 레제 시나리오 (Lese Scenario) : 읽기 위한 시나리오. 시나리오의 형식을 빌린 새로운 문학 형식. 레제 드라마에서 온 말임.
 
• 레지스턴스 (Resistance) : 반항, 저항.
 
• 로맨틱 (Romantic) : 낭만적, 감미롭고 아름다움.
 
• 로드 쇼 (Road Show) : 원래는 순회 흥행이었으나 독점개봉 흥행의 뜻으로 쓰임
 
• 로컬 칼라 (Local Color) : 지방색. 그 지방의 독특한 전통을 나타낸 것.
 
• 로케이션 (Location) : 옥외촬영, 야외촬영.
 
• 롱 쇼트 (Long Shot) : 원경(렌즈로부터 먼 거리에서 촬영되는 것.)
 
• 리듬 (Rhythm) : 음율. 영화에 있어서는 화면과 화면의 연결에서 이루어지는 흐름
 
• 리리컬 (Lurical) : 서정적
 
• 리얼리즘 (Realism) : 사실주의 또는 현실주의
 
• 리액션 (Reaction) : 앞선 행동이나 대사에 대응하는 동작이나 대사를 일컫는다.
 
• 리플레이 (Refrain) : 후렴. 불어로는 러프랭. 영화에서 한번 있었던 장면을 다시 되풀이해서 정서를 자아내는 것.
 
• 릴리프 (Relief) : 관객의 기분을 환화 시키고자 꾀하는 휴식. 위기와 휴식은 서로 번갈아 행해져야 함.
 
 

 
 

ᄆ)

 
• 마니에르 (Manier) : 독어로서 모양, 모습. 문학에서는 타입의 뜻.
 
• 매너리즘 (Mannerism) : 언제나 똑같은 수법을 쓰는 것. 상투적이며 진부한 것.
 
• 메뉴스크립트 (Manuscript) : 기록대본. 약칭으로 스크립트
 
• 메인 타이틀 (Main Title) : 제명, 스탭, 배역 등을 기록한 자막.
 
• 메춰 (Metier) : 의미는 많으나 기술이라든지 기교라는 뜻으로 쓰일 때가 많음.
 
• 멜로 드라마 (Melodrama) : 통속적인 흥미를 중심으로 구성된 영화 혹은 극. 즉 극의 내용이나 테마보다도 스토리의 전개에 중심을 둔 것.
 
• 멜랑콜리 (Melancholy) : 약간 달콤한 우수.
 
• 모노 드라마 (Mono Drama) : 독극. 일인극.
 
• 모노 톤 (Monotone) : 단조.
 
• 모놀로그 (Monologue) : 독백, 혼잣말
 
• 모럴 (Moral) : 도의, 도덕, 윤리. 작품속에 흐르고 있는 작가의 사상.
 
• 모브 시인 (Mob Scene) : 군중장면. 연극에 비하여 영화의 독특한 장점이라 할 수 있다.
 
• 모티브 (Motive) : 동기, 기인.
 
• 몹신 (Mob Scene) : 군중이 나오는 장면으로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등장하는 장면이다
 
• 몽타쥬 (Montage) : 필름의 편집기술. 여러 가지 쇼트(재료)를 편합하여 의식적으로 하나의 영화적 시간과 영화적 공간을 조성하는 편집적 수법을 말함. 무대적 영화 불란서의 필름다루 등의 초기에 있어서 연극 무대를 그대로 스크린에 재현시킨 영화.
 
• 무드 (Mood) : 둘레의 기분이나 정서, 분위기.
 
• 무브먼트 (Movement) : 움직임.
 
• 무빙쇼트 (Moving Shot) : 이동촬영
 
• 뮤지컬 (Musical) : 음악영화
 
• 뮤직 (Music) : 효과 음악
 
• 미니어춰 (Miniature) : 특수촬영의 모형.
 
• 미디엄 쇼트 (Medium Shot) : 중근사, 칠분신. 미디엄 샷트는 중간 거리로부터 촬영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종종 상반신 위로부터의 스몰 그룹(small group)을 커버(cover)함.
 
• 미스터리 (Mystery) : 신비, 탐정소설의 총칭. 영화에서도 같은 종류로 쓰임.
 
 

 
 

ᄇ)

 
• 바스트 (Bust) : 상반신의 화면
 
• 바이 플레이어 (by-player) : 조연 배우. supporting player라고도 함.
 
• 반전 : 일이나 극의 형세가 뒤바뀌는 것을 말한다.
 
• 백그라운드 (Back-Ground) : 배경.
 
• 버즈 아이 뷰 (Bird's Eye View) : 조감 또는 부감(새가 하늘에서 내려다보듯이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것으로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본 풍경으로 보통 전경을 전부 보여주고 싶을 때 쓴다.)
 
• 복선 : 뒤에 일어날 일을 미리 슬쩍 준비해 두는 것
 
• 볼륨 (Volume) : 양. 양감. 가령 '에덴의 동쪽은 장면마다 극적 볼륨이 크다' 하는 식으로 쓰임.
 
• 뷰넨 드라마 (Buhnen Drama) : 독어로서 레제 드라마의 반대로 상연을 위해서 쓴 무대 효과가 많은 희곡.
 
• 붐 (Boom) : 호경기. 시세가 좋은 것.
 
• 블림프 (Blimp) : 블림프 혹은 가끔 방갈로(bungalow)로 불리는 용어는 방음 장치를 위해서 또 마이크에 카메라의 딸각거리는 소리가 흡수되지 않도록 카메라 주위를 둘러싸는 것을 말한다. 블림프는 카메라가 움직이는 어떠한 방향으로라도 즉 위로 아래로 옆으로 움직일 수 있는 복잡한 메커니즘(mechanism)으로 장치되어 있다.
 
 

 
 

ᄉ)

 
• 사니즘 (Sanism) : 생활의 목적을 정욕의 만족에다 두는 주의. 알츠이바세프의 소설 '사닌'에서 나온 말
 
• 사디즘 (Sadism) : 잔학한 것을 좋아하는 것
 
• 사운드 이펙트 (Sound Effect) : 음향효과.
 
• 사일런트 (Silent) : 무성영화
 
• 서브 타이틀 (Sub Title) : 설명 자막.
 
• 서스펜스 (Suspense) : 극적 위기감. 관객에게 불안감을 주면서 극을 진행시키는 시네마투르기 상으로 중요한 기술.
 
• 셔레이드 (Charade) : 몸짓으로 대사나 심리를 대변하는 것으로 행동이나 심리의 의미가 전달되는 것.
 
• 세미다큐멘터리 (Semi Documentary) : 반기록적인 극영화
 
• 세타이어 (Satire) : 풍자, 또는 풍자 문학
 
• 세트 (Set) : 스튜디오 안에서 세워진 영화를 위한 장치
 
• 섹스 어필 (Sex Appeal) : 성적 매력
 
• 센세이션 (Sensation) : 대평판. 대감동
 
• 센치멘탈 (Sentimental) : 감상. 준말로 센치라고도 하며 멜로드라마에서 뺄 수 없는 요소
 
• 소피스티케이션 (Sophistication) : 도회적인 모더니즘의 유희 감정을 주로 다룬 것. 영화로 서는 1924년 경부터 에른스트 루비치가 시작한 나나의 경향
 
• 쇼크 (Shock) : 충격
 
• 쇼트 (Shot) : 또는 컷이라고도 함. 카메라의 회전을 중단하지 않고 촬영한 일련의 필름화 면. 이것이 모여서 신(장면)이 됨.
 
• 슈라이 드라마 (Schrei Drama) : 독어로서 표현주의 희곡의 한 형식인데 부르짖음의 희곡이 다. 대사를 마치 부르짖듯이 하기 때문에 짧고 박력이 있어 매우 시나리오적이다.
 
• 슈르리얼리즘 (Surrealism) : 초현실주의
 
• 슈트 (Shoot) : 촬영하는 것.
 
• 슈팅 스크립트 (Shooting Script) : 슈팅 스크립트(촬영 대본)는 스크린 스토리의 준비에 있 어서 최종적인 프로세스이다. 이것은 전에는 시나리오나 콘티뉴이티라고 불렸다. 이것은 연 기, 촬영, 대사 그리고 음향 효과에 대한 충분한 지시가 있는 매우 기술적인 매 장면마다에 대한 촬영용 대본이다.
 
• 슈퍼 임포즈 (Super Impose) : 필름 위에 글자 같은 것을 인화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외국 영화 필름에 우리 글자를 대신 넣는 대사 자막을 말함.
 
• 스냅 (Snap) : 그 장면의 상황이나 인물을 즉석에서 촬영한 사진.
 
• 스릴 (Thrill) : 공포적인 쾌감으로 오싹해지는 것.
 
• 스릴러 (Thriller : 스릴을 주로 한 영화
 
• 스케일 (Scale) : 규모
 
• 스크린 프로세스 (Screen Process) : 특수한 투과 스크린에 배경이 되는 화면을 비추고 그 앞에서 배우가 연기하는 것을 촬영하여 실재의 배경에서 연기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특수기술의 촬영법.
 
• 스크린 플레이 (Screen Play) : 슈팅 스크립트의 형태를 사용한 스크린을 위한 오리지널 스 토리를 쓴 작가는 그것을 스크린 플레이로 간주한다. 스크린 플레이와 슈팅 스크립트와의 차이는 단지 후자가 스튜디오 내에서 어떠한 종류의 소재로부터라도 준비되어지는 것인데 비해 스크린 플레이는 스튜디오 밖에서 제출된 오리지널이며 기술적인 세부사항이 거의 포 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 스크립터 (Script) : 촬영 현장에서 촬영 사항을 자세히 기록하는 사람.
 
• 스크립트 (Script) : 촬영 대본
 
• 스탠드 인 (Stand-in) : 대역. 주로 말타는 신이나 곡예 신 등에 이 스탠드 인을 쓰는 경우가 많음
 
• 스탭 (Staff) : 제작진
 
• 스테이지 (Stage) : 무대. 촬영소에선 촬영설비가 있는 방을 말함
 
• 스토리 (Story) : 이야기. 줄거리.
 
• 스톱 모션 (Stop Motion) : 화면의 인물이나 물체가 순간적으로 없어졌다 나타났다 하는 트리크 촬영.
 
• 스트러글 (Struggle) : 쟁투, 갈등, 투쟁
 
• 스펙터클 (Spectacle) : 화려하고 대규모적인 장면.
 
• 스포큰 타이틀 (Spoken Title) : 회화 자막.
 
• 슬랩스틱 코메디 (Slapstic Comedy) : 엎치락뒤치락하는 활희극. 줄여서 슬랩스틱이라고도 함.
 
• 슬로모션 (Slow Motion) : 꿈이나 회상, 운동선수의 동작 등을 차별화 하여 다룰 때 쓰이며 고속도 촬영에 의해 화면의 움직임이 느리게 표현되는 것이다.
 
• 시놉시스 (Synopsis) : 간단히 쓴 스토리(시놉시스는 플롯, 모티브 그리고 스토리의 중요한 인물들의 대략적인 윤곽이다. 감독과 프로듀서들에게 스토리에 대한 재빠른 정보를 주기 위하여 Reading Department에 의해 만들어지는 책이나 희곡의 요약이 시놉시스라고 불린다.)
 
• 시리즈 (Series) : 연속영화, 또는 연작영화. 이것은 작품을 구성하는 중요한 스탭 및 주역이 변경되지 않는 것이 특징.
 
• 시스템 (System) : 조직, 제도
 
• 시츄에이션 (Situation) : 극적 사건이 생기는 경우. 극적 국면.
 
• 시나리오 헌팅 (Scenario Hunting) : 시나리오를 쓰기 위하여 배경이 되는 곳을 가보는 것.
 
• 시네마 (Cinema) : 영화. 키네마(kinema)와 같음.
 
• 시네마투르기 (Cinematurgie) : 시나리오 작법. 드라마투르기에 대해서 만들어진 말.
 
• 시니아스트 (Cineaste) : 영화인. 또는 팬의 의미로도 쓰임.
 
• 시퀀스 (Sepuence) : 스토리 중에서 갖추어진 한 대목. 국면.(액션이 연속적으로 된 스크린 플레이(Screen Play)의 한 부분을 시퀀스라고 한다. 한 시퀀스 안에서 시간과 장소는 변할 수 있지만 액션은 하나의 극적인 에피소드로 이루어진다. 연극에서의 액트(act: 장)에 해당하는 것이 스크린 스토리에서 시퀀스이다.)
 
• 신 (Scene) : 모든 평범한 스토리는 대략 150개의 신들로 이루어지는 연기나 한 장소에 일어나는 연기는 신이라고 불리는 영화의 섹션(section: 부분)을 구성.
 
• 신 넘버 (Scene Number) : 시나리오의 장면에 붙이는 번호. '#'로 나타냄.
 
• 싱크로나이제이션 (Syncronization) : 화면과 음성을 동시에 녹음하는 것. 동시 녹음
 
• 실루엣 (Silhouette) : 그림자같이 표현되는 모습.
 
• 심볼 (Symbol) : 상징.
 
• 심플 (Simple) : 간소한, 간단한.
 
 

 
 

ᄋ)

 
• 아답테이션 (Adaptation) : 윤색, 또는 각색이라는 뜻.(일반적으로 단편 소설, 장편 소설 혹은 희곡을 영화라는 매개체로 바꾸는 원고에 적용.)
 
• 아방가르드 (Aban Garde) : 불어로서 전위파라는 뜻. 1920년대의 중엽 불란서를 중심으로 번성한 새로운 감각의 예술 운동.
 
• 아방츄르 (Avanture) : 불어로서 사랑의 모험이라는 뜻. 영어로는 어드벤쳐.
 
• 아웃 싱크로나이제이션 (Out of Synchronization) : 화면과 음의 상대적 위치가 어긋나는 것. 즉 그림과 소리가 맞지 않는 것.
 
• 아이디어 (Idea) : 착상. 테마속에 품어 있는 문제를 말함.
 
• 아이러니 (Irony) : 반어, 비꼬아 표현하는 것.
 
• 아이리스 인 (Iris In) : 간략하게 I. I라고 씀. 화면 중의 임의의 한 점을 중심으로해서 원형으로 확대해 가며 화면을 나타내는 기법. 반대말은 아이리스 아웃 이다.
 
• 아카데미 상 : 미국에서 매년 3월 하순에 시상되는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 주최로 영화 작품과 감독, 배우, 기술관계 각 분야에 걸친 상.
 
• 앱스트랙트 (Abstract) : 추상예술. 영화에서는 반대로 사용되어 위와 아래가 희미한 화면같은 것을 말함.
 
• 안타고니스트 (Antagonist) : 프로타고니스트의 반대로 시나리오상에서는 이런 인물이나 사건이 주인공을 더욱 부각시켜주는 요소가 된다.
 
• 안티테제 (Antithese) : 주제에 따른 반대나 대립되는 의견 혹은 이론이다.
 
• 애트모스피어 (Atmosphere) : 분위기. 슬쩍 지나가는 인물을 말할 때도 있음.
 
• 애프터 리코딩 (After Recording) : 동시 녹음이 아니고 촬영 후에 녹음을 따로 하는 것. 준말로는 아프리코.
 
• 앙각 : 부감의 반대로 카메라를 아래서 위로 향해 촬영하는 기법이다.
 
• 앙상블 (Ensemble) : 불어로서 종합하여 하나로 된 것. 전체적 효과. 합주, 군무. 연극 연출의 가장 중요한요소.
 
• 애브노멀 (Abnormal) : 이상, 노멀의 반대.
 
• 에드립 (Ad Lib) : 대본에 없는 대사 등을 임기응변으로 하는 것.
 
• 엑션 (Action) : 동작. 연기자의 연기, 몸짓.
 
• 엑팅 (Acting) : 연기
 
• 앵글 (Angle) : 카메라의 각도
 
• 어레인지 (Arrange) : 소설이나 희곡 혹은 자기 착상 등을 대강 영화적으로 매만져서 정리해 보는 때에 이 말을 사용함. 처음부터 대충 취사 선택해서 보는 경우.
 
• 어필 (Appeal) : 호소
 
• 에그자틱 (Exotic) : 이국 정서적인 것.
 
• 에끄랑 (Ecran) : 불어로서 영사막, 영어로는 스크린.
 
• 에디터 (Editor) : 편집자. 영화에서는 필름을 자르고 잇고 해서 일관된 내용으로 편집하는 사람.
 
• 에로틱 (Erotic) : 호색적. 준말로 에로라고도하며, 현대 영화를 휩쓴 한 요소임. 그로테스크와의 합성어로 에로그로라는 말도 있음.
 
• 에스프리 (Esprit) : 정신, 재지.
 
• 이펙트 (Effect) : 효과. 주로 화면 밖에서의 음향이나 대사에 의한 효과를 말함. 간략하게 E라고 씀.
 
• 에폭 메이킹 (Epoch Making) : 획기적인, 호화롭고 웅장한 영화의 선전 문구에 쓰임. 혹은 획기적인 작품.
 
• 에필로그 (Epilogue) : 끝부분, 종막.
 
• 에피소드 (Episode) : 삽화, 시퀀스 가운데의 단편적인 스토리를 말함.
 
• 엑스터시 (Ecstasy) : 황홀경. 영화에서는 이런 환희의 상태가 있어야 한다.
 
• 엑스티리어 (Exterior) : 야외 장면.
 
• 엑스티리어 슈트 (Exterior Shoot) : 옥외 촬영.
 
• 엑스트라 (Extra) : 군중 장면 같은 데서 많은 인물을 필요로 할 때의 출연자들.
 
• 엔드 (End) : 영화 전편의 끝.
 
• 엔드 마크 (End Mark) : 끝이라는 기호.
 
• 엔딩 (Ending) : 결말. 극적 전개의 최후의 부분.
 
• 엔지 (N.G) : No Good의 약자로 촬영 때 못 쓰게 된 필름.
 
• 일로큐션 (Elocution) : 대사나 낭독하는 말의 억양. 발성법.
 
• 역회전 : 물속에서 튕겨 나오고 높은 담에 뛰어 오르는 것 같은 트릭 촬영의 기법. 즉 찍은 필름을 거꾸로 돌리는 것.
 
• 어쏘리티 (Authority) : 권위. 대가. 당국.
 
• 오리지널 (Original) : 창작. 그 영화 때문에 특별히 쓴 원작이나 각본.
 
• 오리지널리티 (Originality) : 작품을 창작하는 데 있어서의 독창성.
 
• 오리지널 시나리오 (Original Scenario) : 창작 시나리오. 딴 작품에서 원작을 빌리지 않고 쓴 독창적인 시나리오.
 
• 오버랩 (Overlap) : 간략하게 O. L이라고 씀. 한 화면의 끝과 다음 화면의 처음을 부드럽게 포개는 기법. 더블이라고도 함.
 
• 오스카 (Oscar) : 아카데미 수상자에게 주어지는 상품의 상.
 
• 오프 스테이지 (Off Stage) : 주로 화면 밖의 음향 효과를 말함.
 
• 오프 신 (Off Scene) : 화면 밖이라는 뜻. 가령 A가 말을 할 때에 카메라는 A를 촬영하지 않고, 그 말을 듣고 있는 B를 촬영하면서, A의 음성은 화면 밖에서 들릴 때, 이를 오프신이라 함.
 
• 올 스타 캐스트 (All Star Cast) : 일류 스타가 여럿 출연하는 것. 옴니버스 합승차라는 원래 의미에서 전화하여 한 작가의 또는 여러 작가의 여러 가지 작품을 모은 영화를 말함.
 
• 옴니버스 (Omnibus) : 독립된 여러 작품을 한 제목아래 모은 것을 뜻함.
 
• 옵티미즘 (Optimism) : 낙천주의. 주로 미국 영화의 특징이다.
 
• 와이드 스크린 (Wide Screen) : 확대 화면. 시네마 스코프, 시네라마 같은 것.
 
• 와이프 (Wipe) : 한 화면이 닦아 내는 것처럼 조금씩 없어지며 다른 화면으로 바뀌는 것. 와이프 아웃(Wipe Out=W.O.)이라고 한다. O.L.과 함께 생략의 기법으로도 쓰인다.
 
• 와이프 아웃 (Wife Out) : 간단하게 W. O라고 씀. 와이프와 같은 뜻.
 
• 위트 (Wit) : 기지. 재치있는 것.
 
• 유니크 (Unipue) : 독자적인, 독특한.
 
• 유머 (Humour) : 익살, 우스운 것.
 
• 이미지 (Image) : 영상, 마음에 떠오르는 모습.
 
• 이지 고잉 (Easy Going) : 쉽게 해치우는 것.
 
• 이트 (It) : 미국의 여류작가 에리노어 그린이 발명한 성적 매력을 뜻하는 말. 영화로서도 크게 히트했다.
 
• 인서트 (Insert) : 삽입화면, 일련의 화면 사이에 신문이라든지 편지같은 화면이 끼는 것.
 
• 인테리어 (Interior) : 실내장면.
 
• 인테리어 슈트 (Interior Shoot) : 옥내 촬영
 
• 인트로덕션 (Ineroduction) : 극의 도입부. 음악에선 전주곡. 극의 발단.
 
• 일루젼 (Illusion) : 착각. 환각. 착각은 문학과 영화에서 많이 쓰이고 또한 효과적인 소재임.
 
 

 
 

ᄌ)

 
• 장르 (Genre) : 불어로서 부분, 종류, 부류의 뜻.
 
• 제너레이션 (Generation) : 세대.
 
• 줌잉 (Zooming) : 줌 렌즈를 사용하여 원경에서 근경으로 또는 근경에서 원경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는 촬영 조작.
 
 

 
 

ᄎ)

 
• 차이트 가이스트 (Zeit Geist) : 독어로서 시대정신.
 
• 책읽기 : 시나리오가 완성되어 촬영이 시작되기 전에 관계자 일동이 한 곳에 모여서 시나리오를 읽어가며 상의하는 것을 말함.
 
• 치즈 케이크 (Cheese Cake) : 여배우의 곡선미를 보이는 사진. 남배우의 남성미를 비프 케이크라고 함.
 
 

 
 

ᄏ)

 
• 카메라 앵글 (Camera Angle) : 촬영하는 각도.
 
• 카메라 워크 (Camera Work) : 촬영기의 움직임. 촬영 기술.
 
• 카메라 페이스 (Camera Face) : 촬영되어 영사된 때의 얼굴. 스크린 페이스라고도 함. 영화배우는 실재 얼굴보다도 이 얼굴이 좋아야 한다.
 
• 카메라 포지션 (Camera Position) : 촬영기의 위치
 
• 캐릭터 (Character) : 도덕적, 윤리적 측면에서의 개인의 성질을 표현할 때 쓰이지만 시나리오 상에서는 독특한 성격이나 개성, 기질 등을 지닌 인물을 표현할 때 쓴다.
 
• 캐릭터라이제이션 (Characterization) : 성격묘사. 배우가 자신이 맡은 배역의 인물을 그려내는 것.
 
• 캐스트 (Cast) : 배역.
 
• 캐스팅 디렉터 (Casting Director) : 연기 지도자.
 
• 카테스트로피 (Catastrophe) : 끝판. 파국. 비극적인 결말.
 
• 커터 (Cutter) : 필름의 편집자.
 
• 커트 (Cut) : 촬영된 필름의 단편.
 
• 커트 넘버 (Cut Number) : 화면의 번호.
 
• 커트 백 (Cut Back) : 장면 전환의 기법. 극의 진행중에 공간적으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사건이나 동작을 대조적으로 번갈아 나타내면서 그 상극으로 고조시키는 기법.
 
• 커트 인 (Cut In) : 일련된 화면을 활력있게 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짧막한 화면. 커트 백의 기법은 시나리오 작법상 중요한 것이지만 커트 인은 주로 연출상의 기술이다.
 
• 커팅 (Cutting) : 편집하는 것.
 
• 캐리커쳐 (Caricature) : 희화. 풍자화.
 
• 코메디 (Comedy) : 희곡
 
• 코메디 릴리프 (Comedy Relief) : 릴리프에 희극적인 시츄에이션을 넣는 것.
 
• 코믹 (Comic) : 익살맞은.
 
• 코스튬 플레이 (Costume Play) : 의상의 화려한 것을 내세우는 극. 주로 사극에 많음.
 
• 컨스트럭션 (Construction) : 구성.
 
• 콘트레스트 (Contrast) : 대조.
 
• 콘트라푼크트 (Kontrapunkt) : 대위법. 영상과 음성을 대위법적으로 맞추는 것.
 
• 콘티뉴어티 (Continuity) : 감독이 연출하기 위한 촬영 대본 또는, 다른 화면이 연속되어가는 상태도 뜻함. 준말로 콘티라고도 함.
 
• 컨플릭트 (Conflict) : 갈등.
 
• 컴퍼지션 (Composition) : 구도
 
• 퀵 모우션 (Quick Motion) : 카메라의 촬영 속도를 느리게 하면 화면의 효과는 반대로 모든 움직임이 대단히 빠르게 되므로 소극의 경우에 곧잘 이용한다.
 
• 크라이시스 (Crisis) : 극적 위기. 극의 진행 중에 관객으로 하여금 긴장케 하는 것.
 
• 크랭크 (Crank) : 촬영기, 영사기를 회전하는 핸들의 뜻. 오늘날에는 영화 촬영을 뜻함.
 
• 크랭크 업 (Crank Up) : 촬영 완료를 말함.
 
• 크랭크 인 (Crank In) : 촬영 시작을 말함.
 
• 크레인 쇼트 (Crane Shot) : 크레인을 써서 촬영한 쇼트.
 
• 클라이맥스 (Climax) : 극이 최고조에 달한 것. 발단, 전개, 갈등, 위기를 거쳐서 극이 정점에 이른 것을 말한다.
 
• 클래식 (Classic) : 고전
 
• 클로즈 쇼트 (Close Shot) : 조절 거리
 
• 클로즈 업 (Close up) : 간략하게 C. U라고 씀. 대사 또는 접사. 일부분을 크게 찍은 것. 사람인 경우, 얼굴만 크게 찍는 것. 눈이나 코, 입 같은 일부분만 크게 화면을 채우는 것은 베리 클로즈 업이라고 함. 준말로는 업.
 
• 키노드라마 (Kinodrama) : 연극과 영화를 연결시킨 영화. 영화 '인생 역마차'의 원작 '환상의 거리'는 키노 드라마이다.
 
 

 
 

ᄐ)

 
• 타이밍 (Timing) : 시간적으로 장단을 맞추는 것.
 
• 타이틀 (Title) : 자막.
 
• 타이틀 백 (Title Back) : 자막의 배경이 되는 그림이나 장면.
 
• 터치 (Touch) : 감촉, 필법.
 
• 테마 (Theme) : 주제. 작가가 작품을 통해 호소하려는 주장.
 
• 테크니 칼라 (Technicolor) : 천연색 필름. 테크니 칼라사가 발견한 색소전염식의 색채 영화 제작 방법.
 
• 테크닉 (Technic) : 수법, 기법.
 
• 텍스트 (Text) : 원문의 대본 또는 각본.
 
• 텍스트 레지 (Text Regie) : 상연에 앞서 각본을 고치는 것.
 
• 템포 (Tempo) : 속도감. 시나리오의 템포는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어떤 때는 빠르게, 어떤 때는 느리게 해야 한다.
 
• 토운 (Tone) : 음색, 음조, 색조.
 
• 톱 타이틀 (Top Title) : 영화의 맨 처음에 나오는 제명.
 
• 투우 쇼트 (T재 Shot) : 한 화면에 두 사람이 들어가는 것.
 
• 트래블로그 (Travelogue) : 관광영화
 
• 트래저디 (Tragedy) : 비극.
 
• 트랙 백 (Track Back) : 간략하게 T. B라고 씀. 피사체에서 후퇴하며 촬영하는 것.
 
• 트랙 업 (Track Up) : 간략하게 T. U라고 씀. 피사체를 향해서 전진하며 촬영하는 것.
 
• 트리트먼트 (Treatment) : 장편 시나리오의 경우 시나리오 본편을 쓰기 전에 구체적인 줄거 리를 쓰게 되는데 이를 말하며 A4용지 15에서 20매 정도로 길게 쓴다.
 
• 트릭 (Trick) : 영화에서 거짓을 정말로 보이게 하는 기술. 속임수.
 
• 티어 죠커 (Tear Jorker) : 눈물을 짜는 영화. 우리 나라의 '신파'와 같은 것.
 
• 틴에이저 (Teenager) : 십대의 소년, 소녀.
 
• 티피컬 (Typical) : 전형적, 대표적.
 
 

 
 

ᄑ)

 
• 파노라마 쇼트 (Panorama Shot) : 카메라를 고정해 놓고 사람이 한군데에 서서 목만을 돌리는 것 같이 방향만 바꾸어 촬영하는 기법.
 
• 파노라믹 포토그래피 (Panoramic Photography) : 촬영기를 수평으로 선회하면서 선회하는 것.
 
• 파스 (Farce) : 소극.
 
• 판 (Pan) : 파노라마 쇼트의 속칭. 카메라를 고정해 놓고 상하 죄우로 회전하며 촬영하는 기법.
 
• 판 다운 (Pan Down) : 카메라만 아래로 움직여 촬영하는 것.
 
• 판 업 (Pan Up) : 기대는 고정시키고 카메라만 위로 움직여 촬영하는 것.
 
• 판타스틱 (Pantastic) : 환상적, 몽환적.
 
• 패러독스 (Paradox) : 역설.
 
• 판토마임 (Pantomime) : 무언극, 묵극.
 
• 퍼스펙티브 (Perspective) : 원근화법, 원근의 관망이 확연한 느낌.
 
• 퍼스트 신 (First Scene) : 첫 장면.
 
• 페리페티아 (Peripetia) : 연극에서 극적 경우나 운명이 격변하는 것.
 
• 페이도스 (Pathos) : 애수.
 
• 페이드 아웃 (Fade Out) : 간략하게 F.O 라고 씀. 용암. 화면이 차츰 어두워져서 사라지는 것.
 
• 페이드 인 (Faid In) : 간략하게 F.I 라고 씀. 용명. 화면이 차츰 밝아져서 나타나는 것.
 
• 페전트 (Pageant) : 야외극.
 
• 포토제닉 (Photogenic) : 영화미적인.
 
• 파퓰러 (Popular) : 일반적으로 인기 있는, 대중성 있는, 유행성이 있는 것.
 
• 팔로우 (Follow) :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하여 가는 촬영.
 
• 폴 쇼트 (Full Shot) : 전경 촬영.
 
• 풀 신 (Full Scene) : 전경.(전체의 장면을 화면 위에 다 나타냄.)
 
• 퓨리타니즘 (Puritanism) : 청교도적인 사조.
 
• 퓨전 (Fusion) : 원자핵의 용해나 융해 일컬을 때 연합, 합동, 제휴 등의 뜻하며 영화상에서는 장르의 혼합을 말한다.
 
• 프리미어 쇼 (Premier Show) : 특작 영화의 일반 공개에 앞서 유지, 인사 및 문화인들을 상대로 선전의 의미로서 개최하는 무료 혹은 유료의 특별 시사회.
 
• 프레스 에이전트 (Press Agent) : 영화 선전에 있어서 신문, 잡지 관계의 섭외계.
 
• 프레임 (Frame) : 필름의 한 토막. 필름의 테두리, 화면의 테두리.
 
• 프레임 아웃 (Frame Out) : 화면 밖으로 사라지는 것.
 
• 프로덕션 (Production) : 제작된 작품, 제작소.
 
• 프로듀서 (Producer) : 제작가 혹은 기획.
 
• 프로타고니스트 (Protagonist) : 주역, 주창자 등을 말하며 시나리오상에서는 흔히 주인공을 가리킨다
 
• 프롤로그 (Prologue) : 서막, 에플로그에 대한 말.
 
• 프리 레코딩 (Pre-recording) : 촬영하기 전에 녹음하는 것. 음악 영화, 무용 영화에 이 방법이 많이 쓰임. 줄여서 프리리코라고 함.
 
• 프리뷰 (Preview) : 시사회.
 
• 프리랜서 (Free Lancer) : 자유 계약자. 전속되지 않고 수시로 계약하는 배우, 감독, 시나리오 라이터, 카메라맨, 미술가 등. 플래쉬 백(Flash Back) '커트 백'보다 더 짧은 것. 커트 백이 독립된 내용을 가진 화면과 화면과의 대조임에 대해서, 플래쉬 백은 순간적인 짧은 화면과 화면을 이어서 하나의 뜻을 가지게 하려는 것으로서 격렬한 심리의 움직임을 표현하려는 경우에 흔히 쓰임.
 
• 플롯 (Plot) : 짜임새. 이야기의 옮겨가는 것을 구체적으로 짠 것.
 
• 피날레 (Finale) : 이태리어로는 피날리. 최후의 막, 최종 악장을 뜻함.
 
• 픽션 (Fiction) : 허구, 꾸며낸 이야기.
 
 

 
 

ᄒ)

 
• 하이 키 톤 (High Key Tone) : 대단히 밝은 장면의 촬영. 반대로 로우 키 톤이 있다.
 
• 해피 앤드 (Happy End) : 행복한 결말.
 
• 헤로인 (Heroine) : 여주인공.
 
• 헤비 (Heroine) : 악역.
 
• 호러 (Horror) : 오싹하게 하는 괴기 영화. 공표 영화. 스릴러와 구별하여 초자연적인 존재가 주체가 되고 있는 것을 말함. 괴인 드라큐라 같은 영화.
 
• 휴머니즘 (Humanism) : 인간성을 존중하는 사조. 인도주의, 인본주의, 인간주의.
 
• 히로우 (Hero) : 영웅의 뜻이나 영화에서는 남주인공을 말함.
 
• 히맨 (Heman) : 극히 남성적인 남자 배우.
 
• 히트 (Hit) : 흥행적으로 성공한 것을 말함.
시나리오(scenario) # 시나리오 용어
【문화】시나리오 용어 정리 (중부대학교)
(게재일: 2024.03.03. (최종: 2024.03.03. 15:19))  좋은 정보 수집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