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박은식(朴殷植)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박은식 (朴殷植)
[1859 ~ 1926] 학자, 언론인, 독립 운동가. 호는 백암(白巖), 겸곡(謙谷) 또는 태백광노(太白狂奴)이고, 황해도 황주에서 태어났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1 (5 등급)
◈ 2019년 11월의 독립운동가 박은식 선생 선정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박은식(1859.9.30 ~ 1925.11.1) 선생‘을 ’2019년 1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공훈관리과 - 이영자 (044-202-5780)】
국가 보훈처(國家報勳處) 박은식(朴殷植)
‘국어와 국사가 살아 있으면, 나라도 망하지 않는다!’
- 2019년 11월의 독립운동가 박은식 선생 -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박은식(1859.9.30 ~ 1925.11.1) 선생‘을 ’2019년 1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선생은 1859년 9월 30일 황해도 황주군 남면에서 태어나, 1898년 독립협회의 만민공동회에서 문교 분야의 간부로 활동하였으며, 독립협회가 강제해산당한 후에 경학원의 강사, 한성사범학교의 교사 및 서북협성학교와 오성학교 교장을 맡아 교육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 또한,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주필로 활동하면서 많은 논설을 쓰면서 국권회복과 애국계몽운동을 벌여 나갔다.
 
○ 선생은 일제의 무단탄압으로 1911년 중국 만주로 망명하여 국혼을 발흥시킬 역사서의 저술에 진력하였다. 1912년에는 상해에서 독립운동단체인 동제사(同濟社)를 조직하여 중국의 국민혁명 세력과 연대를 모색하였고, 박달학원(博達學院)을 설립하여 민족교육을 실시하는 등 한국 독립운동의 기반 조성에 주력하였다.
 
○ 1915년에 '한국통사(韓國痛史)'를 간행하였는데, 이를 통해 대외적으로는 일본제국주의 침략의 잔학성과 간교성을 폭로규탄하고, 대내적으로 민족적 통분과 적개심을 유발하면서 동포들의 각성과 반성을 촉구하였다.
 
○ 또한, 북경에서 조직된 독립운동 단체인 신한혁명당의 결성에 참여하였다.
 
○ 노령의 블라디보스톡에서 1919년 3.1운동을 맞이한 선생은 육순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대한국민노인동맹단을 조직하여 국내외 거족적인 독립운동에 호응하여,
 
○ 그해 상해의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노령의 대한국민의회정부, 그리고 서울의 한성임시정부의 통일을 추진하여 통합 임시정부가 발족하는데 기여하였다.
 
○ 특히, 1920년에 '한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를 간행하였는데, 이는 1884년 갑신정변부터 1920년 독립군의 항일무장 투쟁까지의 일제침략에 대한 한국민족의 독립투쟁사를 3.1운동을 중심으로 기술하여 민족적 자부심과 독립투쟁정신을 크게 고취하였다.
 
○ 1925년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그 해 8월 만주 독립군 단체인 정의부의 지도자 이상룡을 국무령으로 추천하고 스스로 대통령직을 사임하였다.
 
○ 1925년 11월 1일, 동포들에게 독립 쟁취를 위해 반드시 단결하라는 말을 남기고 66세를 일기로 상해에서 서거하였으며, 1993년 8월 유해가 고국으로 봉환,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첨부 :
191031 보도자료(11월의 독립운동가, 박은식).hwp
 

 
※ 원문보기
국가 보훈처(國家報勳處) 박은식(朴殷植)
【문화】2019년 11월의 독립운동가 박은식 선생 선정
(게재일: 2019.10.31. (최종: 2019.11.05. 18:31))  국가보훈처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