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동학 농민 운동 (東學農民運動)
1894년(고종 31) 전라도 고부군에서 동학 교도와 농민들이 함께 일으킨 대규모의 농민 혁명 운동. 그러나 단순한 농민 운동이라기보다는 정치 개혁의 성격이 강한 민중 봉기로 평가되고 있다. 다른 말로는 '갑오 농민 운동' 또는 '갑오 농민 전쟁'이라고도 한다.
◈ 연표
혁명주요연표 (출처 : 정읍시 BRAND)
목   차
[숨기기]
 

1. 동학의 창도와 탄압

• 1860. 최제우, 동학 창도
• 1864. 최제우, 좌도난정의 죄목으로 대구에서 처형당함.
• 1864 ~ 1982 동학의 탄압에 맞서 교단 재정비와 교세 확장
 
 

2. 교조신원운동기

• 1892. 10. 공주집회
• 1892. 11. 삼례집회
• 1893. 02. 광화문복합상소, 척왜양운동 / 전국 각지에서 농민봉기 빈발
• 1893. 03. 보은집회, 금구 원평집회 / 척왜양운동
 
 

3. 사발통문거사계획 결의

• 1893. 11.15 고부농민, 군수 조병갑에게 수세감면 호소
• 1893. 11. 사발통문거사계획 결의(전봉준 등 20명)
• 1893. 11.30 고부군수 조병갑, 익산군수 발령
• 1893. 12. 고부농민, 전라감영에 등소
 
 

4. 고부봉기와 동학농민혁명

• 1894. 01. 08 고부 농민과 동학교도, 예동마을 걸굿을 시작으로 말목장터 집결
• 1894. 01. 09 전라감사 김문현의 유임 요청으로 조병갑, 고부군수로 다시 잉임(재임명)
• 1894. 01. 10 전봉준과 고부 동학농민군 1천여 명 고부관아 점령 / 동학농민혁명 시작
• 1894. 01. 17 말목장터로 진을 옮김
• 1894. 02. 20 전봉준, 전라도 각지에 보국안민을 위한 창의격문 발송
• 1894. 02. 25 백산으로 진을 옮김
• 1894. 02. 말경 보국안민창대의(輔國安民倡大義) 큰 깃발과 읍호(邑號) 깃발 등장
• 1894. 03. 01 동학농민군, 졸포 세고(稅庫) 파괴
• 1894. 03. 03 단순 가담자 귀가 : 구폐교정절목(舊弊矯正節目)
• 1894. 03. 10 전봉준, 사냥꾼들에게서 총기 수집
• 1894. 03. 11 동학농민군 3,000여명, 금구에서 태인을 거쳐 부안으로 이동
• 1894. 03. 13 전봉준, 백산집결을 위해 무장으로 이동
• 1894. 03. 20 경무장포고문. 전봉준, 손화중과 함께 무장에서 백산으로 출발.
• 1894. 03. 23 동학농민군 고부관아 재점령
• 1894. 03. 26~29 백산대회(호남창의대장소) / 격문(檄文)과 4대명의(名義), 12개조 기율 선포
총대장 전봉준, 총관령 손화중·김개남, 총참모 김덕명·오시영, 영솔장 최경선, 비서 송희옥·정백현
• 1894. 04. 07 황토현에서 전라감영군 격파 후 정읍 관아 점령. 최초 전투, 최초 승리
양호초토사 홍계훈의 경군(京軍) 전주성 입성
• 1894. 04. 08~16 전라도 서남해안(흥덕·무장·영광·함평) 점령
• 1894. 04. 23 장성 황룡촌에서 경군과 접전. 장태 이용 승리
 
 

5. 전주성 점령과 집강소 시기

• 1894. 04. 27 호남의 수부(首府) 전주성 점령
• 1894. 05. 01~03 전주성에서 경군과 2차·3차 접전
• 1894. 05. 04 청국군(淸國軍) 아산만 상륙
• 1894. 05. 06 일본군 인천항 상륙
• 1894. 05. 07 전주 화약(和約) 체결
전라도 53군현 집강소 설치 및 동학농민군 해산 합의
• 1894. 06. 21 일본군 경복궁 침입
• 1894. 06. 27 청국군과 일본군, 성환에서 교전
• 1894. 07. 01 일본군, 청·일전쟁 선전 포고
• 1894. 07. 06 전봉준과 전라감사 김학진 간에 전주회담 개최
- 전라도 군·현 집강소 설치
- 전주성내 전라좌우도 대도소 설치
• 1894. 07. 26 조·일공수동맹조약(朝·日攻守同盟條約) 체결
• 1894. 06. 말~08. 말 전라·경상·충청도 각지 봉기
• 1894. 08. 17 일본군, 청(2만여명)·일(1만여명)간 평양전투 승리
• 1894. 09. 07 김개남, 대원군의 밀지 접수
 
 

6. 구국항일의병전쟁

• 1894. 09. 08 전봉준·김개남, 금구 원평에서 2차 기포 결정과 삼례 집결 통문
• 1894. 09. 18 동학 교주 최시형(68세) 동학 총동원령 선언 - 청산기포
• 1894. 09.초 ~ 11.초 경기·강원·충청·경상·황해도 등지에서 동학농민군과 경군·일본 연합군과 전투
• 1894. 10. 09 ~ 15 일본군 진압대대 인천항 상륙, 충청·전라·경상도로 진격
• 1894. 10. 12 전봉준 휘하의 동학농민군, 삼례에서 논산 도착
• 1894. 10. 12 ~ 16 손병희 휘하의 동학농민군, 논산 도착, 합류
• 1894. 10. 21 동학농민군, 논산에서 공주로 진격
• 1894. 11.08 공주 우금치에 동학농민군과 관군·일본군 집결
• 1894. 11.09 우금치 전투에서 동학농민군 패퇴
• 1894. 11.11 곰티에서 경군의 기습공격으로 노성으로 후퇴
• 1894. 11.13 김개남의 동학농민군, 청주 공격 실패 후 공주로 패퇴
• 1894. 11.14~19 동학농민군, 노성·논산서 일본군과 접전 후 강경을 지나 전주로 패퇴
• 1894. 11.23 관군·일본 연합군 전주성 장악
• 1894. 11.25~27 태인전투 패배 이후 전봉준 휘하의 동학농민군 해산
• 1894. 12. 01 손화중·최경선 휘하의 동학농민군 해산.
김개남(42세), 태인에서 체포당하고, 12. 3. 전주에서 효수당함.
• 1894. 12. 03 최경선(36세), 화순에서 체포당함.
• 1894. 12. 02 전봉준(41세), 순창 피노리에서 체포당함(12.18 한양 도착)
• 1894. 12. 11 손화중(34세), 고창에서 체포당함.
• 1894. 12. 24 손병희의 동학농민군, 충주 무극에서 관군에 패퇴
• 1895. 01. 01 김덕명(51세), 금구에서 체포당함.
• 1895. 02. 09~03. 10 전봉준, 5회에 걸쳐 심문받음
• 1895. 03. 30 전봉준·손화중·김덕명·최경선 등 교수형 당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연표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