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한림별곡(翰林別曲)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한림별곡 (翰林別曲)
고려 고종 때 한림 학사들이 모여서 지은 것으로 전하는 노래.
▣ 지식지도
◈ 지식지도
한림별곡 (翰林別曲) 경기체가 고려 가요 고전 문학 한국 문학 향가 권근 권호문 변계량 정극인 악장가사 악학궤범 납씨가 독락팔곡 문덕곡 불우헌곡 상대별곡 시용향악보 여민락 죽계별곡 처용가 화산별곡 정읍사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한림별곡 翰林別曲 경기체가 한림 학사들 (851)
▣ 시민참여콘텐츠
◈ 인기순 (1 ~ 4 위)
2019.06.23
【학습】 이 노래는 경기체가의 전형적인 작품이자 현전하는 최고(最高)의 작품이다. 작자는 고려 고종 때 한림의 유생들로, 바로 제1장에 나오는 문인들로 여겨진다.
 
◈ 등록순
2019.06.23
【학습】 이 노래는 경기체가의 전형적인 작품이자 현전하는 최고(最高)의 작품이다. 작자는 고려 고종 때 한림의 유생들로, 바로 제1장에 나오는 문인들로 여겨진다.
 
▣ 백과사전
고려 고종 때 한림 학사들이 모여서 지은 것으로 전하는 노래. 모두 8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내용은 시부(시), 서적, 명필, 명주(술), 화훼(꽃), 음악, 누각, 추천(그네)의 차례로 한 장씩 노래한 것으로, 당시 문인들의 생활 모습이 그려져 있다.
 
「한림별곡」과 같은 시형은 경기체(景幾體) 또는 별곡체(別曲體)라고 하며, 이를 달리 경기체가 또는 경기하여체가(景幾何如體歌)라 하는데, 그것은 각 연의 끝에 ‘경(景)긔 엇더니잇고’라는 말이 있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림별곡」은 최초의 경기체가로 알려져 있다.
 
가사는 《악학궤범》과 《악장가사》에 실려 전한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경기체가의 하나.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