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숙향전(淑香傳)
•
겸재정선미술관
•
오륜가(五倫歌)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혜경궁 홍씨
•
난중일기(亂中日記)
•
서울 특별시
•
이순신(李舜臣)
•
만복사저포기
•
날개(-)
•
사서율곡언해
•
시경(詩經)
•
조용조(租庸調)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곽거병(霍去病)
•
황석우(黃錫禹)
▣
이방익 (李邦翼)
바로가기
[1756 ~ ?] 조선후기 충장장, 오위장, 전주중군 등을 역임한 무신.
인물
:
[1756 ~ ?] 조선후기 충장장, 오위장, 전주중군 등을 역임한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 아버지는 탐라도에서 여러 대를 살아오며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장을 지낸 이광빈(李光彬)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84년(정조 8)에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선전관·충장장(忠壯將)·오위장·전주중군(全州中軍) 등의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다.
충장장으로 있을 때인
1796년
9월 제주 앞바다에서 뱃놀이를 즐기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 중국의 푸젠성(福建省) 펑후도(澎湖島)에 표착하여 타이완[臺灣]·샤먼[廈門]·저장[浙江]·강남[江南]·산둥[山東]·베이징[北京]·랴오양[遼陽]·의주(義州)를 거쳐 이듬해 윤6월 20일에 서울에 도착하여 정조를 만나고, 국문으로 「
표해가(漂海歌)
」를 지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이방익
(李邦翼)
1756
1734
이광빈
(李光彬)
제주시
(濟州市)
종두
(種痘)
기행가사
오스틴
(Austin)
아프샤르 제국
1796년
18세기
(18世紀)
1790년대
1790년
1791년
1792년
1793년
1794년
1795년
1797년
1798년
1799년
1779
카자르 왕조
1701
이정무
(李廷茂)
1739
김만덕
(金萬德)
1745
김홍도
(金弘道)
1749
제너
1796
가경제
(嘉慶帝)
표해가
(漂海歌)
1796
김홍도 필 병진년 화첩
백련교도의 난
1796
수원 화성
(水原華城)
•
홍리가(鴻罹歌)
•
유배 가사(流配歌辭)
•
남유록(南遊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표해가
漂海歌
가사
이방익 (李邦翼)
(14)
홍리가
鴻罹歌
가사
이방익(李邦翊)
(11)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