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숙향전(淑香傳)
•
겸재정선미술관
•
오륜가(五倫歌)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혜경궁 홍씨
•
서울 특별시
•
난중일기(亂中日記)
•
이순신(李舜臣)
•
날개(-)
•
만복사저포기
•
사서율곡언해
•
시경(詩經)
•
조용조(租庸調)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곽거병(霍去病)
•
대운하(大運河)
▣
평난공신 (平難功臣)
바로가기
1589년(선조 22)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지식
:
1589년
(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내용
1589년 10월에 황해도관찰사 한준(韓準), 재령군수 박충간(朴忠侃) 등이 상고(上告)하여 정여립 등이 모반한다고 고변(告變)함으로써 이들과 관련된 동인도 아울러 척결하였는데, 대부분 서인이 녹훈을 받게 되었다.
이들은 모두 22인으로 3등까지 녹훈되었는데, 1등은
박충간
·
이축(李軸)
·
한응인(韓應寅)
등 3인이고, 2등은
민인백(閔仁伯)
·
한준
·
이수(李綬)
·
조구(趙球)
·
남절(南截)
·
김귀영(金貴榮)
·
유전(柳㙉)
·
유홍(兪泓)
·
정철(鄭澈)
·
이산해(李山海)
·
홍성민(洪聖民)
·
이준(李準)
등 12인이며, 3등은
이헌국(李憲國)
·
최황(崔滉)
·
김명원(金命元)
·
이증(李增)
·
이항복(李恒福)
·
강신(姜紳)
·
이정립(李廷立)
등 7인이다.
1590년
8월 15일에 임금은 이들에게 교서를 내리고, 공신회맹제(功臣會盟祭)를 열어 특전을 베풀었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평난공신
(平難功臣)
1590
1575
서인
(西人)
가사 문학
(歌辭文學)
고전 문학
(古典文學)
부르봉가
북인
(北人)
사색 당파
(四色黨派)
한국 문학
(韓國文學)
대북파
(大北派)
1590년
1589년
16세기
(16世紀)
1580년대
1590년대
1602년
1592년
1593년
1595년
1596년
1598년
1599년
1580년
1583년
1586년
1529
최황
(崔滉)
1534
김명원
(金命元)
1536
정철
(鄭澈)
1539
이산해
(李山海)
1543
강신
(姜紳)
1554
한응인
(韓應寅)
1556
이항복
(李恒福)
1493
송순
(宋純)
1501
이황
(李滉)
1501
조식
(曺植)
1510
김인후
(金麟厚)
1513
유희춘
(柳希春)
1515
노수신
(盧守愼)
1517
이지함
(李之菡)
1535
성혼
(成渾)
1536
이이
(李珥)
1536
황윤길
(黃允吉)
1537
권율
(權慄)
1538
김성일
(金誠一)
1544
이발
(李潑)
1561
박인로
(朴仁老)
1561
이덕형
(李德馨)
1569
권필
(權韠)
1584
인목 왕후
(仁穆王后)
1587
윤선도
(尹善道)
1600
정양
(鄭瀁)
1580
훈민가
(訓民歌)
1588
사미인곡
(思美人曲)
속미인곡
(續美人曲)
송강가사
(松江歌辭)
송강집
(松江集)
1589
기축옥사
(己丑獄事)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미정의)
김귀영
(미정의)
남절
(미정의)
민인백
(미정의)
박충간
(중복)
유전
(중복)
유홍
(미정의)
이수
(미정의)
이정립
(중복)
이준
(미정의)
이증
(미정의)
이축
(미정의)
이헌국
(미정의)
조구
(미정의)
한준
(미정의)
홍성민
•
공신(功臣)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