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흑산도 (黑山島)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있는 섬이다. 목포시 남서쪽 방향에 있다. 면적은 19.7 km2이고, 인구는 2016년 4,365명이다. 흑산도 홍어가 유명하다.
◈ 지식지도 관계
흑산도 (黑山島) 장도 (粧刀) 1801 신유 박해 (辛酉迫害) 벽파 (僻派) 시파 (時派) 1591 남인 (南人) 1895 단발령 (斷髮令) 다도해 해상 국립 공원 다물도 (多物島) 대둔도 (大屯島) 대흑산도 만재도 (晩才島) 신안군 (新安郡) 완도 (莞島) 청해진 (淸海鎭) 홍도 (紅島) 흑산 군도 828년 잉글랜드 왕국 9세기 820년대 1801년 1258년 851년 840년 836년 838년 820년 821년 822년 823년 824년 825년 826년 827년 829년 1211 유경 (柳璥) 1758 정약전 (丁若銓) 1833 최익현 (崔益鉉) 796 장보고 (張保皐) 엔닌 (円仁) 1207 최항 (崔沆) 1208 최의 (崔竩) 1213 고려 고종 (高宗) 1218 김준 (金俊) 1233 이존비 (李尊庇) 1243 안향 (安珦) 1736 권철신 (權哲身) 1742 이가환 (李家煥) 1745 정순 왕후 (貞純王后) 1752 주문모 (周文謨) 1756 이승훈 (李承薰) 1760 정약종 (丁若鍾) 1762 정약용 (丁若鏞) 1792 이항로 (李恒老) 1800 순조 (純祖) 1820 흥선 대원군 789 신무왕 (神武王) 838 민애왕 (閔哀王) 1814 자산어보 영남인물고 입당구법순례행기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홍어 (洪魚) (미정의) 가거도 (미정의) 영산도 (미정의) 태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부해기 浮海記 고전 수필 정학유 (37)
 
◈ 최근등록순
2024.10.01
12. 일곱 봉우리 오르내리는 즐거운 능선길!
【문화】 흑산도(黑山島)는 가수 이미자의 노래 ‘흑산도 아가씨’와 코끝이 알싸한 홍어로 유명한 섬이다. 1년에 수만 명의 관광객이 홍도와 연계하여 흑산도를 찾는다. 원래 흑산도를 이루고 있는 산의 이름은 흑산(黑山)이었다. 한라산이 제주도고, 성인봉이 울릉도이듯 흑산이 곧 흑산도였다. 흑산도란 섬이름은 산과 바다가 푸르다 못해 검게 보인다 하여 불려졌다.
2024.10.01
11. 푸른 바다 넘실대는 흑산도 최고 조망산!
【문화】 영산도(永山島)는 홍어로 유명한 흑산도에서 동쪽으로 4km 지점에 위치해 있다. 섬의 크기는 인근의 흑산도에 비해 10배 정도 작은 섬이고 천혜의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는 한적한 섬이다. 지난 2012년,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영산도가 보유한 생태자원과 섬 문화자원, 그리고 섬 주민들의 열정을 높이 평가해, 이 섬을 ‘명품마을’로 선정하였고, 2013년에는 환경부에서는 ‘자연생태마을’로 지정하였다.
2020.06.01
【환경】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권경업)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생물자원 조사 중에 그동안 국내에 기록이 없었던 미기록종 '갈색솔딱새(가칭)'를 최근 발견했다고 밝혔다.【국립공원공단 - 김양모 (061-246-3114)】
2019.11.14
【문화】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권경업)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에서 철새 이동 조사 중 발견된 조류를 미기록종인 '바위양진이(가칭)'로 최근 확인했다고 밝혔다.【국립공원공단 - 박세영 (061-246-3114)】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