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겸재정선미술관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대운하(大運河)
•
제주특별자치도
•
혜경궁 홍씨
•
열하일기(熱河日記)
•
난중일기(亂中日記)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무정(無情)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오륜가(五倫歌)
•
조용조(租庸調)
•
종로구(鍾路區)
•
이승만(李承晩)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창랑정기(滄浪亭記)
•
상춘곡(賞春曲)
•
곽거병(霍去病)
▣
삼공 (三孔)
바로가기
중국 산둥성 취푸시에 있는 공자 연고의 사적인 공부, 공묘, 공림을 삼공이라고 하여 199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지식
:
중국
산둥성
취푸시
에 있는
공자
연고의 사적인
공부
,
공묘
,
공림
을 삼공이라고 하여 199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으로 등록되었다.
공묘
공자를 제사 지내는 사당이다. 공자의 사후 그 가르침을 존경한 황제들에 의해서 자금성, 대묘와 대등한 중국 3대 궁정건축의 하나로 여겨지며, 중국의 대표적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다.
공부
공자의 직계의 자손이 대대로 살아 온 생활 주거 공간이다.
공림
200 헥타아르 면적의 공자와 그 자손들의 무덤이 있는 곳이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삼공
(三孔)
유네스코 세계유산
공묘
(孔廟)
공림
(孔林)
유가
(儒家)
유교
(儒敎)
중국 철학
공문십철
(孔門十哲)
가야고분군
한국의 갯벌
산둥성
(山東省)
지닝시
(濟寧)
춘추 전국 시대
-551
공자
(孔子)
-20
예수
(Jesus)
-372
맹자
(孟子)
-470
소크라테스
(Socrates)
-506
자유
(子游)
-520
자공
(子貢)
-521
안회
(顔回)
-522
염구
(冉求)
-522
중궁
(仲弓)
-522
재아
(宰我)
-537
민자건
(閔子騫)
-542
자로
(子路)
-544
염경
(冉耕)
-560
석가모니
(釋迦牟尼)
b.c. 12c
주공 단
(周公旦)
BC5C
자하
(子夏)
1946
유네스코
(UNESCO)
논어
(論語)
남한 산성
(南漢山城)
자금성
(紫禁城)
경주역사유적지구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
조선왕릉
백제역사유적지구
1394
종묘
(宗廟)
1405
창덕궁
(昌德宮)
1796
수원 화성
(水原華城)
취푸시
(曲阜)
한국의 서원
(중복)
공부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