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3일 (토)
(음 4월 6일, 壬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가사(歌辭)
•
대한민국 대통령
•
대운하(大運河)
•
중용(中庸)
•
베르길리우스
•
무정(無情)
•
종로구(鍾路區)
•
경천사 10층 석탑
•
1516년
•
안후이성(安徽省)
•
이승만(李承晩)
•
숙향전(淑香傳)
•
초당문답가(草堂問答歌)
•
반고(班固)
•
서정주(徐廷柱)
•
메밀꽃 필 무렵
•
김동리(金東里)
•
임진왜란(壬辰倭亂)
▣
흠흠신서 (欽欽新書)
바로가기
조선 정조 때 정약용이 지은 법정에 관한 책. 30권 10책의 사본.
작품
:
유물 > 고도서
조선 정조 때
정약용
이 지은 법정에 관한 책. 30권 10책의 사본으로 순조 22년(1822년)에 간행되었다.
형벌에 관계되는 일은 사람의 목숨에 관한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가볍게 다루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그 임무를 맡은 관리들이 유의할 점을 적은 내용이다.
《정다산 전서(丁茶山全書)》에 수록되어 있으며, 한국 법제사와 사회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숨기기]
흠흠신서
(欽欽新書)
조선 정조때
정약용
법정에 관한 책.
순조 22년(1822년)에 간행 (30권 10책 사본)
《정다산 전서(丁茶山全書)》에 수록
한국 법제사와 사회사 연구에 좋은 자료
◈ 지식지도
관계
흠흠신서
(欽欽新書)
1822
1591
남인
(南人)
1801
신유 박해
(辛酉迫害)
1818
다산학단
실학
(實學)
1392
조선
(朝鮮)
1762
정약용
(丁若鏞)
1800
순조
(純祖)
1622
유형원
(柳馨遠)
1681
이익
(李瀷)
1742
이병모
(李秉模)
1745
정순 왕후
(貞純王后)
1746
김재찬
(金載瓚)
1754
이서구
(李書九)
1757
서용보
(徐龍輔)
1758
정약전
(丁若銓)
1760
남공철
(南公轍)
1760
정약종
(丁若鍾)
1764
김이교
(金履喬)
1765
김조순
(金祖淳)
1776
조선 정조
(正祖)
1776
조만영
(趙萬永)
1786
정학유
(丁學游)
1789
순원 왕후
(純元王后)
1809
문조
(文祖)
1834
조선 헌종
(憲宗)
1808
시경강의
(詩經講義)
1810
경세유표
(經世遺表)
1818
목민심서
(牧民心書)
1811
홍경래의 난
•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정약용 완전정복, 조선과학수사 흠흠신서 2부
[역사 > 한국역사] (0)
정약용 완전정복, 조선과학수사 흠흠신서 1부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