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휴정 (休靜)
[1520 ~ 1604] 조선 중기의 스님. 속성은 최(崔)이고, 호는 청허(淸虛) 또는 서산(西山)이다. 보통 서산 대사 라고 불린다.
휴정 (休靜) [1520 ~ 1604] 조선 중기의 스님. 서산 대사 속성은 최(崔)이고, 호는 청허(淸虛), 서산(西山). 임진왜란시 ‘팔도십륙종 도총섭’에 임명 1594년에 제자 유정(사명당)에게 군사 지휘권을 맡기고 묘향산에 들어가 여생을 보내었다. 선종과 교종을 통합 삼교 통합론 (유·불·도가 결국은 일치) 저서:《청허당집》
◈ 지식지도 관계
휴정 (休靜) 1520 1544 유정 (惟政) 처영 (處英) 1542 영규 (靈圭) 교종 (敎宗) 선종 (禪宗) 승려 (僧侶) 5교 9산 700 의사 (七百義士) 대승 불교 법상종 (法相宗) 법성종 (法性宗) 불교 (佛敎) 여진족 (女眞族) 열반종 (涅槃宗) 의병 (義兵) 화엄종 (華嚴宗) 1368 (明) 1592년 1598년 520년 1636 (淸) 1532 최경회 (崔慶會) 1536 이이 (李珥) 1536 황윤길 (黃允吉) 1537 권율 (權慄) 1537 김천일 (金千鎰) 1537 도요토미 히데요시 1538 김성일 (金誠一) 1538 이일 (李鎰) 1542 도쿠가와 이에야스 1544 조헌 (趙憲) 1545 이순신 (李舜臣) 1546 신립 (申砬) 1547 이원익 (李元翼) 1554 김시민 (金時敏) 1561 이덕형 (李德馨) 1562 가토 기요마사 1567 선조 (宣祖) 1568 구로다 나가마사 16C중 고니시 유키나가 484 달마 (達磨) 802 해인사 (海印寺) 1613 동의보감 (東醫寶鑑)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592 경주 전투 (慶州戰鬪) 1592 금산 전투 (錦山戰鬪) 1592 진주성 전투 1592 한산도 대첩 1592 이치 전투 1593 행주 대첩 (幸州大捷) 1597 정유재란 (丁酉再亂) 1598 노량 해전 (露梁海戰) 칠백 의총 (七百義塚)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회심곡 回心曲 가사 휴정(休靜) (36) 특별회심곡 特別回心曲 가사 휴정(休靜) (5) 속회심곡 續回心曲 가사 휴정(休靜) (2)
◈ 참조 원문/전문
수충사비문 酬忠祠碑文 기록물(기타) 이병모 / 서영보 (38) 이인의 갈망 근/현대 수필 최남선 (9)
 
◈ 최근등록순
2024.08.30
47. 운산 견성암를 찾아서
【문화】 추위를 피하여 위원(渭原) 만호동(萬戶洞)에서 겨울을 지내는 동안 어느덧 대한(大寒)이 지났다. 추운 대한(大寒)이 없다더니, 어제까지도 밤이면 영하(零下) 30도(度)를 오르내리던 혹한(酷寒)이 오늘은 제법 누그러진 것 같다. 그래도 20도(度)가 윗도는 추위에 눈이 길로 와서 덮혔으니.
2024.08.25
41. 묘향산 금강굴을 찾아서
【문화】 단군굴(檀君窟) 안에서 그대로 밤을 새운 나는, 이른 새벽에 눈을 뜨고 굴(窟) 안을 살핀다. 천연적인 바위가 뚫려 마치 집채같이 되어 있는데 천정에서 뚝뚝 물방울이 떨어지고 이 구석 저 구석에서 박쥐가 들린다. 제단(祭壇)도 없고 향각(香閣)도 없이 그대로 버려진 채로 있을 뿐이다. 단군(檀君)이 있었다는 유서 깊은 이곳을 이렇게 버려둘 수 있을까? 이 민족이 너무도 무심(無心)함을 느끼면서 밖으로 나간다.
2024.08.13
34. 평안북도 영변 용문사를 찾아서
【문화】 얼어붙은 청천강(淸川江)을 굽어보면서 강 건너편에 자리 잡은 평안북도(平安北道)로 발을 들여놓으려고 한다. 안주(安州) 땅 바로 건너는 박천(博川)이다. 그리로 먼저 갈까 하였으나, 머리에 선뜻 떠오르는 것이 영변(寧邊) · 향산(香山)에 있는 보현사(普賢寺)이다. 서산대사(西山大師)의 넋도 얼어붙은 청천강(淸川江). 어제 저녁에 내린 눈으로 하늘과 땅이 흰색으로 변했는데, 대지는 죽은 듯이 고요하다.
2024.07.22
30. 평안남도 영원 성룡사를 찾아서
【문화】 맹산읍(孟山邑)에서 북으로 올라가는 국도(國道)를 따라서 영원군(寧遠郡)으로 들어간다. 영원군(寧遠郡)에 있는 사찰(寺刹)로는 영원면(寧遠面)에 월굴암(月窟庵), 운흥사(雲興寺)가 있고, 다시 좀 북동쪽으로 덕화면(德化面)에 은적암(隱寂庵), 오운암(五雲庵)이 있으며, 영락면(永樂面)에 삼덕암(三德庵)과 운상암(雲祥庵)이 있고, 더 올라가서 성룡면(成龍面)에 성룡사(成龍寺)가 있다.
2024.06.16
5. 금강산 표훈사를 찾아서
【문화】 서산대사(西山大師)가 창건(創建)하였고, 암중(庵中)에 나옹조사(懶翁祖師)와 청허(淸虛) · 유정(惟政)의 제명승(諸名僧)의 화상(畵像)이 안치(安置)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몇 기(基)의 사리탑(舍利塔)만이 남아있는 백화암적(白華庵跡)을 찾았던 전일(前日)을 회고(回顧)하면서 오늘은 표훈사(表訓寺)로 향한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