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숙향전(淑香傳)
•
오륜가(五倫歌)
•
겸재정선미술관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혜경궁 홍씨
•
서울 특별시
•
난중일기(亂中日記)
•
이순신(李舜臣)
•
날개(-)
•
만복사저포기
•
사서율곡언해
•
시경(詩經)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조용조(租庸調)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곽거병(霍去病)
•
김현감호 설화
▣
훈구파 (勳舊派)
바로가기
조선 세조를 도와 왕위에 오르게 한 학자들의 무리. 세조를 도운 공으로 높은 관직에 오르고, 여러 차례에 걸쳐 공신전을 받아 큰 농토를 가지고 있었다.
기관/단체
:
단체 > 한국사 > 단체
조선
세조
를 도와 왕위에 오르게 한 학자들의 무리. 세조를 도운 공으로 높은 관직에 오르고, 여러 차례에 걸쳐 공신전을 받아 큰 농토를 가지고 있었다.
정인지
·
신숙주
·
최항
·
양성지
등 문필에 능한 학자들로서 편찬 사업에 참여하는 등, 민족 문화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사림파
의 등장 이후 토지 문제로 서로 대립함으로써 사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
무오사화
)
[숨기기]
훈구파
(勳舊派)
조선
세조
를 도와 왕위에 오르게 한 학자들의 무리.
세조를 도운 공으로 높은 관직에 오르고,
여러 차례에 걸쳐 공신전을 받아 큰 농토를 가지고 있었다.
정인지
·
신숙주
·
최항
·
양성지
등 문필에 능한 학자들로서
편찬 사업에 참여하는 등, 민족 문화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사림파
의 등장 이후
토지 문제로 서로 대립함으로써 사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
무오사화
)
◈ 지식지도
관계
훈구파
(勳舊派)
사림파
(士林派)
4대 사화
(四大士禍)
영남 학파
조의제문
(弔義帝文)
1504
갑자사화
(甲子士禍)
1498년
1392
조선
(朝鮮)
1396
정인지
(鄭麟趾)
1409
최항
(崔恒)
1415
양성지
(梁誠之)
1417
신숙주
(申叔舟)
1455
조선 세조
(世祖)
사육신
(死六臣)
생육신
(生六臣)
1337
정도전
(鄭道傳)
1353
길재
(吉再)
1389
김숙자
(金叔滋)
1395
소헌 왕후
(昭憲王后)
1410
강맹경
(姜孟卿)
1415
홍달손
(洪達孫)
1416
권람
(權擥)
1418
성삼문
(成三問)
1418
조선 세종
(世宗)
1418
안평 대군 이용
1431
김종직
(金宗直)
1435
이극돈
(李克墩)
1438
신면
(申㴐)
1441
구성군 이준
1450
정여창
(鄭汝昌)
1452
조선 단종
(端宗)
1454
김굉필
(金宏弼)
1454
조위
(曺偉)
1462
유자광
(柳子光)
1463
신용개
(申用漑)
1464
김일손
(金馹孫)
1469
조선 성종
(成宗)
1494
조선 연산군
(燕山君)
15c초
신중주
(申仲舟)
고려사
(高麗史)
국조오례의
성종실록
(成宗實錄)
세조실록
(世祖實錄)
1432
팔도지리지
1446
훈민정음
(訓民正音)
1447
동국정운
(東國正韻)
1447
용비어천가
1458
경국대전
(經國大典)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1519
기묘사화
(己卯士禍)
1545
을사사화
(乙巳士禍)
•
이극균(李克均)
•
이총(李摠)
•
홍경주(洪景舟)
•
이자(李耔)
•
김식(金湜)
•
조광조(趙光祖)
•
위훈 삭제 사건
•
박순(朴淳)
•
동·서 분당
•
1519년
•
1493년
•
1494년
•
1477년
•
1469년
•
당쟁(黨爭)
•
붕당(朋黨)
•
현량과(賢良科)
•
사화(士禍)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기묘사화 - 주초위왕 사건으로 조광조를 버린 중종 - 영상한국사 (092)
[역사 > 한국역사] (0)
조광조와 현량과 ? 중종, 사림파를 등용하다. - 영상한국사 (089)
[역사 > 한국역사] (0)
무오사화의 발단 - 김일손의 사초와 김종직의 조의제문 - 영상한국사 (087)
[역사 > 한국역사] (0)
무오사화 - 사초로부터 시작된 사화 - 영상한국사 (086)
[역사 > 한국역사] (0)
성종, 사림을 등용하다 - 영상한국사 (084)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