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가사(歌辭)
•
중용(中庸)
•
대한민국 대통령
•
숙향전(淑香傳)
•
대운하(大運河)
•
베르길리우스
•
무정(無情)
•
종로구(鍾路區)
•
경천사 10층 석탑
•
1516년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안후이성(安徽省)
•
이승만(李承晩)
•
상춘곡(賞春曲)
•
창랑정기(滄浪亭記)
•
혜경궁 홍씨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아프로디테(Aphrodite)
▣
후금 (後金)
바로가기
중국의 마지막 왕조인 청나라가 만주에서 발흥했을 당시에 사용한 국호.
시대
:
지역 > 외국 > 나라
중국의 마지막 왕조인 청나라가 만주에서 발흥했을 당시에 사용한 국호.
1616년
에 즉위한
누르하치
(태조)가 12세기에 세워졌던 금(金)나라의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제2대의
태종
은
1636년
에 후금을 대청(大淸)이라 고쳤는데, 그 배후에는 이민족을 생각하게 하는 ‘금’이란 국호를 피하고, 중국적인 왕조 국가를 건설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한다.
제3대
순치제
때 중국을 통일하고 베이징을 도읍으로 삼아 1912년까지 중국을 지배하였다.
[숨기기]
후금
(後金)
중국의 마지막 왕조인 청나라가
만주에서 발흥했을 당시에 사용한 국호.
1616년에 즉위한 누르하치(태조)가
12세기에 세워졌던 금(金)나라의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제2대의
태종
은 1636년에 후금을 대청(大淸)이라 고쳤는데,
그 배후에는 이민족을 생각하게 하는 ‘금’이란 국호를 피하고,
중국적인 왕조 국가를 건설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한다.
제3대
순치제
때 중국을 통일하고 베이징을 도읍으로 삼아
1912년까지 중국을 지배하였다.
◈ 지식지도
관계
후금
(後金)
1616
1368
명
(明)
1636
청
(淸)
중화 민국
(中華民國)
여진
(餘震)
지동설
(地動說)
건주여진
1627
정묘호란
(丁卯胡亂)
1636년
1616년
17세기
(17世紀)
1610년대
1630년대
1911년
1626년
1610년
1611년
1612년
1613년
1614년
1615년
1617년
1618년
1619년
1644
남명
(南明)
1616
누르하치
1626
청 태종
(太宗)
1643
순치제
(順治帝)
1564
갈릴레오 갈릴레이
1564
윌리엄 셰익스피어
1596
용골대
(龍骨大)
1606
코르네유
1612
오삼계
(吳三桂)
1612
도르곤
(多爾袞)
1661
강희제
(康熙帝)
1735
건륭제
(乾隆帝)
1636
하버드 대학교
1637
병자사행
르 시드
(Le Cid)
1636
병자호란
(丙子胡亂)
1911
신해 혁명
(辛亥革命)
•
모문룡(毛文龍)
•
심하전투(深河戰鬪)
•
정묘약조(丁卯約條)
•
숭정제(崇禎帝)
•
척화 주전론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병자호란을 부른 조선의 대외의식 - 영상한국사 (182)
[역사 > 한국역사] (0)
인조의 친명배금 정책이 불러온 정묘호란 - 영상한국사 (180)
[역사 > 한국역사] (0)
강홍립의 투항과 광해군의 비밀 주문 - 영상한국사 (174)
[역사 > 한국역사] (0)
광해군의 실리 외교, 왕좌를 빼앗기는 빌미가 되다 - 영상한국사 (173)
[역사 > 한국역사] (0)
광해군, 이빨 빠진 호랑이 ‘명’에 파병을 반대하다 - 영상한국사 (172)
[역사 > 한국역사] (0)
후금의 명 침략과 명의 파병 요청 - 영상한국사 (171)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