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1일 (목) (음 4월 4일, 庚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향가 (鄕歌)
신라 말기에서 고려 초기에 걸쳐 있었던 우리 나라 고유의 정형 시가. 사뇌가(詞腦歌)라고도 한다.
향가 (鄕歌) 고전 문학 신라 말기에서 고려 초기 우리 나라 고유의 정형 시가. 사뇌가(詞腦歌)라고도 한다. 한자의 음과 훈(訓)을 빌려 쓴 향찰과 이두로 표기 4구체, 8구체, 10구체의 형식 삼국유사》에 14수, 《균여전》에 11수가 전해짐 삼국유사 4구체 - 「서동요」 「풍요(風謠) 헌화가(獻花歌)」 「도솔가」의 4수 8구체 -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처용가(處容歌)」의 2수 10구체 - 「혜성가(彗星歌) 원왕생가(願往生歌)」「원가(怨歌)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제망매가 안민가(安民歌) 천수대비가(千手大悲歌) 우적가(遇賊歌) 균여전보현십원가 「예경제불가(禮敬諸佛歌)」 「칭찬여래가(稱讚如來歌)」 「광수공양가(廣修供養歌)」 「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 「수희공덕가(隨喜功德歌)」 「청전법륜가(請轉法輪歌)」 「청불주세가(請佛住世歌)」 「상수불학가(常隨佛學歌)」 「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 「보현회향가(普賢廻向歌)」 「총결무진가(總結无盡歌)」
◈ 지식지도 관계
향가 (鄕歌)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려 가요 (高麗歌謠) 고전 문학 (古典文學) 가사 (歌辭) 고대 소설 (古代小說) 고대 수필 (古代隨筆) 시조 (時調) 한국 문학 (韓國文學) 고대 가요 (古代歌謠) 888년 광덕 (廣德) 월명사 (月明師) 충담사 (忠談師) 선화공주 (善花公主) 1075 김부식 (金富軾) 1206 일연 (一然) 1274 충렬왕 (忠烈王) 1352 권근 (權近) 1369 변계량 (卞季良) 1401 정극인 (丁克仁) 1488 김구 (金絿) 1532 권호문 (權好文) 632 선덕 여왕 (善德女王) 도천수관음가 보현십원가 서동요 (薯童謠) 원왕생가 (願往生歌) 제망매가 (祭亡妹歌) 찬기파랑가 처용가 (處容歌) 총결무진가 풍요 (風謠) 헌화가 (獻花歌) 혜성가 (彗星歌) 우적가 (遇賊歌) 안민가 (安民歌) 1075 균여전 (均如傳) 1281 삼국유사 (三國遺事) 700 모죽지랑가 737 원가 (怨歌) 760 도솔가 (兜率歌) 888 삼대목 (三代目) 가시리 관동별곡 (關東別曲) 독락팔곡 (獨樂八曲) 사모곡 (思母曲) 상대별곡 (霜臺別曲) 상저가 (相杵歌)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樂章歌詞) 정석가 (鄭石歌) 청산별곡 (靑山別曲) 한림별곡 (翰林別曲) 연형제곡 (宴兄弟曲) 유림가 (儒林歌) 1145 삼국사기 (三國史記) 1425 화산별곡 (華山別曲) 1472 불우헌곡 (不憂軒曲) 1493 악학궤범 (樂學軌範)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15 작품) [모두보기]
제망매가 祭亡妹歌 향가 월명사(月明師) (446) 모죽지랑가 慕竹旨郞歌 향가 득오곡 (得烏谷) (374) 찬기파랑가 讚耆婆郞歌 향가 충담사(忠談師) (305) 처용가 處容歌 향가 (267) 서동요 薯童謠 향가 (176) 안민가 安民歌 향가 충담사 (123) 원왕생가 願往生歌 향가 광덕 처 (廣德妻) (102) 혜성가 彗星歌 향가 융천사 (99) 헌화가 獻花歌 향가 미상 (노옹) (93) 도솔가 兜率歌 향가 월명 (月明) (57) 도천수관음가 禱千手觀音歌 향가 희명(希明) (32) 보현십원가 普賢十願歌 향가 균여(均如) (26)
◈ 조회순
2019.06.04
【학습】 신라 경덕왕 때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5 감통(感通)7 ‘월명사 도솔가조(月明師兜率歌條)’에 실려 있다.
2019.06.04
【학습】 신라 경덕왕 때 충담(忠談)이 화랑 기파랑(耆婆郎)을 추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2 기이편(紀異篇) 제2 경덕왕 충담사 표훈대덕조(景德王忠談師表訓大德條)에 실려 전한다.
2019.06.04
【학습】 백제의 서동(薯童 : 백제 무왕(武王)의 어릴 때 이름)이 신라 제26대 진평왕 때 지었다는 한국 최초의 4구체(四句體) 향가(鄕歌)로, 민요 형식의 이 노래는 이두(吏讀)로 표기된 원문과 함께 그 설화(說話)가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무왕조(武王條)에 실려 전한다.
2019.06.02
【학습】 신라 제32대 효소왕(재위 692~702년) 때의 화랑 득오가 지은 향가. 8구체 형식의 향가이다. 동료 화랑인 죽지랑의 죽음을 애도하여 죽지랑에 대한 사모의 정과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한 작품이다.
2019.06.04
【학습】 신라 경덕왕 24년(765년)에 충담사가 지은 10구체 향가
2019.06.04
【학습】 신라 제26대 진평왕(眞平王:재위 579∼633) 때의 승려 융천사(融天師)가 지은 10구체(十句體) 향가로, 《삼국유사》 권5 <융천사혜성가조(融天師彗星歌條)>에 실려 있다.
2019.06.04
【학습】 신라 때의 승려 신충(信忠)이 737년(효성왕 1)에 지은 8구체 향가(鄕歌)로 원래는 10구체 형식이었다고 하나 현재는후구(後句)가 없는 8구체로 전한다.
2019.06.04
【학습】 신라 헌강왕 때 처용이 지었다는 8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2 ‘처용랑망해사조(處容郞望海寺條)’에 관련 설화와 더불어 원문이 실려 있다.
 
◈ 최근등록순
2019.06.04
【학습】 신라 제26대 진평왕(眞平王:재위 579∼633) 때의 승려 융천사(融天師)가 지은 10구체(十句體) 향가로, 《삼국유사》 권5 <융천사혜성가조(融天師彗星歌條)>에 실려 있다.
2019.06.04
【학습】 신라 성덕왕대(702~737)에 이름을 알 수 없는 노인이 수로부인(水路夫人)에게 꽃을 꺾어 바치며 부른 4구체 향가로 〈삼국유사〉 권2 수로부인조에 가사 전문과 배경설화가 실려 전한다.
2019.06.04
【학습】 신라 제27대 선덕여왕(善德女王:재위 632∼647) 때 지은 작자 미상의 4구체(四句體) 향가(鄕歌). 《양지사석가(良志使錫歌)》라고도 한다.
2019.06.04
【학습】 일명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라고도 하는 신라의 향가. 10구체의 노래로서, 《삼국유사(三國遺事)》 권3 <분황사천수대비(芬皇寺千手大悲)>에 이두문(吏讀文)으로 실려 있다.
2019.06.04
【학습】 신라 헌강왕 때 처용이 지었다는 8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2 ‘처용랑망해사조(處容郞望海寺條)’에 관련 설화와 더불어 원문이 실려 있다.
2019.06.04
【학습】 신라 경덕왕 때 충담(忠談)이 화랑 기파랑(耆婆郎)을 추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2 기이편(紀異篇) 제2 경덕왕 충담사 표훈대덕조(景德王忠談師表訓大德條)에 실려 전한다.
2019.06.04
【학습】 신라 경덕왕 때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5 감통(感通)7 ‘월명사 도솔가조(月明師兜率歌條)’에 실려 있다.
2019.06.04
【학습】 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광덕(廣德:?~?)이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5 광덕 엄장조에 실려 전한다.
2019.06.04
【학습】 신라 때의 승려 신충(信忠)이 737년(효성왕 1)에 지은 8구체 향가(鄕歌)로 원래는 10구체 형식이었다고 하나 현재는후구(後句)가 없는 8구체로 전한다.
2019.06.04
【학습】 신라 원성왕(元聖王:재위 785∼798) 때의 화랑이며 승려인 영재(永才)가지은 10구체 향가(鄕歌).
2019.06.04
【학습】 신라 경덕왕 24년(765년)에 충담사가 지은 10구체 향가
2019.06.04
【학습】 백제의 서동(薯童 : 백제 무왕(武王)의 어릴 때 이름)이 신라 제26대 진평왕 때 지었다는 한국 최초의 4구체(四句體) 향가(鄕歌)로, 민요 형식의 이 노래는 이두(吏讀)로 표기된 원문과 함께 그 설화(說話)가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무왕조(武王條)에 실려 전한다.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승려 균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의 하나
2019.06.04
【학습】 고려 초기 광종(光宗) 때 균여(均如)가 지은 10구체(十句體) 향가(鄕歌)로 보현보살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로서 자기가 닦는 모든 선업(善業)을 중생에게 돌려 달라고 비는 내용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
2019.06.04
【학습】 고려 초엽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首) 중의 하나로서, 부처가 항상 이 세상에 머물러 주기를 청하는 내용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首) 중의 하나로서, 불교의 교법(敎法)이 널리 퍼지기를 청하는 내용의 노래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초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로서, 공덕(功德)을 수희(隨喜)하기 위한 노래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로서, 공양(供養)을 널리 닦기 위하여 지은 노래이다.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향가
[음악 > 국악]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