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3일 (토) (음 4월 6일, 壬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측우기 (測雨器)
비가 내린 양을 재는 기구. 조선 세종 23년(1441년)에 세계에서 가장 먼저 발명했고, 그 뒤 개량에 힘써 세종 24년(1442년)에 측우기라고 이름하였다.
◈ 지식지도 관계
측우기 (測雨器) 1441 함길도 (咸吉道) 1441년 15세기 (15世紀) 1440년대 15C초 장영실 (蔣英實) 서운관 (書雲觀)
 
◈ 최근등록순
2020.02.20
(국영문 동시 배포) 우리 옛 과학기술의 꽃,「공주 충청감영 측우기」국보 지정
【문화】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근대시기 이전의 강수량 측정 기구로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진 보물 제561호 ’금영 측우기‘를 비롯해 조선 시대 측우(測雨) 제도를 계통적으로 증명해주는 2점의 측우대인 보물 제842호 ‘대구 선화당 측우대’와 보물 제844호 ‘창덕궁 측우대’를 국보로 지정 하였다.【유형문화재과】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