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가사(歌辭)
•
중용(中庸)
•
대한민국 대통령
•
숙향전(淑香傳)
•
아프로디테(Aphrodite)
•
대운하(大運河)
•
혜경궁 홍씨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초당문답가(草堂問答歌)
•
무정(無情)
•
경천사 10층 석탑
•
종로구(鍾路區)
•
1516년
•
이승만(李承晩)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안후이성(安徽省)
•
황석우(黃錫禹)
•
반고(班固)
▣
최충헌 (崔忠獻)
바로가기
[1149 ~ 1219] 고려 시대의 무신. 시호는 경성(景成)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149 ~ 1219] 고려 시대의 무신. 시호는 경성(景成)이다.
1174년
(명종 4년)에 조위총의 반란을 진압하여 별초 도령이라는 벼슬에 올랐다가 다시 섭장군에 올랐다.
1196년
(명종 26년)에 아우 최충수와 함께 백성을 괴롭히던 권신
이의민
일당을 죽이고 정권을 잡은 뒤 부패한 정치를 바로잡기 위해 10가지 안을 왕에게 올렸으나 듣지 않자,
명종
을 몰아 내고
신종
을 왕위에 앉혀 높은 벼슬을 하였다.
그는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의 네 왕을 자기 뜻대로 세우는 등 왕권을 완전히 손아귀에 넣고, 모든 반란을 억누르며 독재 정치를 일삼았다.
그러나 그는 무신 정권으로 쇠약해져 가는 문화를 다시 일으키기 위해
이규보
등의 훌륭한 문신 들을 뽑아 씀으로써 문화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며, 질서를 바로잡고 사회 풍속을 아름답게 하는 등의 업적을 남기기도 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최충헌
(崔忠獻)
1149
1146
이의민
(李義旼)
1199
최우
(崔瑀)
1207
최항
(崔沆)
1208
최의
(崔竩)
1147
최충수
(崔忠粹)
1170
무신 정권
(武臣政權)
1196
최씨 무신 정권
고려 대장경
1196년
1174년
12세기
1170년대
1190년대
1252년
1258년
1243년
1249년
1225년
1219년
1199년
1170년
1172년
1173년
1176년
1177년
1179년
1260
원
(元)
918
고려
(高麗)
1168
이규보
(李奎報)
1170
명종
(明宗)
1197
고려 신종
(神宗)
1204
고려 희종
(熙宗)
1211
강종
(康宗)
1213
고려 고종
(高宗)
1106
정중부
(鄭仲夫)
1130
주희
(朱熹)
각훈
(覺訓)
1152
이인로
(李仁老)
1154
경대승
(慶大升)
1169
살라딘
(Saladin)
1211
유경
(柳璥)
1218
김준
(金俊)
1220
임연
(林衍)
1220
임유무
(林惟茂)
12C초
이의방
(李義方)
국자감
(國子監)
도방
(都房)
송광사
(松廣寺)
1209
교정 도감
(敎定都監)
국선생전
(麴先生傳)
동국이상국집
백운소설
(白雲小說)
동명왕편
(東明王篇)
1170
무신의 난
(武臣--亂)
1182
부성 민란
(富城民亂)
•
만적(萬積)
•
1211년
•
1215년
•
1200년
•
1197년
•
교정 별감(敎定別監)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무인시대, 최충헌과 이의민 - 역사의 라이벌
[역사 > 한국역사] (0)
고려시대, 출세를 위한 선택 ‘출가’ - 영상한국사 (174)
[역사 > 한국역사] (0)
실패로 끝난 만적의 난 - 영상한국사 (073)
[역사 > 한국역사] (0)
최충헌, 명종을 폐위하고 무신정변의 흔적을 지우다 - 영상한국사 (066)
[역사 > 한국역사] (0)
맏아들에게 세습된 최충헌의 권력 - 영상한국사 (065)
[역사 > 한국역사] (0)
최충헌 암살 시도와 교정도감 - 영상한국사 (064)
[역사 > 한국역사] (0)
최충헌, 이전의 무인 권력자들과 다른 길을 가다 - 영상한국사 (063)
[역사 > 한국역사] (0)
최충헌 동생의 비둘기, 권력 교체에 영향을 끼치다 - 영상한국사 (062)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