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 지역 > 외국
아시아 대륙의 동부를 차지하는 나라. 정식 이름은 중화 인민 공화국이다.
면적으로는 세계에서 셋째, 인구로는 세계에서 첫째인 큰 나라이다. 한족을 중심으로 주로 몽고계의 주변 여러 민족이 어울려 통일과 분열을 거듭하던 터전으로, 황하와 양쯔강 유역의 동부 평원 지대에 찬란한 중국 문화를 꽃피웠다. 그러나 근세에 이르러는 과학 문명이 뒤져 서양 세력과 일본의 침략을 받았으며, 일본 패망 후에는 공산당이 세력을 펴면서 대륙부의 중국 과 타이완섬의 타이완으로 갈라지게 되었다.
자연과 기후
지역이 넓어 지형과 기후가 매우 다양하며, 지형은 대체로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다. 서쪽에 있는 티베트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악과 고원 지대를 이루고 있고, 황하와 양쯔강 을 비롯하여 동남 아시아의 큰 강들이 모두 이 곳에서 시작된다. 신장과 네이멍구는 산악 분지와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서부 고지는 심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어 추위와 더위의 차가 매우 심하고 건조하여, 넓은 지역이면서도 인구는 적다. 동부 저지는 강수량이 적고 대륙성 기후가 뚜렷한 동북과 화북 지방, 강수량이 많고 따뜻하며 열대 계절풍과 온대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화중, 화남, 타이완 지방으로 나뉜다. 그리고 화북 지방에는 황토 지대가 넓게 발달되어 있다.
주민
여러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주민의 94%는 한족이다. 소수 민족의 인구는 적지만 50여 민족이나 되며, 변경의 넓은 지역에 흩어져 독특한 언어와 문화를 지니고 살고 있다. 종교는 유교, 불교, 도교, 라마교, 이슬람교, 크리스트교 등을 믿어 왔으나, 중국 지역에서는 사실상 종교가 금지되어 있다. 공용어인 한족의 중국어도 지방에 따른 사투리가 많으나, 베이징 관화(官話)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산업
주산업은 농업으로 건조한 동북과 화북 지방에서는 밀, 조, 수수, 콩, 목화 등의 밭농사와 축산이 성하다. 그리고 화중, 화남, 타이완 지방은 따뜻하고 비가 많아 벼농사 가 중심을 이루며, 그 밖에 차와 감귤류도 많이 재배하고 있다. 특히 남부는 열대에 가까워 벼의 2기작과 열대 작물 재배가 성하다. 지하 자원으로는 철광, 구리, 중석, 망간, 석탄, 안티몬, 석유 등의 세계적인 산지이며, 그 밖에 주석, 몰리브덴, 수은, 납, 카드뮴 등도 풍부하다. 종래 동북 지방 남부, 톈진, 상하이, 우한 등 연해 지방 또는 양쯔강 유역에 한정되어 있던 공업이 지금은 내륙 지방 으로 널리 퍼져 있으며, 중공업이 크게 발달해 가고 있다.
교통은 대체로 동부 저지에서 철도와 도로 교통이 발달 되었으며, 양쯔강 유역에서는 내륙 수운도 활발하다.
최근에는 서부 변경에 이르기까지 도로와 항공 교통이 뻗치고 있다.
역사
황하 문명의 발상지로 5,000년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멀리 은 왕조 때에 나라의 체제를 갖춘 후로 진, 한, 수, 당, 송, 원, 명, 청으로 이어 오며 통일과 분열을 거듭하였다.
원, 청과 같이 변경의 소수 민족에 의한 지배 체제가 이루어지기도 하였으나, 문화적으로는 오히려 그들을 동화해가며 한족의 전통을 이어 왔다.
청나라 말기에는 서양 세력과 일본의 침략을 받아 거의 식민지화하였으나, 1912년에 쑨원이 이끄는 중화 민국이 건국되었다.
그 뒤에도 일본의 침략으로 중·일 전쟁을 치르는 한편, 안으로는 공산군과 국민당군의 내전이 계속되다가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9년에 공산당 이 대륙부를 차지하면서 국민당군은 타이완섬으로 밀려났다.
중국의 행정구역
직할시(4)
구
화북구 (2)
서북구 (3)
산시성 (陝西省), 간쑤성 (甘肅省), 칭하이성 (靑海省)
동북구 (3)
랴오닝성 (遼寧省), 지린성 (吉林省), 헤이룽장성 (黑龍江省)
화동구 (6)
장쑤성 (江蘇省), 저장성 (浙江省), 안후이성 (安徽省), 장시성 (江西省), 푸젠성 (福建省), 산둥성 (山東省)
중남구 (5)
허난성 (河南省), 후베이성 (湖北省), 후난성 (湖南省), 광둥성 (廣東省), 하이난성 (海南省)
서남구 (3)
쓰촨성 (四川省), 윈난성 (雲南省), 구이저우성 (貴州省)
자치구 (5)
특별행정구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