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숙향전(淑香傳)
•
겸재정선미술관
•
오륜가(五倫歌)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혜경궁 홍씨
•
서울 특별시
•
이순신(李舜臣)
•
난중일기(亂中日記)
•
이상(李箱)
•
조용조(租庸調)
•
만복사저포기
•
날개(-)
•
시경(詩經)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김현감호 설화
•
창랑정기(滄浪亭記)
▣
주리론 (主理論)
바로가기
성리 철학의 한 흐름. 우리 나라에서 주리론은 이언적이 먼저 주장하고, 이황이 이를 대성시켰다. 이 사상은 정통 성리학으로서 16세기 이후 우리 나라 사상계를 이끌어 갔다.
지식
:
철학 > 철학
성리 철학의 한 흐름.
성리학
은 본래
이(理)
와
기(氣)
라는 요소를 설정하여, 세계와 모든 사물 및 인간은 이와 기의 결합으로 존재한다고 설명하였다. 여기서 이와 기는 서로 다르면서도 상호 의존적 관계에 있다. 이는 기를 움직이게 하는 근본 법칙이며, 기는 형질을 갖춘 형이하학적 존재로서 이의 법칙에 따라 구체화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주리론이다.
우리 나라에서 주리론은
이언적
이 먼저 주장하고,
이황
이 이를 대성시켰다. 이 사상은 정통 성리학으로서 16세기 이후 우리 나라 사상계를 이끌어 갔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주리론
(主理論)
성리학
(性理學)
유교
(儒敎)
주기론
(主氣論)
기
(氣)
이
(理)
기호 학파
(畿湖學派)
도가
(道家)
실학
(實學)
양명학
(陽明學)
영남 학파
유가
(儒家)
정주학
(程朱學)
제자 백가
(諸子百家)
주자학
(朱子學)
중국 철학
285년
1491
이언적
(李彦迪)
1501
이황
(李滉)
-179
동중서
(董仲舒)
-315
순자
(荀子)
-483
자사
(子思)
-551
공자
(孔子)
1017
주돈이
(周敦燎)
1032
정호
(程顥)
1033
정이
(程伊)
1130
주희
(朱熹)
1243
안향
(安珦)
1337
정도전
(鄭道傳)
1454
김굉필
(金宏弼)
1472
왕양명
(王陽明)
1482
조광조
(趙光祖)
1489
서경덕
(徐敬德)
1515
윤원형
(尹元衡)
1526
정탁
(鄭琢)
1527
기대승
(奇大升)
1536
이이
(李珥)
1538
김성일
(金誠一)
1542
류성룡
(柳成籠)
1543
정구
(鄭逑)
1762
정약용
(丁若鏞)
4C
왕인
(王仁)
857
최치원
(崔致遠)
984
최충
(崔沖)
국자감
(國子監)
태학
(太學)
1622
화암서원
(花巖書院)
도산십이곡
사서 삼경
(四書三經)
유교 경전
1547
정미사화
(丁未士禍)
1574
도산 서원
(陶山書院)
•
사단칠정(四端七情)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