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 종교 > 불교 > 03
불상을 모시고 승려들이 거주하면서 불도를 닦고 교법을 펴는 집. 사찰(寺刹), 가람(伽藍), 정사(精舍) 또는 사원(寺院)이라고도 한다.
우리 나라 최초의 절은 고구려 에 불교가 들어온 3년 뒤인 소수림왕 5년( 375년)에 세워진 이불란사(伊弗蘭寺)와 초문사(肖門寺)이고, 신라에서의 최초의 절은 이차돈이 순교한 흥륜사(興輪寺)를 들 수가 있다.
고대에는 절을 시가지에 짓는 것이 상례였는데, 그것은 중국이나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시대 상황과 사회적 여건에 따라 우리 나라의 절은 수도나 포교에 주력하는 특수성을 띠게 되었고, 입지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① 평지 가람(平地伽藍) : 특히 왕실의 원당(願堂)이나 나라에서 세운 절이 많고, 교통 이 편리하여 대중 불교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다.
② 산지 가람(山地伽藍) : 깊은 산골에 자리잡은 이 절은 신라 말기에 들어온 선종(禪宗)의 영향을 받아 수도 생활에 알맞도록 설계되었으며, 지금도 수도 도량(道場)으로서의 전통을 지켜 오고 있다.
③ 석굴 가람(石窟伽藍) : 천연 또는 인공 석굴에 지은 절은 주로 기도를 위한 도량으로서의 특징을 지닌다.
오늘날 우리 나라의 절은 전문적인 수도와 일반적인 믿음의 도량으로 아울러 이용되고 있다.
사찰 현황(2020. 11월)
세계문화유산 등재
① 불국사, ② 석굴암, ③ 해인사 ( 팔만대장경), ④ 통도사, ⑤ 봉정사, ⑥ 선암사, ⑦ 대흥사, ⑧ 법주사, ⑨ 마곡사, ⑩ 부석사
3보(寶) 사찰
양산 통도사(불.佛), 합천 해인사(법.法), 순천 송광사(승.僧)
8대 총림(禪院,講院,律院을 갖춘 사찰)
조계 총림( 조계사), 덕숭 총림( 수덕사), 팔공 총림( 동화사), 해인 총림( 해인사), 쌍계 총림( 쌍계사), 범어 총림( 범어사), 영축 총림( 통도사), 고불 총림( 백양사)
일제 강점기 31본사
서울 봉은사, 남양주 봉선사,수원 용주사, 강화 전등사, 간성 건봉사, 평창 월정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전주 위봉사, 금산 보석사, 장성 백양사, 순천 송광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 구례 화엄사, 문경 금룡사, 의성 고운사, 영천 은해사, 대구 동화사, 경주 기림사, 합천 해인사, 양산 통도사, 부산 범어사 (남한 23)
함주 귀주사, 안면 석왕사, 고성 유점사, 영변 보현사, 평원 법흥사, 평양 영명사, 황주 성불사, 신천 패엽사 (북한 8)
조계종 25교구(현재)
서울 조계사, 수원 용주사, 남양주 봉선사, 속초 신흥사, 평창 월정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예산 수덕사, 김천 직지사, 대구 동화사, 영천 은해사, 경주 불국사, 합천 해인사, 하동 쌍계사, 부산 범어사, 양산 통도사, 의성 고운사, 김제 금산사, 장성 백양사, 구례 화엄사, 순천 선암사(태고종), 순천 송광사, 고창 선운사, 해남 대흥사, 제주 관음사
CNN 선정 한국의 가장 아름다운 사찰 33곳
▲태백산 망경사 ▲곡성 태안사 ▲정읍 내장사 ▲청송 대전사 ▲춘천 청평사 ▲보은 법주사 ▲순창 강천사 ▲영주 부석사 ▲구례 천은사 ▲김제 금산사 ▲경주 골굴사 ▲구례 사성암 ▲공주 마곡사 ▲동해 삼화사 ▲영천 백흥암 ▲양산 통도사 ▲담양 보리암 ▲순천 송광사 ▲포항 오어사 ▲봉화 청량사 ▲순천 선암사 ▲진천 보탑사 ▲구례 화엄사 ▲진안 탑사 ▲화순 운주사 ▲해남 대흥사 ▲화순 쌍봉사 ▲부산 범어사 ▲구례 연곡사 ▲서울 도봉 천축사 ▲남양주 수종사 ▲울진 불영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