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3일 (토)
(음 4월 6일, 壬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가사(歌辭)
•
대한민국 대통령
•
대운하(大運河)
•
중용(中庸)
•
무정(無情)
•
베르길리우스
•
경천사 10층 석탑
•
종로구(鍾路區)
•
1516년
•
안후이성(安徽省)
•
숙향전(淑香傳)
•
이승만(李承晩)
•
초당문답가(草堂問答歌)
•
서정주(徐廷柱)
•
메밀꽃 필 무렵
•
김동리(金東里)
•
반고(班固)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이만손 (李晩孫)
바로가기
[? ~ ?] 조선 말기의 유학자. 영남 지방의 유학생으로 민씨 일파의 개화 정책에 반대. 1881년 강진규 등과 함께 영남 유생들을 모아 만인소(萬人疏)를 올려 당시의 정책을 규탄하였다.
인물
:
인물 > 한국
[? ~ ?] 조선 말기의 유학자.
영남 지방의 유학생으로 민씨 일파의 개화 정책에 반대하였다. 특히 일본에 다녀온
김홍집
이,
황준헌
이 쓴 《
조선 책략
》을 고종에게 바치자 이에 격분하여,
1881년
강진규 등과 함께 영남 유생들을 모아
만인소(萬人疏)
를 올려 당시의 정책 을 규탄하였다.
이로 인해 강진에 귀양갔다가 이듬해 흥선 대원군이 재집권하자 풀려나와 대원군을 중심으로 하는 보수 세력으로 활약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이만손
(李晩孫)
영남 만인소
삼제 동맹
(三帝同盟)
수신사
(修信使)
위정 척사 운동
1881
신사 유람단
1881
영선사
(領選使)
1881
신사척사운동
1881년
19세기
(19世紀)
1880년대
1880년
1882년
1883년
1884년
1885년
1886년
1887년
1888년
1889년
1842
김홍집
(金弘集)
1848
황준헌
(黃遵憲)
1814
이유원
(李裕元)
1833
조준영
(趙準永)
1835
김윤식
(金允植)
1837
동태후
(東太后)
1841
박정양
(朴定陽)
1848
어윤중
(魚允中)
1851
김옥균
(金玉均)
1851
명성 황후
(明成皇后)
1855
홍영식
(洪英植)
1868
이시영
(李始榮)
안동향교
1874
개화당
(開化黨)
1881
별기군
(別技軍)
조선 책략
(朝鮮策略)
한·미 수호 통상 조약
1882
임오군란
(壬午軍亂)
1882
제물포 조약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1896
아관 파천
(俄館播遷)
•
만인소 사건
•
만인소(萬人疏)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