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류성룡 (柳成籠)
[1542 ~ 1607]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호는 서애(西厓)이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류성룡 (柳成籠) [1542 ~ 1607]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호는 서애(西厓)이고, 시호는 문충(文忠) 퇴계 이황의 제자 1566년에 문과에 급제 이황의 문하에서 조목(趙穆)·김성일과 동문 수학 성리학에 정통, 동인으로 활동, 그러나 정여립의 난(기축옥사)를 계기로 강경파인 이산해, 정인홍 등과 결별하고 남인을 형성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체찰사로 있으면서 이순신, 권율 등의 장군을 추천하여 나라를 구하는 데 힘썼다. 저서로 《서애집》 《징비록》 《난후잡록》 등
◈ 지식지도 관계
류성룡 (柳成籠) 1542 1582 류진 (柳袗) 1501 이황 (李滉) 1575 동인 (東人) 1591 남인 (南人) 기호 학파 (畿湖學派) 북인 (北人) 사색 당파 (四色黨派) 여진족 (女眞族) 주리론 (主理論) 1575 서인 (西人) 1368 (明) 1592년 1575년 1636 (淸) 1524 조목 (趙穆) 1535 정인홍 (鄭仁弘) 1537 권율 (權慄) 1538 김성일 (金誠一) 1539 이산해 (李山海) 1545 이순신 (李舜臣) 1491 이언적 (李彦迪) 1501 조식 (曺植) 1517 이지함 (李之菡) 1526 정탁 (鄭琢) 1533 윤두수 (尹斗壽) 1535 성혼 (成渾) 1536 이이 (李珥) 1536 정철 (鄭澈) 1547 원균 (元均) 1552 곽재우 (郭再祐) 1556 이항복 (李恒福) 1561 이덕형 (李德馨) 1563 정경세 (鄭經世) 1563 허난설헌 (許蘭雪軒) 1567 선조 (宣祖) 1580 이서 (李曙) 1584 인목 왕후 (仁穆王后) 1595 허목 (許穆) 1607 송시열 (宋時烈) 1610 허적 (許積) 1622 유형원 (柳馨遠) 1681 이익 (李瀷) 1762 정약용 (丁若鏞) 1776 규장각 (奎章閣) 난후잡록 (亂後雜錄) 1633 서애집 (西厓集) 1633 징비록 (懲毖錄) 난중일기 (亂中日記) 도산십이곡 1908 이순신전 (李舜臣傳) 1589 기축옥사 (己丑獄事)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592 경주 전투 (慶州戰鬪) 1592 한산도 대첩 1593 행주 대첩 (幸州大捷) 1597 정유재란 (丁酉再亂)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거북선 ([龜船])
▣ 주요 자료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 최근등록순
2024.09.21
【문화】 서애 류성룡이 여섯 살 때 강가에 헤엄을 치다가 깊은 데 빠졌는데. 갑자기 돌개바람(회오리바람)이 불어가, 서애를 바위 위에 올려놓아 목숨을 건지게 되었그던. 그 후로 하회에서는 이 바우를 돌고지바우라 그래.(完)
2024.09.21
【문화】 안동의 하회마을에 서애대감의 형인 겸암선생이 있었는데 남보기에는 모자래는 듯이 보여도 실제로는 미래를 내다보고 길흉을 점칠 줄 아는 도인이래, 기인이지. 그때 마침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에 왜적이 조선을 쳐들어오기 위하여 칼을 갈고 있었는데, 그래가 세상이 온통 어지러워졌어.
2024.09.21
【문화】 서애대감 엄마가 딸만 많이 낳았어. 하루는 친정에 와서 쉬는데 아들을 많이 놓은 형이 태몽꿈을 꿨다고 하면서 먹을 거는 없는데, 용 두마리가 마구 치마에 담기더라. 그래거든. 이말을 들은 서애대감 엄마가 그 치마를 날 벗어다고. 내 비단치마를 주께. 하고는 형하고 치마를 바꿔 입었어요.
2024.09.21
【문화】 서애 대감은 이름이 이룰 성(成), 용 룡(龍)자고, 그 형은 구름 운(雲), 용 용(雲龍)자 거든요. 근데 운용선생은 그 분은 숨은 선비고, 서애대감은 영의정도 하고 병조판서도 했으이께네, 출장입상(出將入相)한 사람이라. 서애대감하고 겸암선생하고는 한 형재간이고 우애도 깊었어요.
2020.01.22
아름다운 산하가 보이는 안동 병산 서원(安東 屛山書院)
【여행】 안동 병산 서원(사적 260호)은 조선 중기의 대학자이자 영의정이었던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누각인 만대루(晩對樓)에 오르면 앞에 모래밭과 낙동강을 건너 병산(屛山) 절벽이 보여 경관이 무척 아름답다. 1607년 이래로 건물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조선 중기의 건축 양식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국가의 지원을 받는 사액서원으로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남은 서원으로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