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8일 (목)
(음 4월 11일, 丁丑)
집계기준 : 2025년 5월 5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부모은중경언해
•
백련초해(百聯抄解)
•
월인천강지곡
•
만세전(萬歲前)
•
이상(李箱)
•
이상곡(履霜曲)
•
수필(隨筆)
•
이태준(李泰俊)
•
통도사(通度寺)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옥소전(玉簫傳)
•
박씨전(朴氏傳)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한국 휴전 협정
•
나는 왕이로소이다
•
김유정(金裕貞)
•
한중록(閑中錄)
•
양양군(襄陽郡)
•
1931년
•
광법사(廣法寺)
▣
원천석 (元天錫)
바로가기
[?~?] 고려 말, 조선 초기의 학자. 호는 운곡(耘谷)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 고려 말, 조선 초기의 학자. 호는 운곡(耘谷)이다.
고려 말기에 정치가 어지러워짐을 보고 치악산에 들어가 농사를 지으며 부모를 섬기고 사는 한편,
이색
등과 친하게 지내면서 나라일을 걱정하였다. 그는 일찍이
이방원
(조선의 태종)을 가르친 일이 있어, 태종이 왕위에 올랐을 때 그에게 여러 번 벼슬을 내렸으나 거절하였다.
작품으로는 망한 고려를 회상하며 쓴 「회고가」가 있으며, 《야사》 6권을 지었으나 국사(정사)에 저촉되는 점이 많이 있어 후손들이 화를 두려워하여 불태웠다고 한다.
회고가(懷古歌)
興亡(흥망)이 有數(유수)하니 滿月臺(만월대)도 秋草(추초)ㅣ로다
五百年(오백년) 王業(왕업)이 牧笛(목적)에 부쳐시니
夕陽(석양)에 지나는 客(객)이 눈물 계워 하더라.
[숨기기]
원천석
(元天錫)
[?~?] 고려 말, 조선 초기의 학자.
이색
등과 친하게 지내면서
일찍이
이방원
(조선의 태종)을 가르친 일이 있어
「
회고가
」
◈ 지식지도
관계
원천석
(元天錫)
성리학
(性理學)
1403
계미자
(癸未字)
1418년
1356년
1392
조선
(朝鮮)
1328
이색
(李穡)
1400
조선 태종
(太宗)
고려 삼은
(高麗三隱)
1287
이제현
(李齊賢)
1298
이곡
(李穀)
1332
이서
(李舒)
1333
김사형
(金士衡)
1337
정도전
(鄭道傳)
1337
정몽주
(鄭夢周)
1338
성석린
(成石璘)
1346
조준
(趙浚)
1347
하륜
(河崙)
1351
남재
(南在)
1352
권근
(權近)
1353
길재
(吉再)
1354
남은
(南誾)
1362
이직
(李稷)
1368
이종선
(李種善)
1369
변계량
(卞季良)
1392
조선 태조
(太祖)
1395
소헌 왕후
(昭憲王后)
1399
조선 정종
(定宗)
1418
조선 세종
(世宗)
1418
정희왕후 윤씨
1225
정방
(政房)
1650
임강서원
1400
제2차 왕자의 난
(미정의)
회고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두문동록
杜門洞錄
근/현대 소설
김동인
(1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