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숙향전(淑香傳)
•
오륜가(五倫歌)
•
겸재정선미술관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혜경궁 홍씨
•
서울 특별시
•
난중일기(亂中日記)
•
인현 왕후(仁顯王后)
•
날개(-)
•
사서율곡언해
•
조용조(租庸調)
•
만복사저포기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황석우(黃錫禹)
•
곽거병(霍去病)
•
대운하(大運河)
•
김현감호 설화
▣
신문학 (新文學)
바로가기
우리 나라의 갑오개혁(1894년) 이후의 문학. 그 이전의 문학을 구문학(舊文學)이라고 본 시대적 구분에서 이르는 명칭이다.
지식
:
어학 > 문학
우리 나라의
갑오개혁
(1894년) 이후의 문학. 그 이전의 문학을 구문학(舊文學)이라고 본 시대적 구분에서 이르는 명칭이다.
신문학의 특징을 한마디로 규정할 수는 없으나 유럽 문학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고, 언문 일치(말과 글의 일치)의 새로운 문장으로 현실을 묘사하며 새로운 사상을 담고 있는 점이 특색이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신문학
(新文學)
개화기 문학
한국 문학
(韓國文學)
가사 문학
(歌辭文學)
가전체 문학
경향 문학
(傾向文學)
계급주의 문학
고전 문학
(古典文學)
구비 문학
(口碑文學)
국문학
(國文學)
국문학사
(國文學史)
국어 국문학
낭만주의 문학
동반자 문학
문학
(文學)
민족주의 문학
불교 문학
설화 문학
(說話文學)
시조
(時調)
신소설
(新小說)
신체시
(新體詩)
아동 문학
(兒童文學)
여류 문학
(女流文學)
자유시
(自由詩)
전쟁 문학
(戰爭文學)
절충주의 문학
창가
(唱歌)
창극
(唱劇)
판소리
패관 문학
(稗官文學)
한문학
(漢文學)
홍범 14조
현대문학
1894
동학 운동
(東學運動)
1894년
1842
김홍집
(金弘集)
1862
이인직
(李人稙)
1869
이해조
(李海朝)
1890
최남선
(崔南善)
1400
의정부
(議政府)
1894
군국 기무처
1894
궁내부
(宮內府)
1908
원각사
(圓覺社)
1906
혈의 누
(血--淚)
1908
은세계
(銀世界)
1908
해에게서 소년에게
1910
자유종
(自由鐘)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1884
갑신정변
(甲申政變)
1895
을미개혁
(乙未改革)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