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성혼 (成渾)
[1535 ~ 1598] 조선 선조 때의 성리학자. 호는 우계(牛溪) 또는 묵암(默庵)이고,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성혼 (成渾) [1535 ~ 1598] 조선 선조 때의 성리학자. 병으로 과거를 단념하고 백인걸의 제자가 되어 경학(經學) 공부에 힘썼다. 선조 초에 현감 등 여러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중 세자의 부름을 받고 좌참찬에 올랐으나, 유성룡과 함께 일본과의 화의를 주장하다가 선조의 노여움을 사게 되어 고향인 파주로 돌아갔다. 일찍이 이이(李珥)와 친근하게 사귀었으나, 이황의 ‘이기호발설’을 지지하여 1572년부터 6년간 이이와 ‘사단 칠정(四端七情)’에 대한 논쟁 그는 글씨에 뛰어났으며, 세상을 떠난 뒤에 좌의정 벼슬이 내려졌다. 저서 우계집》 《주문지결》
◈ 지식지도 관계
성혼 (成渾) 1535 1493 성수침 (成守琛) 1497 백인걸 (白仁傑) 1544 조헌 (趙憲) 1536 정철 (鄭澈) (미정의) 황신 (미정의) 윤황 1563 정엽 (鄭曄) 1556 한교 (韓嶠) 1601 김자점 (金自點) 1557 이귀 (李貴) 1559 유몽인 (柳夢寅) 1573 안방준 (安邦俊) 1580 이서 (李曙) 1572 이명준 (李命俊) 1595 정종명 (鄭宗溟) 사단칠정 이기호발설 700 의사 (七百義士) 가사 문학 (歌辭文學) 기호 학파 (畿湖學派) 성리학 (性理學) 실학 (實學) 영남 학파 예학 (禮學) 주리론 (主理論) 주자학 (朱子學) 한국 문학 (韓國文學) 1575 서인 (西人) 1623 정사 공신 (靖社功臣) 1622년 1627년 1501 이황 (李滉) 1534 송익필 (宋翼弼) 1536 이이 (李珥) 1542 류성룡 (柳成籠) 1418 성삼문 (成三問) 1478 김안국 (金安國) 1482 김식 (金湜) 1482 조광조 (趙光祖) 1491 이언적 (李彦迪) 1504 신 사임당 (申師任堂) 1513 유희춘 (柳希春) 1526 정탁 (鄭琢) 1535 정인홍 (鄭仁弘) 1538 김성일 (金誠一) 1545 이순신 (李舜臣) 1548 김장생 (金長生) 1560 이이첨 (李爾瞻) 1561 박인로 (朴仁老) 1569 권필 (權韠) 1587 윤선도 (尹善道) 1587 이괄 (李适) 1600 정양 (鄭瀁) 16C초 어숙권 (魚叔權) 도산십이곡 성학집요 (聖學輯要) 속미인곡 (續美人曲) 송강가사 (松江歌辭) 율곡전서 (栗谷全書) 1588 사미인곡 (思美人曲) 1589 기축옥사 (己丑獄事)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칠백 의총 (七百義塚) (미정의) 우계집
 
◈ 최근등록순
2024.10.01
【문화】 우계(牛溪)선생은 중종 30년(1535) 6월 25일 한성 순화방에서 태어났으며 중종 39년 (1544) 9월 9세 때에 아버지 청송(成寸琛)선생이 파주 우계로 이주하게 되어 아버지에게 글을 배워 스스로 자습하여 경서와 문사에 뛰어났다.
2024.09.25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한반도 심장부의 동서로 흐르는 젖줄인 맑고 맑은 임진강은 옛날 한양과 송도와의 중간 지점이며 선비와 학자들이 자주 찾아와 낚시와 시조를 읊고 즐기며 세월을 보냈던 아름다운 곳이다. 또한 밤중에 어화(魚火)의 등불을 비치며 오르내리는 고기잡이배들의 아름다움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광경이라 하겠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