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성리학 (性理學)
중국의 송나라와 명나라에 걸쳐 발달한 유학의 한 갈래. 주자(朱子)가 대성하였다 하여 주자학 이라고도 한다.
성리학 (性理學) 유교 중국의 송나라와 명나라에 걸쳐 발달한 유학의 한 갈래. 주자(朱子)가 대성하였다 하여 주자학 이라고도 함. 송나라 시대의 유학이라는 뜻에서 송학(宋學)이라고도 함. 정주학(程朱學), 정주 성리학(程朱性理學), 또는 정주 이학(程朱理學)으로도 불린다. 이학(理學) 또는 도학(道學)이라고도 한다. 학문의 목적은 위기지학(爲己之學)이다. 고려 시대에 안향이 최초로 받아들임. 그 뒤 조선 시대에 이르러 크게 발달하여 조선 시대 중기에 전성을 이루었다.
◈ 지식지도 관계
성리학 (性理學) 붕당 (朋黨) 실학 (實學) 양명학 (陽明學) 유교 (儒敎) 정주학 (程朱學) 주기론 (主氣論) 주리론 (主理論) 주자학 (朱子學) 기호 학파 (畿湖學派) 사서 (四書) 서원 (書院) 오경 (五經) 유가 (儒家) 제자 백가 (諸子百家) 중국 철학 1575 서인 (西人) 1296년 1270년 1260년 918 고려 (高麗) 1017 주돈이 (周敦燎) 1032 정호 (程顥) 1033 정이 (程伊) 1130 주희 (朱熹) 1243 안향 (安珦) 1501 이황 (李滉) 1536 이이 (李珥) -179 동중서 (董仲舒) -483 자사 (子思) 1211 유경 (柳璥) 1247 백이정 (白頤正) 1262 권부 (權溥) 1269 이조년 (李兆年) 1328 이색 (李穡) 1337 정도전 (鄭道傳) 1337 정몽주 (鄭夢周) 1489 서경덕 (徐敬德) 1491 이언적 (李彦迪) 1504 신 사임당 (申師任堂) 1526 정탁 (鄭琢) 1535 성혼 (成渾) 1538 김성일 (金誠一) 1542 류성룡 (柳成籠) 1543 정구 (鄭逑) 1544 조헌 (趙憲) 1556 이항복 (李恒福) 1569 허균 (許筠) 1622 유형원 (柳馨遠) 1649 정제두 (鄭齊斗) 1681 이익 (李瀷) 1749 유득공 (柳得恭) 1762 정약용 (丁若鏞) 857 최치원 (崔致遠) 사서 삼경 (四書三經) 성학집요 (聖學輯要) 율곡전서 (栗谷全書) 유교 경전 1543 소수 서원 (紹修書院) 1574 도산 서원 (陶山書院)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 소옹(邵雍) 장재(張載) 호굉(胡宏) 이제현(李齊賢) 길재(吉再) 김구(金鉤) 김종직(金宗直) 김굉필(金宏弼) 조위(曺偉) 김안국(金安國) 조식(曺植) 김취문(金就文) 기대승(奇大升) 김계(金啓) 김장생(金長生) 안방준(安邦俊) 조익(趙翼) 김육(金堉) 인조(仁祖) 이현일(李玄逸) 조선 숙종(肅宗) 기정진(奇正鎭) 고증학(考證學) 도가(道家) 서학(西學) 심성론(心性論) 영남 학파(嶺南學派)) 예학(禮學) 훈고학(訓詁學) 사문난적(斯文亂賊)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 이기론(理氣論) 사단칠정(四端七情) 기(氣)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이(理) 고려 삼은(高麗三隱) 논사단칠정서 주자가례(朱子家禮) 한계만록(閑溪謾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근사록 近思錄 인문/사회과학 朱憙 (주희) (181) 가례 家禮 인문/사회과학 주자 (143)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