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가사(歌辭)
•
중용(中庸)
•
대한민국 대통령
•
숙향전(淑香傳)
•
아프로디테(Aphrodite)
•
대운하(大運河)
•
혜경궁 홍씨
•
인현 왕후(仁顯王后)
•
무정(無情)
•
경천사 10층 석탑
•
종로구(鍾路區)
•
1516년
•
안후이성(安徽省)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이승만(李承晩)
•
제주특별자치도
•
강원도(江原道)
•
김현감호 설화
▣
사마상여 (司馬相如)
바로가기
[기원전 179 ~ 기원전 117] 중국 전한(前漢) 시대의 문인. 경제 밑에서 벼슬을 하다가 관직을 내놓고 양나라로 갔다. 얼마 안 되어 양나라 효왕이 죽자 고향으로 돌아가 곤궁한 생활을 하며 《자허부》를 지어 명성을 떨쳤다.
인물
:
인물 > 외국
[기원전 179 ~ 기원전 117] 중국
전한(前漢)
시대의 문인. 경제 밑에서 벼슬을 하다가 관직을 내놓고 양나라로 갔다. 얼마 안 되어 양나라 효왕이 죽자 고향으로 돌아가 곤궁한 생활을 하며 《
자허부
》를 지어 명성을 떨쳤다.
훗날 《자허부》가 무제에게 인정을 받은 것이 동기가 되어 시종관으로 다시 무제를 섬겼다. 그가 지은 부는 본디 29편이었다고 하나, 지금 남아 있는 것은 《자허부》를 비롯한 부 3편과 《유파초격》 등 4편이 있다.
그의 사부(辭賦)는 화려한 것으로 유명하였고, 후육조의 문인은 이를 많이 모방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사마상여
(司馬相如)
한사군
(漢四郡)
-206
한
(漢)
-221
진
(秦)
고조선
(古朝鮮)
초
(楚)
춘추 전국 시대
기원전 108년
기원전 206년
220
위
(魏)
25
후한
(後漢)
8
신
(新)
-141
한 무제
(漢武帝)
유방
(劉邦)
항우
(項羽)
자허부
(子虛賦)
b.c. 1c초
사기
(史記)
1c말
한서
(漢書)
•
양웅(楊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사기 열전(57)
사마상여 열전
동양역사
사마천
(1527)
한서 전(27)
사마상여전
동양역사
반고(班固)
(554)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