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겸재정선미술관
•
오륜가(五倫歌)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대운하(大運河)
•
혜경궁 홍씨
•
숙향전(淑香傳)
•
난중일기(亂中日記)
•
서울 특별시
•
조용조(租庸調)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종로구(鍾路區)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이승만(李承晩)
•
창랑정기(滄浪亭記)
•
상춘곡(賞春曲)
▣
사군자 (四君子)
바로가기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일컫는 말, 또는 동양화에서 그것을 그린 그림. 네 가지 소재의 고결함이 군자와 같다는 뜻에서 사군자라 일컫는다.
지식
:
예술 > 미술일반
매화
,
난초
,
국화
,
대나무
를 일컫는 말, 또는 동양화에서 그것을 그린 그림. 네 가지 소재의 고결함이 군자와 같다는 뜻에서 사군자라 일컫는다.
사군자의 그림은 조선 시대에 크게 발전하였고,
남종화
파의 문인이나 화가들이 즐겨 그렸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사군자
(四君子)
남종화
(南宗畵)
동양화
(東洋畵)
매화
(梅花)
가을
(秋)
땅속줄기
미술
(美術)
북종화
(北宗畵)
산수화
(山水畵)
서양화
(西洋畵)
인물화
(人物畵)
포기나누기
풍속화
(風俗畵)
한국화
(韓國畵)
회화
(繪畵)
1676
정선
(鄭敾)
1707
심사정
(沈師正)
1710
이인상
(李麟祥)
1713
강세황
(姜世晃)
1797
조희룡
(趙熙龍)
699
왕유
(王維)
국화
(菊花)
난초
(蘭草)
대나무
(竹)
매화나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