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겸재정선미술관
•
오륜가(五倫歌)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대운하(大運河)
•
제주특별자치도
•
혜경궁 홍씨
•
서울 특별시
•
숙향전(淑香傳)
•
난중일기(亂中日記)
•
조용조(租庸調)
•
인현 왕후(仁顯王后)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종로구(鍾路區)
•
이승만(李承晩)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황석우(黃錫禹)
•
곽거병(霍去病)
▣
불우헌곡 (不憂軒曲)
바로가기
조선 성종 때에 정극인이 지은 경기체가 형식의 장가.
작품
:
작품 > 한국문학 > 가사
조선 성종 때에
정극인
이 지은 경기체가 형식의 장가.
단가인 『
불우헌가
』와 같은 동기에서 지은 것으로 전원의 한가로움과 성은을 노래했으며, 전6장으로 되어 있고 《
불우헌집
》에 실려 전한다.
세조가 단종을 폐위하자 작자는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태인에서 후진 양성에만 힘썼다. 1472년(성종 3년)에 임금이 그 공을 인정하여 벼슬을 내리자 성은에 감동하여 지은 작품이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불우헌곡
(不憂軒曲)
1472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려 가요
(高麗歌謠)
고전 문학
(古典文學)
향가
(鄕歌)
1401
정극인
(丁克仁)
1287
안축
(安軸)
1352
권근
(權近)
1369
변계량
(卞季良)
1488
김구
(金絿)
1532
권호문
(權好文)
불우헌집
(不憂軒集)
1472
불우헌가
(不憂軒歌)
1425
화산별곡
(華山別曲)
관동별곡
(關東別曲)
독락팔곡
(獨樂八曲)
상대별곡
(霜臺別曲)
상춘곡
(賞春曲)
오륜가
(五倫歌)
죽계별곡
(竹溪別曲)
한림별곡
(翰林別曲)
화전별곡
(花田別曲)
연형제곡
(宴兄弟曲)
유림가
(儒林歌)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불우헌곡
不憂軒曲
경기체가
정극인 (丁克仁)
(8)
◈ 최근등록순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경기체가
2019.06.22
◈
불우헌곡(不憂軒曲)
【학습】
작가는 벼슬을 그만두고 향리 태인에서 안빈낙도하는 생활을 하면서 향리의 자제들을 힘써 교육하였고, 이로 인하여 성종으로부터 삼품의 작위와 더불어 그 지방 관찰사로 하여금 때때로 혜양하는 은전을 받았다.
0
|
경기체가
,
불우헌곡
,
정극인
,
1472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