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고려 초의 향가. 균여 대사가 지었고, 《원왕가》 또는 《보현십종원왕가》라고도 한다. 보현 보살의 《십종원왕》에다 가락을 붙인 것으로 모두 11수이다.
보현십원가 (普賢十願歌) 고려 초의 향가. 균여 대사가 지음 《원왕가》 또는 《보현십종원왕가》라고도 한다. 보현 보살의 《십종원왕》에다 가락을 붙인 것 모두 11수이다. 해인사 장판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균여전》에 향찰로 기록 균여전보현십원가 「예경제불가(禮敬諸佛歌)」 「칭찬여래가(稱讚如來歌)」 「광수공양가(廣修供養歌)」 「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 「수희공덕가(隨喜功德歌)」 「청전법륜가(請轉法輪歌)」 「청불주세가(請佛住世歌)」 「상수불학가(常隨佛學歌)」 「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 「보현회향가(普賢廻向歌)」 「총결무진가(總結无盡歌)」
◈ 지식지도 관계
보현십원가 (普賢十願歌) 고전 문학 (古典文學) 향가 (鄕歌) 보현 보살 가사 (歌辭)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대 소설 (古代小說) 고대 수필 (古代隨筆) 고려 가요 (高麗歌謠) 문수보살 보살 (菩薩) 불교 (佛敎) 시조 (時調) 한국 문학 (韓國文學) 고대 가요 (古代歌謠) 1075년 923 균여 (均如) 혁련정 (赫連挺) 1075 균여전 (均如傳) 도천수관음가 서동요 (薯童謠) 원왕생가 (願往生歌) 제망매가 (祭亡妹歌) 찬기파랑가 처용가 (處容歌) 총결무진가 풍요 (風謠) 헌화가 (獻花歌) 혜성가 (彗星歌) 우적가 (遇賊歌) 안민가 (安民歌) 1281 삼국유사 (三國遺事) 700 모죽지랑가 737 원가 (怨歌) 760 도솔가 (兜率歌) 888 삼대목 (三代目)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보현십원가 普賢十願歌 향가 균여(均如) (26)
◈ 조회순
2019.06.04
【학습】 고려 초 균여(均如)가 지은 11수의 십구체(十句體) 향가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首) 중의 하나로서, 부처가 항상 이 세상에 머물러 주기를 청하는 내용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승려 균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의 하나
2019.06.04
【학습】 고려 초 균여(均如:923∼973)가 지은 11수의 십구체(十句體) 향가중 첫 번째 작품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光宗:재위 949∼975) 때 균여대사(均如大師)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王)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로서, 석가여래를 칭찬하기 위한 노래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로서, 공양(供養)을 널리 닦기 위하여 지은 노래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로서, 공양(供養)을 널리 닦기 위하여 지은 노래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초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로서, 공덕(功德)을 수희(隨喜)하기 위한 노래이다.
 
◈ 최근등록순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승려 균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의 하나
2019.06.04
【학습】 고려 초기 광종(光宗) 때 균여(均如)가 지은 10구체(十句體) 향가(鄕歌)로 보현보살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로서 자기가 닦는 모든 선업(善業)을 중생에게 돌려 달라고 비는 내용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
2019.06.04
【학습】 고려 초엽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首) 중의 하나로서, 부처가 항상 이 세상에 머물러 주기를 청하는 내용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首) 중의 하나로서, 불교의 교법(敎法)이 널리 퍼지기를 청하는 내용의 노래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초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로서, 공덕(功德)을 수희(隨喜)하기 위한 노래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로서, 공양(供養)을 널리 닦기 위하여 지은 노래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대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로서, 공양(供養)을 널리 닦기 위하여 지은 노래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광종(光宗:재위 949∼975) 때 균여대사(均如大師)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王)에서 뜻을 받아 지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중의 하나로서, 석가여래를 칭찬하기 위한 노래이다.
2019.06.04
【학습】 고려 초 균여(均如:923∼973)가 지은 11수의 십구체(十句體) 향가중 첫 번째 작품
2019.06.04
【학습】 고려 초 균여(均如)가 지은 11수의 십구체(十句體) 향가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