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7일 (월)
(음 6월 13일, 丁丑)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절(寺)
•
앵글로 색슨족
•
적벽부(赤壁賦)
•
순오지(旬五志)
•
서원(書院)
•
김동인(金東仁)
•
윤심덕(尹心悳)
•
동지(冬至)
•
이십사 절기
•
설화(說話)
•
임실군(任實郡)
•
이매창(李梅窓)
•
연꽃(蓮--)
•
유피테르(Jupiter)
•
박주현(朴珠賢)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자산어보(玆山魚譜)
•
1910년
•
수필(隨筆)
▣
놋다리밟기 (-)
바로가기
경북 안동, 의성 지방에 전해 오는 부녀자들의 민속놀이. 기와밟기라고도 한다. 음력 정월 대보름날 밤에 마을의 젊은 여자들이 모여, 한 줄로 늘어서서 허리를 구부려 공주로 뽑힌 소녀를 어깨 위로 걸어가게 하는 놀이이다.
문화/자연유산
:
기타 > 취미.놀이
경북 안동, 의성 지방에 전해 오는 부녀자들의 민속놀이. 기와밟기라고도 한다. 음력 정월 대보름날 밤에 마을의 젊은 여자들이 모여, 한 줄로 늘어서서 허리를 구부려 공주로 뽑힌 소녀를 어깨 위로 걸어가게 하는 놀이이다.
이 놀이는 고려 공민왕이 공주를 데리고 안동 땅에 난을 피해 와서 마침 개울을 건너게 되었을 때, 마을 부녀자들이 나와서 허리를 굽혀 그 위로 공주를 건너게 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공주는 노래 소리에 맞추어 느린 걸음으로 걷고, 양 옆에서 두 시녀가 손을 높이 들어 공주를 잡고 부축한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놋다리밟기
(-)
대보름
(大----)
세시 풍속
북청 사자놀음
◈ 최근등록순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안동시 전설과 설화
2024.09.21
◈
태워서 시작된 놋다리밟기
【문화】
공민왕이 난을 피해 안동에 왔는데, 강을 건너게 됐거든. 그런데 강에 다리가 없는게라. 그래도 시기가 시기라서 급하니 그냥 강을 건넬라 그러는데. 참 귀한 공주가 맨발로 강을 건네게 할 수 없어서 안동에 있는 부녀자들이 물 속에 들어가 인교를 놓은게라.
0
|
공민왕
,
놋다리밟기
,
설화
,
안동시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