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김춘택 (金春澤)
[1670 ~ 1717] 조선 숙종 때의 문인. 호는 북헌(北軒)이고,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종조할아버지 만중(萬重)이 지은 《구운몽》 《사씨남정기》를 한문으로 번역했고, 저서로 시문 10책과 만필 1책을 남겼다.
김춘택 (金春澤) [1670 ~ 1717] 조선 숙종 때의 문인. 호는 북헌(北軒)이고,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1689년(숙종 15년)에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쫓겨나가자 집안이 크게 화를 입어 여러 번 유배 당하거나 감옥에 갇혔다. 1694년 갑술옥사로 남인이 세력을 잃자 풀려나왔으나, 서인이 다시 노론· 소론으로 갈라져, 노론에 속해 있던 그는 1697년 소론의 탄핵으로 부안에 유배되었다. 유배중에 1706년 세자(뒤의 경종)를 살해하려 한다는 모략을 받고 죄가 더 무거워져 제주도로 귀양갔다. 글씨와 시에 대한 재주가 뛰어나 이름이 높았다. 종조할아버지 만중(萬重)이 지은 《구운몽》 《사씨남정기》를 한문으로 번역했고, 저서로 시문 10책과 만필 1책을 남겼다.
◈ 지식지도 관계
김춘택 (金春澤) 1670 1575 서인 (西人) 노론 (老論) 1575 동·서 분당 (東西分黨) 1575 동인 (東人) 1591 남인 (南人) 가정 소설 고대 소설 (古代小說) 붕당 정치 사색 당파 (四色黨派) 소론 (少論) 실학 (實學) 한국 문학 (韓國文學) 환국 (換局) 공서 (功西) 청서 (淸西) 1674 예송 논쟁 (禮訟論爭) 1694년 1680년 1683년 1689년 1674년 1575년 1633 김만기 (金萬基) 1637 김만중 (金萬重) 1523 박순 (朴淳) 1533 윤두수 (尹斗壽) 1535 심의겸 (沈義謙) 1536 정철 (鄭澈) 1548 김장생 (金長生) 1574 김집 (金集) 1607 송시열 (宋時烈) 1614 김익겸 (金益兼) 1619 김익훈 (金益勳) 1626 김수흥 (金壽興) 1629 김수항 (金壽恒) 1629 윤증 (尹拯) 1639 조지겸 (趙持謙) 1646 한태동 (韓泰東) 1651 희빈 장씨 1661 인경왕후 (仁敬王后) 1667 인현 왕후 (仁顯王后) 이현기 (李玄紀) 1674 조선 숙종 (肅宗) 구운몽 (九雲夢) 사씨남정기 서포만필 1689 기사환국 (己巳換局) 1694 갑술환국 (甲戌換局)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1680 경신환국 (庚申換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별사미인곡 別思美人曲 가사 김춘택 (69)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