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1일 (목) (음 4월 4일, 庚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김유정 (金裕貞)
[1908 ~ 1937] 소설가. 대표 작품으로 단편집 《동백꽃》 《산골 나그네》 《따라지》 등이 있다.
김유정 (金裕貞) [1908 ~ 1937] 소설가. 강원도 춘천 출신 연희 전문 학교 문과를 중퇴 1935년에는 소설 《소낙비》가 조선 일보에, 《노다지》가 중외 일보의 신춘 문예에 당선. 폐결핵으로 죽기까지 2년간에 30여 편의 단편 소설을 발표 대표 작품 《동백꽃》 《산골 나그네》 《따라지》 등
◈ 지식지도 관계
김유정 (金裕貞) 1908 현대문학 단편 소설 (短篇小說) 한국 문학 (韓國文學) 프롤레타리아문학 춘천시 (春川市) 1930년대 1933년 1935년 1936년 1908 이석훈 (李石薰) 1909 안회남 (安懷南) 1933 구인회 (九人會) 1854 안국선 (安國善) 1903 정지용 (鄭芝溶) 1904 이태준 (李泰俊) 1905 박팔양 (朴八陽) 1905 유치진 (柳致眞) 1907 이효석 (李孝石) 1908 김기림 (金起林) 시문학파 1908 이무영 (李無影)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1909 박태원 (朴泰遠) 1909 조용만 (趙容萬) 1909 김환태 (金煥泰) 1909 김유영 (金幽影) 1910 이상 (李箱) 1910 안막 (安漠) 20C초 이종명 (李鍾鳴) 1926 해외 문학 연구회 1930 시문학 (詩文學) 1931 극예술 연구회 1931 문예 월간 (文藝月刊) 1933 조선중앙일보 1935 조광 (朝光) 1939 조선문인협회 1943 조선문인보국회 1933 산골 나그네 1935 소낙비 1935 노다지 1935 봄봄 1935 만무방 (萬無方) 1935 금따는콩밭 1936 동백꽃 1937 따라지 (金)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38 작품) [모두보기]
동백꽃 근/현대 소설 김유정 (946) 봄봄 근/현대 소설 김유정 (742) 만무방 萬無方 근/현대 소설 김유정 (235) 금 따는 콩밭 근/현대 소설 김유정 (115) 조선의 집시-들병이 철학 근/현대 수필 김유정 (109) 근/현대 소설 김유정 (83) 소낙비 근/현대 소설 김유정 (81) 땡볕 근/현대 소설 김유정 (79) 홍길동전 근/현대 소설 김유정 (58) 산골나그네 근/현대 소설 김유정 (45) 안해 근/현대 소설 김유정 (41) 생의 반려 근/현대 소설 김유정 (32)
◈ 참조 원문/전문
김유정론 근/현대 소설 이상 (84) 유정과 나 근/현대 수필 채만식 (33) 밥이 사람을 먹다 근/현대 수필 채만식 (6)
 
◈ 최근등록순
2023.11.09
금병산 실레 이야기길 (둘레길)
【관광】 강원도 춘천의 김유정 역에서 김유정 문학촌을 둘러보고 김유정이 태어난 금병산(金甁山, 652m) 아래 증리(시루 甑 + 마을里, 실레 마을의 실레는 "시루"의 사투리)의 실레 이야기 길을 다녀와 글을 올린다.
2016.10.04
문학기행 추천지 (2016. 10. 4)
【여행】 단풍이 들어갈수록 시인과 소설가가 생각나므로 마음 맞는 동행자와 가기 좋고 서울에서 가까운 곳의 문학마을을 소개합니다.
2015.06.09
봄·봄과 동백꽃의 김유정을 칮아 (2015. 6. 9)
【여행】 남이섬에서 산책과 점식을 마치고 춘천의 김유정 문학촌에 도착했다. 먼저 문학촌내 낭만우리에서 기획전시중인 정현우 展을 보았다. 색연필로 색감있게 잘 그렸다. 김유정 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맡은 소설가 전상국 강연을 듣은 후 김유정문학촌( 김유정 생가와 기념전시관)을 들렸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